메뉴 건너뛰기

2015.12.03 12:06

욕쟁이 할머니 7/10/15

조회 수 767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욕쟁이_할멈.jpg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은 점심때가 되면 만원을 이룬다. 회사원들을 물론이요, 소문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그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은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하다. 내돈주고 밥 한 그릇을 사먹으면서도 욕 몇 마디를 듣는 것은 보통이다. “야, 이놈아. 뭘 ×먹으려고 왔냐. 이 호랭이가 물어갈 놈아!”부터 시작하여 지면에 차마 표현 할 수조차 없는 욕을 질펀하게 내뱉는다. 그런데 욕을 듣는 사람들의 표정은 행복하다. 아마 욕쟁이 할머니의 본심을 알기에 넉넉한 마음으로 받아 넘기는 듯하다.

 

사람들은 옛날 자라오며 들었던 욕을 기억하며 그 욕쟁이 할머니를 통해 멀리 계시거나 이미 고인이 된 어머니의 체취를 느끼고 있는지도 모른다. 옛날 부모님들은 욕을 참 잘하셨다. 지금 생각해 보면 자식을 향해 어떻게 그런 끔찍하고 저주스러운 욕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간다. 그런 욕을 먹고 살았으면서도 이만큼 사는 것이 신기할 정도이다. 욕을 하는 것이 나쁜 것인 줄 알면서도 욕을 들으며 자란 아이는 자신도 모르게 욕에 익숙해져 가고 무의식중에 욕을 내뱉게 된다.

 

친구와 마주 앉아 식사를 하는 순간에도 할머니의 걸죽한 욕은 귓전에 파고들었고 우린 금방 고향집 사랑방에 온 듯한 정감을 느꼈다. 신세대들이야 그런 욕을 들으면 눈알이 동그라지겠지만 우리 세대들은 어린 시절 많은 욕들을 듣고, 쓰며 살았다.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나는 어릴 때부터 욕의 다양성과 욕을 구사할 때에 쾌감을 터득한 바 있다. 모든 아이들이 집안에 들어가면 욕을 못한다. 자식이 욕을 하는데 방관할 부모가 있는가? 그러나 아이들끼리 모여서 구슬치기를 하고, 비석치기, 말 타기 등을 하며 놀다보면 욕으로 범벅이 된다.

 

사실 욕은 생겨나서는 안 되는 언어이다. 해서는 안 될 말이다. 특히 크리스천들이 욕을 입에 담는 다는 것은 커다란 죄악이다. 입에서 내 뱉어지는 말이지만 욕을 함으로 입게 되는 영적 손해는 치명적이다. 이것은 누구나 다 아는 상식이요. 우리가 기도하는 기도 제목이다. 그러나. 여전히 사람들은 욕을 한다. 사람들이 욕을 하는 이유는 욕을 할 때에 일시적으로 주는 쾌감 때문일 것이다.이렇게 표현하면 어떨지 모르지만 욕을 할 때에 카타르시스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이 안 풀려 답답하고 상대방이 너무 미울 때 욕을 해 버리면 속이 시원해진다. 그래서 그런지. 욕은 어느 나라나 있다. 영어의 욕은 그 내용이 섬찟하다. 어느 목사님이 차를 운전하고 가는데 별안간 차가 끼어들었다. 찰나에 대형사고가 날 뻔한 순간이었다. 목사님이 하도 화가 나서 욕을 해버렸다. 그런데 그 차안에는 권사님, 집사님들이 타고 있었다. 함께 심방을 가는 중이었던 것이다.정신을 차리고 나니 얼마나 당황스러웠든지. “아이구 참, 아이구 참!”만 연발하며 갔다나?

 

욕을 안 하고 사는 사람이 있을까? 예수님도 성경에 보면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을 향해 무서운 욕을 퍼부으셨다. 그런 자극을 통해서라도 그들이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주님은 간절히 소망하셨다. 예수님이 하신 욕의 의미는 일반 사람들이 하는 욕과 전혀 다른 것은 틀림없다. 어쩌다 화나나서 욕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욕을 습관적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

 

사실 욕에 대한 반응은 상대적이라 할 수 있다. 오랜만에 만난 학교 동창이 욕을 한다고 화를 내는 사람은 없다. 그것은 우정 어린 표현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처럼 내 마음이 넉넉하기만 하면 그 어떤 것도 여유 있게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어차피 세상이라는 흙탕물에 산다면 욕에 대하여 초연 해지는 삶을 터득해야 하지 않을까?

욕 한마디에 회사에 사표를 집어던지고, 무시당했다고 맞받아치다가 인생의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기보다 욕쟁이 할머니의 욕을 반찬 삼아 미소 지으며 맛있게 밥을 먹듯이. 그 어떤 것도 포용하며 용납하고 사랑하며 살 수 있는 넓은 아량의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1. 이민 전설 10/8/2011

    한국 사람은 한국에서 살아야 한다. 익숙한 것이 행복의 절대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미국에서 살고 있다. 만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라! “어떻게 미국에 오시게 되셨습니까?” 사연은 가지가지이다. 그중에서도 가족들이 영주권을...
    Views76346
    Read More
  2. 쇼윈도우 부부 5/28/2012

    바라만 보아도 기분이 좋아지는 부부가 있다. ‘어쩜, 저런 선남선녀가 만나 부부가 되었을까?’ 부러워지기까지 하는 커플이 있다. 보이는 것처럼 내면도 행복했으면 좋으련만 그게 아닌가보다. 다가가 묻는다. “댁은 너무 행복하시겠어요. ...
    Views76415
    Read More
  3. 이런 마음을 알기는 하니! 10/8/2011

    딸이 떠났다. 그동안 전공하던 것을 접고 “음악을 공부하겠다.”는 일념을 가지고 먼 로스엔젤레스(L.A.)로 떠나갔다. 몇 달 전, 심각하게 아빠와의 면담을 요구 했을때는 하찮게 들어 넘겼다. 미국에 처음 이민을 온 곳이 L.A.이기에 막연한 그리...
    Views76497
    Read More
  4. 정녕 가슴에 봄은 오는가? 3/20/15

    사계절이 변하는 모습을 느끼며 산다는 것은 축복이다. 추운 날씨가 계속되거나, 더운 나날이 지속되지 아니하고 때를 따라 계절이 옷을 갈아입으며 나름대로의 자태를 뽐내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인생에게 허락하신 그분의 크신 은총이다. 나는 가을을 좋...
    Views76539
    Read More
  5. 텍사스 밀알 선교단 2/9/2014

    연초부터 미주밀알에는 비보가 날아들었다. 워싱톤 밀알 “정택정 단장”이 정신 병동에 심방을 갔다가 장애인에게 무방비 상태에서 구타를 당해 뇌출혈증세로 병원에 입원한 것이다. 수술을 두 번이나 시도해도 뇌에 출혈은 멈추지 않는 급박한 상...
    Views76572
    Read More
  6. 그대 곁에 있는 사람 3/11/2013

    가정은 모든 행복의 근원이 되는 곳이다. 사업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 꿈을 이루고 세상적인 지위를 높여가는 것도 인생에 있어서 놓쳐서는 안 되는 귀한 일일 수 있다. 하지만 가정은 놓치면 안 된다. 굉장한 일을 이루었다 할지라도 가정을 잃으면 모든 ...
    Views76579
    Read More
  7. 35m 다리에 올라간 사나이 10/24/2011

    지난 달 19일. 밤 8시경 부산 영도구 봉래동에 위치한 부산대교 위에서 한 남성이 “집 나간 아내를 찾아오지 않으면 뛰어내리겠다.”며 투신자살 소동을 벌였다. 다행히 급히 출동한 119 구조대원의 설득 끝에 3시간 만에 스스로 내려와 큰 화는 ...
    Views76666
    Read More
  8. 잘못 태어난 인생은 없다 12/5/2014

    이렇게 기구한 삶을 산 여인이 있을까? 단지 딸이라는 이유로 술에 취한 아버지는 갓난아이를 방바닥에 내던져버렸다. 그 아이는 결국 척추를 다친 장애인이 되었다. 갓난아기의 키는 더디 자랐다. 공부는 초등학교가 끝이었다. 아버지의 자살, 정신질환을 앓...
    Views76727
    Read More
  9. 부부 싸움 12/18/2012

    너무나 잘 어울리는 멋진 부부를 만났다. 대화중에 지나가는 말처럼 물었다. “두 분은 부부싸움을 안하시지요?” 두 사람이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부부싸움을 안하는 부부가 있나요? 저희도 가끔은 의견이 안 맞을 때가 있지요.” 그...
    Views76733
    Read More
  10. 욕쟁이 할머니 7/10/15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은 점심때가 되면 만원을 이룬다. 회사원들을 물론이요, 소문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그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은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하다. 내돈주고 밥 한 그릇을 사먹으면서도 욕 몇 마디를 ...
    Views76755
    Read More
  11. 나는 엄마다 2/25/2012

    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1년 만에 예쁜 딸이 태어났다. 얼마나 착하고 말을 잘 듣는지 가정에는 항상 웃음꽃이 피었다. 몇 년 만에 다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아이가 자라며 놀이방에 맡겼는데 얼마 되지 않아 원장에게 &ldquo...
    Views76773
    Read More
  12. 건빵 1/28/2014

    나는 간식을 즐겨하는 편이 아니다. 어릴 때부터 우직하게 세끼 식사에 집착하는 편이다. 그런데 가끔은 입이 궁금할 때가 있다. 오늘이 그런 날이었다. 시장기가 돌았고 불현듯 생각 난 것이 건빵이었다. 60년대만 해도 간식은 고사하고 양식이 없어 굶주리...
    Views76901
    Read More
  13. 풍요로운 삶 7/3/2013

    최일도 목사가 청량리에서 오갈 데 없는 사람들에게 라면을 끓여주던 때였다. 남루한 옷차림에 술 냄새까지 찌든 사람들이 한창 음식을 먹고 있는데 그중에 한사나이가 젓갈을 쥔 손을 치켜들며 소리를 쳤다. “삶은 무엇인가?” 갑작스럽고도 무게...
    Views77028
    Read More
  14. 추억이 피어오르는 음식 10/8/2011

    사람에게 소중한 즐거움이 있다면 그것은 “식도락(食道樂:여러 가지 음식을 먹어 봄을 도락으로 삼는 일)”이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음식이 있다. 그 이유를 물으면 그 음식에 얽힌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마늘쫑”만 보면 금새 ...
    Views77030
    Read More
  15. 진중세례식  4/10/2011

    오랜만에 맡아보는 한국의 봄 냄새가 싱그럽다. 봄은 신비롭다. 신기하다. 다 죽은 것 같던 만물이 기지개를 켜며 살아나니 말이다. 개나리가 노오란 꽃망울로 봄소식을 전하더니 이내 목련이 매력이 넘치는 하이얀 목덜미를 드러내며 그 자태를 뽐내고 있다....
    Views77154
    Read More
  16. 아버지가 이상하다 1/18/2013

    아버지는 가장이다. 가정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사람이다. 우리 시대의 아버지는 거의 과묵했다. 지금처럼 살가운 아버지는 없었다. 아니 그때는 “아빠”가 없었다. 그냥 “아버지”였다. 얼굴표정이 항상 근엄하여 변동이 없는 분이 ...
    Views77186
    Read More
  17.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77303
    Read More
  18. 허풍 8/31/2011

    사역을 하다보니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잔잔하고 진실한 성격의 사람을 만나기도하고 때로는 ‘척’들어도 허풍 같은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구사하는 사람까지 참 다채롭다. 심리학자 ‘칼융’의 학설처럼 겉으로 드러나...
    Views77323
    Read More
  19. 남자여, 늙은 남자여!

    세상이 변해도 많이 변했다. 우리가 어린 시절에 가장의 위치는 대통령이 안 부러웠다. “어∼험”하며 헛기침 한번만 해도 온 집안이 평정되었으니까. ‘가족회의’라고 가끔 소집을 하지만 대부분 아버지의 일장연설이 이어지는 시...
    Views77402
    Read More
  20. 아, 필라델피아!

    나는 Philadelphia에 살고 있다. ‘필라델피아’라는 이름은 희랍어로 “City of brotherly love(형제애의 도시)”라는 의미이다. 북으로 두 시간을 달리면 “뉴욕”이 반기고 남쪽으로 세 시간을 내달리면 “워싱톤&rdqu...
    Views774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