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08.27 10:16

베이비부머

조회 수 143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교수업.jpg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행을 거부한 문화혁명 세대라고 할 수 있다. 1985~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를 ‘Y세대’, 혹은 밀레니엄 세대라고 하는데 대학진학률이 최고이며 사회진출을 가속화 한 세대이다. 이후부터 2010년에 출생한 사람을 ‘Z세대로 분류한다. 초저출산 시기이다. 디지털 원주민시대라고 해야 할 정도로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이어서 등장한 세대가 ‘MZ세대이다. 밀레니엄 세대와 Z세대가 합친 단어로 삶의 만족도를 최우선으로 하는 세대를 지칭한다. 공정성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국내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목소리는 내는 세대이다.

 

  나는 물론 베이비부머세대이다. 전쟁의 흔적이 서서히 지워져 가던 이 시기부터 집집마다 다산바람이 불었다. 당시 우리나라 인구가 대략 2,100만 정도일 때 보통 한가정에 세명~다섯명의 자녀를 낳았다.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들이 700만명이었으니까 참으로 놀라운 출산율이다. 그 흐름은 1958년에 정점을 찍는데 100만 명이 태어났다. 이로써 ‘58년 개띠가 유명세를 타게 된다. · · 고등학교는 학생들로 붐볐다. 초등학교는 오전, 오후반으로 나뉘어 수업을 진행해야 했다. 상류계층을 제외하고는 아이들의 옷차림이 남루했고 겨울이면 손이 트고 사마귀가 나는 지금은 상상조차 안되는 삶을 살았다.

 

  우리 세대는 군부정치 시대에 교육을 받았다. 따라서 엄격한 규율에 얽매어 살았고, 그것을 당연시 여기며 앞만 보고 달렸다. 통행금지가 풀린 것이 198215일이었으니까 얼마나 속박 속에 성장을 했는가? 그래서 우리에게는 음악이 필요했다. 나는 고교시절, 토요일이면 친구들과 통기타와 텐트, 버너를 챙겨 들고 캠핑을 떠났다. 12일의 달콤한 여행이 내 가슴에 아름다운 추억으로 간직되어 있다. 음악다방이 즐비하고 심지어 우리가 드나드는 분식집에도 DJ가 상주했다. ‘대학가요제를 시발로 강변’, ‘해변가요제는 우리 세대의 전유물이다. 매년 탄생하는 신인가수들의 신선함이 젊음을 풍요롭게 해 주었다. 심야방송은 기나긴 밤에 길동무였으며, 음악은 우리의 공통코드였다.

 

  무엇보다 우리를 들뜨게 했던 운동이 권투였다. 김기수를 필두로 김상현 김태식 김철호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까지. 특별히 나의 고교 동창 박찬휘가 테헤란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고 돌아왔을때에 감격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후에 그는 세계플라이급 챔피언 자리에 오른다. 권투는 인류가 개발한 가장 격렬한 격투기이다. 상대방을 과격하게 때리고 쓰러뜨리는 원시성과 복잡한 규칙으로 얽힌 의외의 과학성을 갖추고 있다. 철저한 균형의 스포츠이며, 절대로 벨트 아래를 과격해서는 안되는 신사도의 스포츠이다. 링위에서 싸우는 선수는 그가 아니고 나였고 내미는 펀치에 모든 서러움과 울분을 날려버렸던 것 같다.

 

  돌아보면 부하지도 그렇다고 그리 가난하지도 않은 애매한 세대이다. 집에 전화기(백색전화)만 있어도 경제적으로 부한 편에 속했다. 공중전화기 앞에 길게 줄을 서서 뒷사람의 눈치를 보며 지인에게 전화를 하곤했다. 연탄보일러로도 행복해하던 시절에 윤수일이 부른 아파트는 우리 세대의 새로운 로망이었다. 엘리베이터 없는 5층 아파트가 왜 그리 커보였는지? 70년대 후반부터 골목에 자가용이 조금씩 늘어서기 시작했다. 그런 아픈 기억들을 추수릴 새도 없이 이제 한국의 위상은 달라져가고 있다. 다행이요, 감사한 일이다.

 

  한세대는 가고 새로운 세대가 그 뒤를 잇는다. 후손에게는 가난을 대물림하지 않겠노라고 이을 악물고 산업전사의 삶을 자초했던 베이비부머세대. 이제는 은퇴의 뒤안길에서 노후를 걱정하고 건강을 화두로 살고 있다. MZ세대 30대가 야당대표가 되는 시대이다. 세월만 탓하고 한숨을 쉬기보다 새로운 꿈을 향해 도전하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되길 누구보다 간절히 응원한다.  

 


  1.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4329
    Read More
  2.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40035
    Read More
  3.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6183
    Read More
  4. 벼락치기 5/29/2013

    학창시절에 벼락치기를 안 해 본 사람이 있을까? 줄곧 수석을 달리거나 공부에 절대적 취미(?)를 가진 친구 아니고는 누구나 벼락치기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우리세대는 시험세대이다. 중학교 입학시험부터 학기 중에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며 학업...
    Views63117
    Read More
  5. 베이비부머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년~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
    Views14348
    Read More
  6.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4280
    Read More
  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2174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0767
    Read More
  9.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7482
    Read More
  10.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21450
    Read More
  11.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7911
    Read More
  12.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21656
    Read More
  13.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1065
    Read More
  1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6570
    Read More
  1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5159
    Read More
  16.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3015
    Read More
  17.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6497
    Read More
  18. 받으면 입장이 달라진다

    사람이 이 땅에 산다는 것은 “관계”를 의미한다. 숙명적인 “가족 관계”로부터 자라나며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장성하여 가정을 꾸미면 “부부관계”가 형성된다. “인생은 곧 관계”...
    Views8420
    Read More
  19.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9753
    Read More
  20.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06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