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7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증인.jpg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아(障礙兒)들이 있다. 토요일마다 귀한 친구들을 보살핀 세월이 어느새 25년이다. 어리디어리던 아이들이 이제는 거의 성인이 되었다. 그러면서도 그들을 장애아라고 부르는 것은 지능지수와 적응하는 반응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다. 언어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소통이 안되고 집중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분위기에 순응하는 아이들도 있지만 돌발행동을 하거나 자해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언제나 시선을 집중해 돌보아야 한다. 팬데믹으로 인해 모임을 정상적으로 가질수 없어서 Zoom 모임을 시도해 보았지만 여의치 않았다.

 

  장애아 중에는 압도적으로 자폐가 많다. 그것도 여아들보다는 남아들이 대부분이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아는 듯 하지만 자폐는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여러 가지 원인을 말하지만 확실한 것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대개는 3세 이전에 다른 또래들과의 발달상의 차이점이 나타나며 파악하게 되지만 언어발달이 늦어지는 것을 걱정하다가 뒤늦게 자폐 판정을 받기도 한다. 과거에는 자폐라고 단순히 진단했지만 이제는 각각의 문제 행동이 광범위한 수준에 걸쳐 나타나기에 이제는 스펙트럼 장애라고 부른다.

 

  아역배우 출신 김향기와 정우성이 주연을 맡은 증인이라는 영화가 2018년 나왔다. 무척 보고 싶었는데 정작 2019년 한국행 비행기 안에서 이 영화를 마주할 수 있었다. 우연히 살인사건을 목격한 자폐아 지우”(김향기 )를 둘러싼 내용들이 긴박하게 전개된다. 장애아를 처음 접해보는 변호사 순호”(정우성 )가 조심스럽고도 진정성있게 다가가 결국 진실을 이끌어 내는 내용이다. 장애를 가진 소녀를 증인석에 세우기까지의 과정과 어눌하지만 확실하게 목격담을 들려주는 지우의 모습은 숨을 죽이고 집중하게 만든다.

 

  처음 정우성이 김향기에게 다가갔을때에 소녀는 변호사를 향해 첫마디를 내뱉는다. “당신은 좋은 사람입니까?” 얼마나 장애인을 무시하는 사람이 많은가? 얼마나 사람을 이용하려 드는 부류가 많은가? 갑자기 나타나 다가서는 정우성을 향해 자폐 소녀는 질문을 던진 것이다. 그 질문 앞에 내가 움찔했다. ‘나는 좋은 사람인가?’ 돌아보았다. ‘정말 나는 장애인들을 가슴으로 사랑하는가? 정말 순수하게 장애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싶어하는 좋은 사람인가?’ 몇 번이고 내게 물어보았다.

 

  지우는 사건의 증인이었던 반면 순호는 지우의 말이 맞다는 것을 밝혀줄 유일한 증인이었다. 퀴즈를 좋아하는 지우에게 매일 시간을 정해서 통화하면 어떨까? 오후 5시는 어떠니?”라고 제안한다. 다양한 질문을 준비하는 순호와 매일 오후 5시 정각에 전화를 걸어 답하는 지우의 모습은 따뜻한 미소를 자아내게 하며 두 인물의 변화될 관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영화 대사 중에 나를 울게 한 대사는 자폐인들은 저마다의 세계가 있어요. 당신이 거기로 들어가면 되잖아요였다. 자폐아들은 집중을 못한다. 항상 주시하며 돌보아야 한다. 말 그대로 자폐”(자신의 세계속에 갇힘)라면 내가 그곳으로 가면 된다. 하지만 그들에게로 다가가야 한다는 생각을 한번도 해 본적이 없었다. 그런 내 모습이 몹시도 부끄러웠다. 아이들의 얼굴이 떠오르며 미안한 마음이 치고 올라왔다. 캄캄한 비행기 속에서 흘러내리는 눈물을 추스러야 했다.

 

  자폐뿐일까? 선뜻 다가서지 못하는 사람을 향하여 우리는 얼마나 그들 속으로 들어가려 해 보았는가? 가까이는 아내, 남편, 자녀들, 공동체의 일원들을 향해 말이다. 영화 증인에서 힘을 뺀 자연스러운 연기를 선보인 정우성과 새로운 캐릭터에 도전한 김향기의 향기로운 시너지가 더해져 감동이 밀려왔다. 영화는 어쩌면 현실적이지는 못했지만 결과적으로 행복한 상황으로 끝을 맺는다. 영화 증인은 사람 냄새가 나는 영화이며, 착한 사람이 승리하는 영화이다. 자폐아를 가진 부모, 그리고 주위 사람들의 심정을 엿볼수 있어 감사했다. 진정 흐뭇한 마음으로 감상하다보면 가슴이 따뜻하게 데펴져 오는 영화이다

 

 당신은 좋은 사람입니까?

 

 

 


  1. 희망을 쏘아올린 골든벨 2/13/2013

    <도전, 골든벨!>(KBS-1TV)은 사람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무려 50개항에 퀴즈를 풀어가는 동안 벼라별 해프닝이 속출한다. 학생들의 교복과 모자에는 응원자들과 탈락한 친구들의 명찰이 ‘치렁치렁’ 매어달리고 서서히 생존자(?)들이 줄어들기...
    Views89744
    Read More
  2. 희망과 추억이 가득한 성탄 12/24/2012

    한해가 조용히 저물어 가고 있다. 식당과 쇼핑몰마다 캐롤송이 울려 퍼지고 구세군 자선냄비와 어우러져 들려오는 종소리를 들으며 성탄이 가까워 옴을 느낀다. 아빠 차에 오른 딸에게 물었다. “너는 캐롤을 들으면 가슴이 설레이니?” “모...
    Views96853
    Read More
  3. 흘러가는 세월을 붙잡고

    세월은 흐르는 물처럼 빨리도 지나간다. ‘그런 말은 결코 다시 쓰지 않으리라!’ 다짐을 하건만 이맘때가 되면 또다시 되뇌이게 된다. 젊음이 오랜 줄 알고 그냥 저냥 지내던 20살 때에 고향 ‘포천’에서 사촌 형님이 오셨다. 우리 집...
    Views66135
    Read More
  4. 흔들바위 부부 8/19/2013

    고교 2학년 때에 설악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났다. 우리세대는 기억한다. 그 당시에 수학여행이 실로 추억덩어리였음을. 떠나는 순간부터 돌아오는 날까지 쉼 없이 몸을 흔들고 노래를 불러댔다. 목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을 때까지 말이다. 그래도 피곤을 모를 ...
    Views81540
    Read More
  5. 휠체어  7/7/2011

    휠체어가 한 대 놓여있다. 사람들은 휠체어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우선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두려운 마음이 들지도 모른다. 거동이 몹시 불편한 분들이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휠체어에 앉으신 분을 처음 보았을 때에 느낌이 떠오른다. 장애를 가지...
    Views84337
    Read More
  6. 후진을 더 조심해야 한다 8/26/2013

    3년 전 여름, 비가 몹시 쏟아지는 날이었다. 한아름 마트에 들렀다가 차를 후진하면서 승용차 문을 ‘살짝’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뒤에 아무것도 없는 줄 알고 후진 기어를 넣었는데 뭔가 닿는 느낌이 들어 차를 세워보니 그곳에 까만색 승용차가...
    Views73865
    Read More
  7. 황혼기 갈등 6/5/2015

    이 세상에 갈등이 없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부부는 만나면서 “갈등”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지도 모른다. 전혀 다른 관습과 환경 속에서 성장한 청춘남녀가 ‘사랑’이라는 가느다란 끄나풀로 시작하는 것이 부부이다. 그 사랑이라는 것...
    Views71883
    Read More
  8. 환상통(幻想痛)

    교통사고나 기타의 질병으로 신체의 일부를 절단한 사람들에게 여전히 느껴지는 통증을 환상통이라고 한다. 이미 절단되었기에 통증은 사라졌을 법한데 실제로 그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증뿐 아니라 가려움증도 있고 스멀거리기도 한단다. 절단 ...
    Views42721
    Read More
  9. No Image

    화장은 하루도 못가지만

    낯선 사람과 마주치며 느끼는 감정이 첫인상이다. 어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복장(服裝) ②헤어스타일 ③얼굴 표정 ④목소리 톤, 말투 ⑤자세로 밝혀졌다. 첫인상과 관련해서 ‘6초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겨우 6...
    Views6503
    Read More
  10. 화가 올라올 때 8/23/2014

    지금은 모르겠지만 내 생을 가만히 돌아보면 화를 자주 내며 산 것으로 기억이 된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걸음은 부실하고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몸은 따라주지 못하는 장애가 화를 유발하는 원인이었던 같다. 화를 자주 내는 사람들은 이미 매사에 화 기운...
    Views73933
    Read More
  11. 홀로 산다는 것

    나이가 들어가는 청년들을 만났을 때 “언제 결혼하냐?”고 묻는다면 당신은 상꼰대이다. 시대가 변했다. 결혼을 목표로 공부를 하고 스팩을 쌓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말이다. 우리가 어릴 때는 대가족 시대였다. 식사 때가 되면 3대가 온 상에 ...
    Views14245
    Read More
  12.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7719
    Read More
  13. 혹시 고집불통 아니세요?<2월 27일>

    사람들은 말한다. “나는 고집이 별로 없어!” 그런데 그를 아는 사람들은 “그 사람 고집이 쇠 힘줄이야!”라고 한다. 하도 오래되어서 이젠 우리 부부가 ‘가정사역자’라고 말하기도 민망하지만 부부들에게 물어보면 &ldquo...
    Views77614
    Read More
  14. 헐∼ 3/27/15

    나에게 재산이 있다면 소중한 친구들이다. 성격도, 만난시기도 다 다른 친구들이 여기저기 포진(?)하며 내게 힘을 준다. 그중에서도 ‘봉채’는 고 1때 만나 지금까지 끈끈한 우정을 이어오고 있다. 가만히 헤아려보니 어언 40여년이 흘러갔다. 고...
    Views88382
    Read More
  15. 허풍 8/31/2011

    사역을 하다보니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잔잔하고 진실한 성격의 사람을 만나기도하고 때로는 ‘척’들어도 허풍 같은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구사하는 사람까지 참 다채롭다. 심리학자 ‘칼융’의 학설처럼 겉으로 드러나...
    Views77286
    Read More
  16. 향수병(鄕愁病) 12/6/2010

    사람은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많은 곳을 떠돌며 인생을 엮어간다. 우리는 모두 한국 사람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외국에 나가 살게 될 줄을 예측한 사람이 있을까?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오신 분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어쩌다가 미국에 ...
    Views78648
    Read More
  17. 행복한 수고 10/29/2012

    이왕이면 건강한 아이를 키우고 싶은 심정은 부모라면 똑같은 바램이다. 하지만 인생이 사람의 마음대로 안된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는 분들이 장애아동을 가진 학부모들이다. 평범하게 살고 싶었던 부부에게 장애아가 태어 났을때에 그 충격은 당사자가 아...
    Views70461
    Read More
  18. 행복한 부부생활의 묘약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결혼을 한다. 그런데 “행복”이라는 것이 말처럼 쉽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님을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닫는다. 실로 결혼은 “종합 예술”이라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까? 세상에서 남녀가 만나 한 가정을 이루며 산다...
    Views69453
    Read More
  19. 행복한 부부생활의 묘약

    세상에 그냥 되는 일은 없다. 남녀가 만나면 feel이 통하고 그래서 사랑을 하고 무르익으며 결혼을 한다. 결혼은 시작이다. 그런데 많은 부부들이 결혼을 하면 다 된 줄 안다. 젊은 부부를 만나면 노파심에 하는 말이 있다. “노력 없이는 부부생활은 어...
    Views11601
    Read More
  20. 행복하십니까? 5/16/2012

    사람들은 오늘도 행복에 목말라 하고 있다. 행복은 무엇일까? 과연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필자가 어린 시절에는 행복이란 간단했다. “괴깃국(고깃국의 사투리)에 이밥(하얀 쌀밥)을 말아 먹는 것”이었다. 그것은 명절이라야 가능한 일이었...
    Views731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