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2.03 12:29

반말 & 존댓말 9/25/15

조회 수 716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반말 & 존댓말.jpg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친한 친구는 정말 말이 없다. 특별히 처음 만나는 사람 앞에서는 아예 입에 지퍼를 단 듯 입을 열지 않는다. 결혼을 한 후에 처갓집에 가게 되었다. 하도 말이 없으니까 장모님이 신부에게 묻더란다. “얘야, 송 서방은 왜 저리 화가 났냐?” 당황한 신부가 “아냐, 엄마. 저 사람은 원래 저렇게 말이 없어요!” 말이 너무 없으면 마치 뭔가 불만이 있는 것처럼 오해를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친구가 나를 만나면 봇물 터지듯 이야기를 쏟아낸다. 결국 사람은 말을 안 하고는 못사는 존재라는 것이다. 말은 너무 많아도 탈이고 적어도 문제다. 성경은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와 성내기도 더디 하라!”(약 1:19)고 충고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꾸로 산다. 사람들은 마음에 담겨있는 말을 끄집어내느라 오늘도 바쁘다. 미혼 자매들 중에 말 많은 남자를 좋아하는 자매는 거의 없다. 듬직하고 필요한 말만하는 남자에게 끌리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말없는 사나이가 ‘얼마나 속을 터지게 한다.’는 것을 막상 결혼을 하고야 깨닫게 된다.

 

우리나라 속담에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가 있다. 의사표현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좋아하는 고기에 비겨 표현한다. 입의 대표적 기능은 말을 하는 것이다. 지난 여름, 공교롭게도 아주 가까이 지내는 두 분이 뇌졸중으로 입원해 계시다. 한분은 팔다리는 제대로 쓰지 못하시지만 말을 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심방을 가도 예배를 드리고 대화를 나누면 마음이 편하다. 그런데 한분은 거동은 가능하신데 말씀을 못하신다. “저, 이재철 목사예요. 알아보시겠어요?” 물어도 가만히 쳐다만 보실 뿐 말이 없다. 안타깝다. 속히 말문이 열리기를 기도하고 있다.

 

말을 하는 것과 음식물을 섭취하는 기능이 입이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미국의 정치가들은 말을 잘한다. 특히 역대 대통령 중에 위기의 순간에 연설 하나로 국민들의 의식을 바꾸어 상황을 역전시킨 명장들이 수두룩하다. 한국의 정치인들은 어떤가? 참 말을 못한다. 누구 하나 국민의 심금을 울리는 언어의 능력을 가진 사람이 없다. “말하는 것과 먹는 것” 이 두 가지 기능을 제대로 해야 사람 노릇을 할 수 있다. 침묵할 때도 있지만 때로는 촌철살인(寸鐵殺人)의 표현력이 개인과 나라의 운명을 바꾸어 놓는 것이다.

 

말에는 반말과 존댓말이 있다. 물론 존댓말을 쓰는 것이 좋다. 그런데 기분 좋은 반말이 있고, 기분 나쁜 존댓말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내게 상담을 가르치신 은사 “정태기 교수님”은 나를 만나면 반말을 하신다. 너무 좋다. 목사 호칭도 안하신다. 게다가 성도 빼고 내 이름만 부르신다. “재철이!” 전라도 말투의 그 음성이 나를 행복하게 한다. 반면, 꼭 존댓말을 하는 대학 선배 목사님이 있다. 함께 밀알사역을 하는데 그분은 절대 어린 단장에게도 말을 놓는 법이 없다. 인품이 훌륭해 보인다. 그런데 어떨 때는 거부감이 느껴진다. ‘거기까지만 오라’는 묵시적 경고처럼 느껴져서 이다.

 

내가 아는 젊은 부부는 서로 존댓말을 쓴다. 의아해서 물었더니 “우리는 동갑내기라. 서로를 존중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서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참 지혜로워 보였다. 그러고 보면 말을 많이 하고 적게 하는 것처럼 반말과 존댓말을 조화롭게 쓰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문제는 나다. 나는 조금만 친해지면 반말이 절로 나온다. 나이와 관계가 없다. 그래서 나는 결코 인격적인 목사가 아님을 안다. 매일 기도를 하는데 이것은 생각처럼 안 된다.

 

‘소향’을 만났을 때도, ‘바다’를 만났을 때도 여전히 반말이었다. 헤어질 때에 말했다. “미안해. 나는 인격적이질 못한가봐” 그들은 말했다. “아녜요. 절대 고치지 마세요. 그게 목사님 매력이예요.” 으잉! 그래서 나는 오늘도 주로 반말을 한다. 도대체 나는 어째야 하는가?


  1. 당신의 운을 점쳐 드립니다!

    “운이 없어서 부도 당했다” “운이 없어 동업자를 잘못 만났다” “운이 없어 시험에 떨어졌다” 사람들은 “운”(運)에 대한 말을 많이도 하고 산다. 결국 “운”은 있는 것일까? 있다고 하더라도 &ldq...
    Views67141
    Read More
  2. 남자와 자동차

    십 수 년 전, 늦깎이 이민을 L.A.로 왔다. 그때가 40대 중반이었으니까 이민을 결단하기에는 위험이 따른 시기라 할 수 있었다. 지금이야 필라 밀알선교단에서 소신껏 사역을 하고 있지만 처음 맨주먹으로 이민을 왔을 때에 상황은 그리 녹록치만은 않았다. ...
    Views84126
    Read More
  3. 로봇다리; 세진 엄마

    내가 배 아파 낳은 자식을 키우기도 힘이 드는데 아무 연고도 없는 아이를 입양하여 멋지게 사는 분이 있다. “양정숙”씨(47)는 장애인 시설 자원봉사를 갔다가 운명처럼 만난 “세진”이를 아들로 입양한다. 그것도 두 다리와 오른손 ...
    Views75216
    Read More
  4. 생각, 아니면 느낌?

    사람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 동물들도 때로는 화를 내며 달려드는 것을 보면 감정이 없지는 않나보다. 우리는 순간마다 엄청난 생각을 흘려보내며 살고 있다. 발명왕 에디슨이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만들어진다.”고 했는데 사실 그...
    Views63866
    Read More
  5. 박첨지 떼루아!

    내가 어린 시절에는 볼거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들에게는 손에 잡히는 모든 것이 장난감이었다. 학교를 오가며 논길에 들어서면 거의 모든 것을 훑고 지나다녔다. 강아지풀을 잡아채어 입에 물고 다니는 것으로 시작하여 막 피어나는 ...
    Views64436
    Read More
  6. 응답하라, 1988!

    드라마가 이렇게 재미있어도 되는 걸까? 요즈음 아내와 드라마 삼매경에 빠져 추억에 젖어 보는 “응답하라, 1988”(이하 “응팔”)은 이런 질문을 저절로 하게 만든다. 몇 주 전에 한 교회를 방문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담임 ...
    Views68122
    Read More
  7. 아내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나이가 들어가는 부부가 행복해 질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간단하다. 감정과 대화가 통할 때에 행복지수는 높아진다. 여자는 나이가 들수록 에너지가 입으로 간다. 나이가 들수록 말이 많아진다는 말이다. 문제는 할 말과 안할 말의 경계가 나이가 들수록 ...
    Views77799
    Read More
  8. 2016년 첫 칼럼 나를 찾는 여행

    새해가 밝았다. 2016년이 시작되는 날이다. 사람마다 저마다의 소망을 품고 그 꿈이 이루어질 것을 간절히 바라며 신년호에 올랐다. 사람들은 만나면 서로를 알기위해 애를 쓴다. 고향부터, 가족과 친구관계. 그리고 그 사람의 취향과 재능까지 속속들이 알아...
    Views70638
    Read More
  9.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7193
    Read More
  10.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80841
    Read More
  11. 사랑 참 어렵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을 갈구하다가 사랑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요람으로부터 무덤까지 사람은 사랑을 위해 살다간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 행복해 하기도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구걸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평생 사랑을 베푸는 것...
    Views69387
    Read More
  12.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71693
    Read More
  13.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81738
    Read More
  14.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75848
    Read More
  15.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5702
    Read More
  16.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73638
    Read More
  17.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6182
    Read More
  18.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9821
    Read More
  19.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9631
    Read More
  20.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86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