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2.03 12:29

반말 & 존댓말 9/25/15

조회 수 693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반말 & 존댓말.jpg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친한 친구는 정말 말이 없다. 특별히 처음 만나는 사람 앞에서는 아예 입에 지퍼를 단 듯 입을 열지 않는다. 결혼을 한 후에 처갓집에 가게 되었다. 하도 말이 없으니까 장모님이 신부에게 묻더란다. “얘야, 송 서방은 왜 저리 화가 났냐?” 당황한 신부가 “아냐, 엄마. 저 사람은 원래 저렇게 말이 없어요!” 말이 너무 없으면 마치 뭔가 불만이 있는 것처럼 오해를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친구가 나를 만나면 봇물 터지듯 이야기를 쏟아낸다. 결국 사람은 말을 안 하고는 못사는 존재라는 것이다. 말은 너무 많아도 탈이고 적어도 문제다. 성경은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와 성내기도 더디 하라!”(약 1:19)고 충고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꾸로 산다. 사람들은 마음에 담겨있는 말을 끄집어내느라 오늘도 바쁘다. 미혼 자매들 중에 말 많은 남자를 좋아하는 자매는 거의 없다. 듬직하고 필요한 말만하는 남자에게 끌리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말없는 사나이가 ‘얼마나 속을 터지게 한다.’는 것을 막상 결혼을 하고야 깨닫게 된다.

 

우리나라 속담에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가 있다. 의사표현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좋아하는 고기에 비겨 표현한다. 입의 대표적 기능은 말을 하는 것이다. 지난 여름, 공교롭게도 아주 가까이 지내는 두 분이 뇌졸중으로 입원해 계시다. 한분은 팔다리는 제대로 쓰지 못하시지만 말을 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심방을 가도 예배를 드리고 대화를 나누면 마음이 편하다. 그런데 한분은 거동은 가능하신데 말씀을 못하신다. “저, 이재철 목사예요. 알아보시겠어요?” 물어도 가만히 쳐다만 보실 뿐 말이 없다. 안타깝다. 속히 말문이 열리기를 기도하고 있다.

 

말을 하는 것과 음식물을 섭취하는 기능이 입이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미국의 정치가들은 말을 잘한다. 특히 역대 대통령 중에 위기의 순간에 연설 하나로 국민들의 의식을 바꾸어 상황을 역전시킨 명장들이 수두룩하다. 한국의 정치인들은 어떤가? 참 말을 못한다. 누구 하나 국민의 심금을 울리는 언어의 능력을 가진 사람이 없다. “말하는 것과 먹는 것” 이 두 가지 기능을 제대로 해야 사람 노릇을 할 수 있다. 침묵할 때도 있지만 때로는 촌철살인(寸鐵殺人)의 표현력이 개인과 나라의 운명을 바꾸어 놓는 것이다.

 

말에는 반말과 존댓말이 있다. 물론 존댓말을 쓰는 것이 좋다. 그런데 기분 좋은 반말이 있고, 기분 나쁜 존댓말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내게 상담을 가르치신 은사 “정태기 교수님”은 나를 만나면 반말을 하신다. 너무 좋다. 목사 호칭도 안하신다. 게다가 성도 빼고 내 이름만 부르신다. “재철이!” 전라도 말투의 그 음성이 나를 행복하게 한다. 반면, 꼭 존댓말을 하는 대학 선배 목사님이 있다. 함께 밀알사역을 하는데 그분은 절대 어린 단장에게도 말을 놓는 법이 없다. 인품이 훌륭해 보인다. 그런데 어떨 때는 거부감이 느껴진다. ‘거기까지만 오라’는 묵시적 경고처럼 느껴져서 이다.

 

내가 아는 젊은 부부는 서로 존댓말을 쓴다. 의아해서 물었더니 “우리는 동갑내기라. 서로를 존중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서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참 지혜로워 보였다. 그러고 보면 말을 많이 하고 적게 하는 것처럼 반말과 존댓말을 조화롭게 쓰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문제는 나다. 나는 조금만 친해지면 반말이 절로 나온다. 나이와 관계가 없다. 그래서 나는 결코 인격적인 목사가 아님을 안다. 매일 기도를 하는데 이것은 생각처럼 안 된다.

 

‘소향’을 만났을 때도, ‘바다’를 만났을 때도 여전히 반말이었다. 헤어질 때에 말했다. “미안해. 나는 인격적이질 못한가봐” 그들은 말했다. “아녜요. 절대 고치지 마세요. 그게 목사님 매력이예요.” 으잉! 그래서 나는 오늘도 주로 반말을 한다. 도대체 나는 어째야 하는가?


  1.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3938
    Read More
  2.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39666
    Read More
  3.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5808
    Read More
  4. 벼락치기 5/29/2013

    학창시절에 벼락치기를 안 해 본 사람이 있을까? 줄곧 수석을 달리거나 공부에 절대적 취미(?)를 가진 친구 아니고는 누구나 벼락치기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우리세대는 시험세대이다. 중학교 입학시험부터 학기 중에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며 학업...
    Views62814
    Read More
  5. 베이비부머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년~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
    Views14059
    Read More
  6.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3993
    Read More
  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1822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0396
    Read More
  9.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7111
    Read More
  10.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21147
    Read More
  11.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7669
    Read More
  12.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21404
    Read More
  13.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0680
    Read More
  1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6247
    Read More
  1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4828
    Read More
  16.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2398
    Read More
  17.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6262
    Read More
  18. 받으면 입장이 달라진다

    사람이 이 땅에 산다는 것은 “관계”를 의미한다. 숙명적인 “가족 관계”로부터 자라나며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장성하여 가정을 꾸미면 “부부관계”가 형성된다. “인생은 곧 관계”...
    Views8142
    Read More
  19.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9380
    Read More
  20.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03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