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2.03 12:31

드라마 법칙 10/16/15

조회 수 687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드라마 법칙.jpg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사는 이야기이다. 사람을 알아야 공중에 떠 다니는 설교를 피할 수 있다. ‘픽션’이기에 과장되는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동포들의 시름과 향수병을 달래는 데는 드라마만큼 좋은 것도 없다.


나는 드라마를 좋아한다. 하지만 사역을 감당하다보면 시청할 시간이 솔직히 없다. 어쩌다 몇 주를 놓치면 숙제가 밀린 것 같아 부담스럽다. 꼭 보아야 할 것도 아닌데 말이다. 오늘은 드라마의 상투적인 법칙을 들여다보고 싶다. 대수롭지 않게 ‘틱틱’거리며 대했는데 알고 보니 남자 주인공이 재벌 3세이다. “왜 나를 속였느냐?”고 다그치며 진한 사랑에 빠져든다. 남자가 여자에게 옷을 사줄 땐 두세 번 안에는 절대 결정 나지 않는다. 남자는 앉아서 여자에게 옷을 이것저것 입혀 본다. 맘에 안들 땐 가볍게 손만 저어주는 센스! 꼭 여자가 지쳐갈 때쯤에야 'OK!'가 떨어진다!


남자주인공은 분노에 차오르면 꼭 멀쩡한 거울을 박살낸다. 아니면 미친 듯이 샤워를 한다. 드라마 속 “사장님, 실장님, 이사님, 상무님” 기타 등등은 대부분 20대 후반~30대 초반이다. 하지만 현실은 4,50대 아저씨라는 사실이다. 무언가를 깨뜨렸을 때 치우다가 꼭 손가락을 다친다. 사실 안 다치고 얼마든지 치울 수 있다. 밤늦게까지 야근하는 주인공은 일하던 중간에 잠이 든다. 그리고 누군가가 나타나서 겉옷을 덮어준다. 야근은 꼭 혼자하기 마련인데 말이다. 의학드라마는 반드시 "외과"를 배경으로 한다. 그리고 의사들 중 꼭 한명은 병에 걸린다.


그 밖에도 다양하다. 가난한 여자 주인공은 옥탑 방에 많이 산다. 누군가가 죽으면 꼭 화장해서 강이나 산에 뿌린다. 여자 주인공은 슬프거나 화나는 일이 있으면 밥을 비벼 그릇을 껴안고 울면서 ‘꾸역꾸역’ 먹는다. 신기한 것은 손도 안 들었는데 택시가 주인공 앞에 멈춘다. 외제차는 아무렇게나 주차해도 누가 뭐라고 하지 않는다. 당사자들이 만나면 끝이 나는데 아슬아슬하게 스쳐 지나가게 하며 애간장을 태운다. 갑자기 비 오는 날~ 여주인공이 우산이 없어 비를 맞고 갈라치면 갑자기 남자주인공이 옆에서 우산을 들이 민다. 어찌 비가 올 줄 알았는지?


남자주인공이 차타고 가다가 갑자기 불법유턴 ‘끽~~’ 하면서 여자주인공 있는 곳으로 다시 돌아간다. 시장을 보고 올 때 항상 바구니에는 ‘대파’가 담겨있다. 교통사고 날 때, 차가 저 멀리서 ‘빵빵’거리면서 오는데 멍청하게 서 있다가 치인다. 여주인공은 항상 화장을 하고 잔다. 그것도 ‘덕지덕지’. 찻집에서 주문할 때 남자주인공은 항상 "같은 걸로 주세요."한다. 명대사로는 "너 답지 않게 왜 그래?" "나 다운게 어떤건데?" 한 100번은 들은 듯하다.


보면서도 환멸을 느끼게 하는 흔한 시나리오는 알고 보니 “친남매, 친엄마, 친아버지”이다. 그런데 빤히 알면서도 그것이 밝혀지는 장면을 보기위해 우매한 시청자들은 몰두를 한다는 것이다. 요사이 새로 등장한 트랜드는 시· 공간 초월이다.(별에서 온 그대, 신의) 또한 소품을 이용한다. 목걸이, 반지, 상상을 초월한 액세서리까지 결국 그것이 드라마의 조미료 역할을 하며 흥미를 고조시킨다. 인기 작가라는 사실 때문인지 횡포가 느껴지는 경우도 많다.


아내와 함께 시청하다가 한마디 내뱉었다. “이건 너무 심하다!” 아내가 받아친다. “그러니까 드라마지!” “하긴” 빤히 알면서도 멈추지 못하는 것이 드라마 시청이다. 영상이 뛰어나고 나름대로 감수성을 자극하며 풍부한 상상의 나래를 펴게 만드는 작품도 없지 않아 있다. 보자니 그렇고 안보자니 서운하면서도 대화에 뒤쳐지는 것 같아 뒷맛이 그렇다. 드라마를 즐겨보는 분들은 진정 향수병 치료 차원인지? 시간을 죽이는 것인지 돌아보아야할 시점이다.


  1.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8791
    Read More
  2. 뒷담화의 달콤함

    갑자기 귀가 가려울 때가 있다. 그러면 이런 말이 저절로 튀어나온다. “누가 내말을 하나?”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사람은 영적 존재이기에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일찍이 나의 장인이 새로운 것을 알려주셨다. “왼쪽 귀가 가려우면 누군가...
    Views60120
    Read More
  3. 뒷곁 풍경 9/4/2012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
    Views66876
    Read More
  4. 두려움을 넘어가는 신비

    사람이 살면서 평생 풀어야 할 문제가 두려움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목을 놓아(?) 운다. 어렵게 태어났는데 나오자마자 웃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아이들은 울면서 인생을 시작한다. 왜 그럴까? 두려움 때문이다. 그 두려움 때문에 인생은 한날도 편안히 ...
    Views57305
    Read More
  5. 두 팔 없는 미인대회 우승자

    각 나라마다 미인대회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1957년부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을 드러내어 뽐내고 싶은 마음은 여성들의 본능인 듯 싶다. 세월이 흘러 이제 그런 대회는 멈추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상업...
    Views26959
    Read More
  6. 동화처럼 살고 싶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동화를 품고 산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평생 가슴에 담고 싶은 나만의 동화가 있다. 아련하고 풋풋한 그 이야기가 있기에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늙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철이 나고 의젓한 인생을 살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Views36728
    Read More
  7. 동정이 아닌 사랑으로! 1/1/2011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맘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자...
    Views79174
    Read More
  8. 동수와 경찰아저씨 5/2/2014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는 마음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
    Views70852
    Read More
  9. 동보극장 간판 예술가 12/8/2011

    평생 경찰로 살아오시던 아버지는 퇴직을 하시자마자 모든 것을 정리하여 서울행을 결심하신다. 내 나이 16살에 나는 그렇게 꿈꾸던 서울사람이 되었다. 밤이 되면 거리를 수놓는 현란한 네온사인 불빛이 어린 가슴을 설레이게 하였다. 처음에는 어리버리하던...
    Views80040
    Read More
  10. 동병상련(同病相憐)

    나에게는 소중한 제자들이 많이 있다. 철없던 20살, 반사를 하며 가르쳤던 주일학교 아이들부터, 22살 교육전도사가 되어 지도하던 학생들. 26살부터 지도했던 중 · 고등부 청소년들. 그리고 30이 넘으며 지도하던 청년대학부까지 많기도 많다. 하지만...
    Views16673
    Read More
  11. No Image

    돋는 해의 아침 빛<2023년 첫칼럼>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해돋이를 위해 산이나 바다로 향한다. 따지고 보면 같은 태양이건만 해가 바뀌는 시점에 바라보는 태양의 의미는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목사이기에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은 당연한 모습이요, 삶이 된 것 같다. ...
    Views9018
    Read More
  12. 독일제 백금 샤프 3/25/2013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미제> 학용품 하나만 가지면 아이들의 시선을 독차지 할 수 있었다. 진노오랑 색깔의 미제연필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질이 좋아 선망의 대상이었다. 연필에 선명하게 드러나는 <U.S.A>는 아이들의 탄성...
    Views77185
    Read More
  13. 독방 체험

    죄를 짓지 않고도 스스로 감옥행을 택한 이들이 있다. 감옥은 자유를 구속하는 곳이면서도 누군가에게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기르는 깨달음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쇠창살만 없지 영락없는 교도소다. 5㎡(1.5평) 남짓한 독방 28개가 복도를 마주...
    Views58628
    Read More
  14.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7755
    Read More
  15. No Image

    데이모스의 법칙

    삶은 생각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은 잠에서 깨어나면서 하루 종일 생각하며 산다. 과연 내 삶을 스치는 생각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말에 “오만가지 생각이 다 난다”는 표현이 있다. 그렇다. 묘하게도 사람은 하루에 5만~6만 가지 생각을 한다. ...
    Views5350
    Read More
  16.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66667
    Read More
  17. 대화하고 사십니까? 5/25/2013

    한문으로 사람을 “인간(人間)”이라고 한다. 글자대로 풀면 “사람 사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을 관계로 본 것이다. 혼자는 사람이 안된다는 뜻이다. 그러기에 하나님은 아담을 만드시고,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
    Views67284
    Read More
  18. 당연의 틀을 깨라! 4/17/2015

    사람은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는다. 집안에서부터 자라나며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훈련과 지식을 터득하며 성장한다. 그 모든 교육을 받고나면 의젓한 사회인이 되는 혜택(?)도 있지만 반면 “당연한” 인물이 된다. 지식이 충만해지며 ‘당연...
    Views65691
    Read More
  19. 당신의 운을 점쳐 드립니다!

    “운이 없어서 부도 당했다” “운이 없어 동업자를 잘못 만났다” “운이 없어 시험에 떨어졌다” 사람들은 “운”(運)에 대한 말을 많이도 하고 산다. 결국 “운”은 있는 것일까? 있다고 하더라도 &ldq...
    Views66170
    Read More
  20. No Image

    당신의 성격은?

    사람의 성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외향적이냐? 아니면 내향적이냐?”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에 거리낌이 없고 만나서 에너지를 얻는다면 당신은 ‘외향성이 강한 사람’이다. 반면에 사람을 만나는 것이 버겁고 특별히 새로운 사...
    Views468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