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2:51

방학숙제 7/22/2010

조회 수 710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가 ‘공부를 썩 잘했다’는 오해는 하지 않길 바란다. 선생님이 이름을 부르며 성적표를 나누어 주는 시간이 왠지 좋았다 . 

담임선생님은 성적표를 받아가는 아이들에게 한마디씩을 던지셨다. “공부 더 열심히 해라!”라던가 “와! 이번에 성적이 많이 올랐네”였다. 성적표를 받아드는 순간 “수, 우”가 많은 아이들은 함박웃음을 지었고, “양, 가”가 많은 아이들은 상을 찡그리며 슬그머니 성적표를 가방에 집어넣었다. 그 순간의 기억때문인지, 난 선생님이 되고 싶었던 때가 있었다. 성적표 아래쪽에 선생님이 적어주시는 학생 발달 사항 기재란이 있었다. 

“명랑 쾌활하나 조심성이 없음”에서부터 “그림에 소질이 있으며 아이들과 잘 어울림”등 그 내용은 다양했다. 성적이 좋은 아이들은 역시 앞뒤 문맥이 다 매끄러우면서 칭찬 일색이었고, 보통은 앞에는 긍정적인 내용이 펼쳐지다가 뒤에는 충고 하는듯한 반전 문맥이 이어졌다.

성적표와 같이 받아드는 것은 “방학생활”이라는 이름의 방학책이었다. 옛날이지만 방학책에서 풍겨나오던 매콤한 기름 냄새가 아직도 코에 배어있는 듯하다. 표지는 도시아이들이 모델이 되어서 세련되게 편집되어 있었다. 방학식이 끝나고 복도를 달려 나오며 아이들은 소리를 쳤다. 

누구나 ‘해방감’을 경험 할 때는 그런 탄성이 터져나오는가보다. 이제부터는 아침에 일찍 일어날 필요가 없다. 아픈 다리를 끌고 기나긴 등굣길에 나서는 일이 없어서 좋았다. 집에 돌아와 마루에 배를 깔고 엎드려 방학책을 넘긴다. 그러다가 방학책 사이에서 종이 한 장을 발견하게 된다. “방학과제” 즉 선생님이 내어주신 “방학 숙제 목록”이다. 왜그리 과제물은 많은지! 순간 한숨이 나온다. 방학은 좋은데 “숙제”는 미웠다.

방학숙제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은 크게 갈라진다. 방학 초기에 숙제를 ‘몽땅’ 해결하고 방학을 지내겠다는 부류와 “일단 방학은 방학, 놀고 보자”는 쪽이다. 방학이 시작되면 우선 작성하는 것이 「생활계획표」이다. 맨 위에 “하루 생활 계획표”라고 쓴다. 그리고 24시간이 들어가는 동그란 원을 그린다. 시간을 잘게 쪼개어 계획 난에 글씨를 쓰기 시작한다. 스스로 보아도 거창하다. 아침 기상시간이 오전 7시. 운동, 방학 숙제하기, 친구들과 놀기, 부모님 일 도와주기 등. 하지만 작심삼일이다. 하루 이틀은 잘 되는 것 같다가 며칠이 지나면 리듬이 깨지고 계획표하고는 전혀 관계없는 방학을 지내게 된다.

필자가 초등학교 4학년까지만 해도 “재건 아침 조례회”가 있었다. 지역별로 6학년 형이 반장이 되어 아침에 모여 봉사활동을 하는 것이다. 상당한 제재력이 있어서 방학 내내 아침이 되면 우리는 뒷산 기슭에 모여야만 하였다. 싸리 빗자루를 든 채 말이다. 휴지도 줍고, 파여진 웅덩이도 메우고, 동네 신작로를 쓰는 일을 주로 하였다. 일이 다 끝나고 나면 반장은 출석을 불렀다. 그 모습이 왜 그리 멋있어 보였던지 6학년이 되면 꼭 반장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5학년 말에 도시로 이사를 하는 바람에 그 꿈은 접어야만했다.

생활계획표는 벽에 단단히 붙어있지만 그것과는 전혀 관계없이 많이도 돌아다녔다. 친구들은 매일 만나도 마냥 좋았다. 시냇물에 발을 담그고 노래를 불렀다. 오늘은 웃마을에 갔다가 다음 날은 아랫마을로 어울려 산과 들, 물가를 쏘다녔다. 목이 마르면 시냇물을 ‘벌컥벌컥’ 들이켰고, 배가 고프면 널린 나무 열매를 따먹었다. 반도(고기 잡는 작은 그물)를 들고 시냇물 풀숲을 뒤지다가 붕어나 넙치, 미꾸라지, 피라미가 들어오면 우리는 ‘덩실덩실’ 춤을 추며 좋아했다. 그렇게 고기를 잡고 마지막에 고기가 든 깡통을 “누가 들고 갈 것이냐?”로 승강이가 붙기도 하였다. 

고기가 든 깡통을 든 아이가 그날 마지막 영웅이 된다. 동네에 들어서면 아이나 어른이나 누구든지 ‘고기를 얼마나 잡았는지?’ 궁금하여 깡통을 들여다보기 때문이다. 그때 고기 통을 든 아이는 순간 우쭐 해 지는 것이다.

이렇게 뛰어다니다보니 “방학숙제”는 딴전이다. 어쩌다 아침녘 평상에 모여 앉아 숙제를 시작하지만 “멱”(수영)을 감으러 나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어느새 책과 공책은 접혀진 채 달려 나가고 만다. 그렇게 지내다보면 여름방학은 순식간에 지나가버린다. 어느새 개학날은 다가오고 “숙제”는 해 놓은 것이 미미하고 담임선생님의 부릅뜬 눈매와 손에든 회초리를 상상하며 두려움에 떨게 된다. 

개학이 다가오며 우리는 정말 바빠진다. 우선 “곤충채집”를 하기 위해 나선다. 지금이야 멋진 망사로 만든 매미채가 있지만 그때는 둥글게 나무를 틀어 왕거미부터 잡아야했다. 이튿날에 보면 신통하게도 왕거미가 거미줄을 ‘촘촘’하게 쳐놓게 된다. 그 거미줄 매미채에 침을 살짝 뱉으면 끈끈해져서 잠자리, 매미등을 손쉽게 잡을 수 있었다. “식물채집”을 시작한다. 사실 방학 초기에 채집을 해서 무거운 것으로 눌러놓아야 하는데 시간이 바쁘니 생생한 식물을 그대로 공책에 붙이게 된다. 지금은 흔한 ‘스카치 테잎’이지만 그 당시에는 상상도 못할 일이다. 약국에 가서 반창고를 사다가 ‘덕지덕지’ 발라 놓게 된다.

문제는 “방학일기”이다. 어떤 아이는 미리 일기를 써놓고 연출(?)을 하기도 한다. 개학 이틀 전에 한 달반 동안에 일기를 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게다가 내용은 창작을 한다고 해도 날씨는 그게 아니다. 밤을 새워가며 일기를 쓰고 기억력을 되살리기 위해 몸부림을 치다가 여기저기 물어서 날씨를 조작한다. 그래서 일기 내용은 거의 천편일률(千篇一律)이다. “아침에 일어나 운동을 하고, 아침을 먹었다. 엄마가 하는 일을 돕다가 점심을 먹었다. 오후에는 우는 동생을 달래다가 친구들과 멱을 감았다. 저녁에는 아버지가 소여물을 쑤는 일을 도와드렸다. 아주 보람된 하루였다.”

드디어 개학날, 아이들은 방학숙제 한 것을 한 짐 싸들고 학교로 향한다. 과제물을 성실히 한 아이는 당당하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어깨가 ‘축’ 쳐져 등교를 하게 된다. 그때부터 펼쳐지는 많은 사건들이 뇌리에 스친다. 그 당시는 숙제를 한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사이에 많은 격차가 나는 것 같았지만 세월이 지나고 나니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방학은 방학이어야 한다. 쉴 때는 쉬어야 한다. 요즘 아이들에게는 방학숙제가 거의 없다고 한다. 격세지감을 느낀다. 그 아이들이 자라 인생의 숙제 앞에 섰을 때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하며 행복한 인생을 살아갈 수 있기를 기대 해 본다.


  1.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4320
    Read More
  2.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40027
    Read More
  3.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6172
    Read More
  4. 벼락치기 5/29/2013

    학창시절에 벼락치기를 안 해 본 사람이 있을까? 줄곧 수석을 달리거나 공부에 절대적 취미(?)를 가진 친구 아니고는 누구나 벼락치기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우리세대는 시험세대이다. 중학교 입학시험부터 학기 중에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며 학업...
    Views63109
    Read More
  5. 베이비부머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년~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
    Views14330
    Read More
  6.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4264
    Read More
  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2149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0742
    Read More
  9.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7458
    Read More
  10.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21430
    Read More
  11.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7903
    Read More
  12.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21630
    Read More
  13.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1040
    Read More
  1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6544
    Read More
  1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5146
    Read More
  16.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2995
    Read More
  17.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6483
    Read More
  18. 받으면 입장이 달라진다

    사람이 이 땅에 산다는 것은 “관계”를 의미한다. 숙명적인 “가족 관계”로부터 자라나며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장성하여 가정을 꾸미면 “부부관계”가 형성된다. “인생은 곧 관계”...
    Views8408
    Read More
  19.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9733
    Read More
  20.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06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