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02.25 15:01

고난의 종착역

조회 수 100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난.jpg

 

 

  고난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가가 울며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삶 자체가 고난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감지했기 때문이리라. 고난이 없는 인생은 없다. 날마다 크고작은 고난을 감내하며 인생이야기는 흘러가고 있다. 고난을 통과하지 않고는 보배를 보배로 깨닫지 못한다. 서양 격언에 이런 말이 있다. “No Cross is No Crown”<십자가 없이 면류관 없다> 참 위대한 말이다. 고난과 고통을 감내하지 않고는 결코 영광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나에게는 별난 취미가 있다. 방송국 연말시상식을 빼놓지 않고 시청하는 것이다. 시상식에 하이라이트는 역시 대상(大賞)이다. 능숙한 사회자의 조율로 긴장에 긴장을 거듭하다가 수상자가 발표된다. 드디어 이름이 불려지는 순간, 당사자는 당황하며 환희하는 얼굴이 잡히고 시상대에 오른다. 트로피를 받아들고, 소감을 말할 때 감사합니다!”라는 말로 시작하여 얼굴은 눈물범벅이 되어 말을 이어간다. 그 장면을 보며 함께 운다. 전혀 아는 사이도 아닌데 수상자와 한마음이 되어 함께 울며 축하 해 준다. 그 자리에 오기까지에 시간과 노력, 아픔이 전해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끔 그 순간, 아무 감정 없이 상을 받고 수상 소감을 말하는 사람을 보면 얄밉기까지하다. 그때 느끼는 것은 두 가지다.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냉혈인간이거나, 편법으로 상을 타게 되었거나그럴리는 없겠지만 고통의 시간을 통과했다면 영광의 순간에는 감격의 눈물이 저절로 흐르게 되는 것이라고 믿고 싶다.

 

  고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교마다 갖가지 해결책을 추구 해왔다. 힌두교에서는 갈마리라는 교리를 사용하여 전생의 죄 값대로 이 세상에서 고난을 당한다는 인과응보(因果應報)의 교리로 사람들을 비참하게 구속한다. 불교에서는 열반의 교리를 가르친다. 열반(涅槃)촛불을 끄듯이 꺼진다는 뜻으로 욕망을 완전히 종식시키면 인간의 모든 고통이 사라진다고 한다. 마치 스탠리 존스가 표현한 것처럼 두통을 없애기 위해서 머리를 자르는 것과 같은 형식이다.

 

  회교는 고난을 알라신이 정해준 철저한 운명론으로 가르친다. “한번 네가 고난을 당하면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굴복하는 것만이 너의 의무이다. 이 너를 그렇게 만들어 주셨으니 불평하지 말고 그대로 받으라는 것이 힌두교 교리이다. 소위 인쉬 알라!”이다. 이런 종교의 교리를 보며 깨닫는 것은 사람이 아무리 고난의 문제를 풀려고 아우성을 치고 연구에 연구를 거듭해도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고난은 그렇게 무지막지하고 무의미한 것이 아니다. 적어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하나님의 백성이라면 고난의 의미를 바로 깨달아야 한다. 고난은 고난으로 끝나지 않는다. 고난의 종착역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다. 하나님은 고난을 가지고 인생을 다루신다는 것을 맹백히 알아야 한다. 따라서 고난이 왔을 때 고난 자체를 보기보다 그 고난을 허락하신 하나님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고난을 당할 때에 고통은 당사자만이 알 뿐이다. 그 초라한, 비참함, 외로움, 가슴이 찢어지는듯한 고통은 아무도 알 수가 없다. 묘한 것은 그 아픔 한가운데 하나님은 서 계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고난의 바다 한가운데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기적을 체험한다. 고난은 사람을 겸손하게 한다. 고난은 자신을 돌아보게 한다. 그러므로 고난의 종착역은 환희와 축복이다. 따라서 고난은 축복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을 당하셨다.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형벌과 십자가에 못 박히는 고난을 당하신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고난은 부활의 영광으로 반전되고야 만다.

 

  고난 당하는 것은 불행처럼 보이지만 그런 고통을 통해 그분과 가슴으로 만날 수만 있다면 결국 그 고난으로 인하여 상상을 초월하는 축복역에 당도하게 될 것이다.

 


  1.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5121
    Read More
  2.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7261
    Read More
  3. 광화문 연가

    나는 아이돌 노래를 좋아한다. 노래에서 풍기는 젊음의 활력, 에너지 넘치는 춤사위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사람의 몸이 저렇게도 유연할 수 있을까?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 시대의 가요는 정적이었다. 뭔가 생각하며 들을 수 있는, 듣다보면 젖...
    Views48652
    Read More
  4. 관중 없는 올림픽

    모두의 염려 속에 개막한 올림픽이 연일 드라마를 연출하며 막을 내렸다. 승리하여 메달을 딴 선수는 인생 최고 환희의 순간을 만끽했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선수는 눈물을 흘리며 일찌감치 짐을 싸야만 했다. 스포츠 매니아라 할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시...
    Views14913
    Read More
  5. 관상 1/16/2015

    요사이 “왕의 얼굴”이란 드라마가 잔잔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작년에는 “관상”이란 한국영화가 9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결국 영화는“관상은 없다.”는 허무한 결론으로 끝이 난다. 과연 그럴까? ...
    Views82779
    Read More
  6.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6807
    Read More
  7.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30763
    Read More
  8.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4097
    Read More
  9.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74971
    Read More
  10. 고독은 가을을 닮았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만 되면 이상하리만큼 가슴 한켠이 비어있는 듯 한 허전함을 느낀다. 가을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마력이 있다. 젊은 날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을 곰곰이 되새기게 된다. 운전을 하며 지나치는 숲속을 주시하고, 우연히 마주친 장애인...
    Views61917
    Read More
  11. 고난의 종착역

    고난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가가 울며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삶 자체가 고난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감지했기 때문이리라. 고난이 없는 인생은 없다. 날마다 크고작은 고난을 감내하며 인생이야기는 흘러가고 있다. 고난을 통과하지 않고는 보배를 ...
    Views10099
    Read More
  12. 경동시장 1/24/2015

    나는 청소년기부터 대학시절을 “제기동”에서 살았다. 가까이는 청량리 역이 위치해 있었고 조금 더 가면 홍릉과 세종대왕 기념관, 그리고 당시 KIST가 자리한 사통팔달의 동리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흥미진진한 곳은 ‘시장통’이었다...
    Views78682
    Read More
  13. No Image

    결혼하고는 완전 다른 사람이예요!

    결혼 3년 차에 접어든 새댁이라면 새댁이 내뱉은 말이다. 연애할 때는 그렇게 친절하고 매너가 좋았는데. 그래서 ‘이 남자하고 살면 마냥 행복할 줄 알았는데’ 결혼해 살아보니 “말짱 꽝”이다. 연애 할 때는 이벤트로 깜짝깜짝 놀라...
    Views4649
    Read More
  14. 결혼의 신기루

    연거푸 토요일마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바야흐로 결혼 시즌이다. 코발트색 가을하늘. 멋진 턱시도와 눈부신 웨딩드레스를 입고 서 있는 신랑 신부의 모습은 진정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영롱하다. 필라에는 정말 멋진 야외 ...
    Views8421
    Read More
  15. 결혼 일곱고개 6/17/2012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
    Views66431
    Read More
  16. 결혼 상대자로 장애인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인생의 3분지 1은 혼자서 산다. 3분지 2는 둘이서 살아야 한다. 혼자 살 때는 가끔 외로울 때가 있긴 하지만 자유로워서 좋다. 그러나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실 때 혼자서는 잘 살아가지 못하도록 창조하셨다. 반드시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Life Story를 엮...
    Views62315
    Read More
  17.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8313
    Read More
  18.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7659
    Read More
  19.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4439
    Read More
  20.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60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