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99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jpg

 

 

  장애를 가지고 평생을 사는 것은 고통이다. 사람은 항상 자신의 수준에서 인생을 생각한다. 건강한 것은 물론 축복이다. 하지만 장애에 대해 절실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장애는 선천성과 후천성이 있다. 사람들은 선천성 장애가 많은것으로 생각한다. 아니다. 후천성이 대부분이다. ‘그 시기가 어느때인가?’는 또 다른 문제이지만 태어난 후에 장애를 입는 경우가 압도적이다. 나도 태어날 때는 건강하게 태어났다. 생후 2살 때 홍역을 앓으며 소아마비에 걸려 장애인이 되었다. 한편으로 감사한 것은 어린 시절은 힘들었지만 오랜 세월 장애를 받아들이며 적응할 수 밖에 없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장애를 가지는 경우는 그 충격이 상상을 초월한다. 중도장애인들은 현실을 받아들이고 치료를 해나가는 과정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소위 재활훈련이라는 것이 말처럼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하기에는 가혹할 정도로 힘든 과정이다. 견디고 싸워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편한 쪽으로 흘러가면서 결국 중증장애의 삶을 사는 분들이 많다. 우리 밀알선교단에도 불편하지만 스스로 걸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사시던 분이 크게 넘어져 걷지 못하게 되자 휠체어를 의지하게 되었고 이제는 널싱홈에서 Care를 받으며 살아가는 처지가 되었다. 재활은 생각도 못하면서 말이다.

 

  장애라는 한문 障礙는 가로막을 거리낄 이다. 자신에게나 대중들에게도 선뜻 환영받을 수 없는 존재라는 뜻이다. 거기다가 사람 을 붙이면 그런 부류라는 뜻이다. 사실 나도 어려서부터 그런 대우를 받으며 자랐다. 같은 상황인데도 건강한 아이가 반장이 되어야 했고, 고교시절에는 학생회 임원으로 당당히 활동을 하다가 학도호국단이 생기며 내 존재는 퇴색되어 갔다. 체육부장을 하던 관주가 갑자기 연대장이 되어 구령을 붙이는 모습을 헛웃음을 치며 바라보아야 했다. 아직도 교련복을 입지 못하고 지낸 것이 가슴 한구석에 미련으로 남아있다.

 

  세상에는 변하는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환경은 잘 변하지 않는다. 코로나가 닥쳤을때에 금방 물러갈 줄 알았는데 아직도 팬데믹은 끝나지 않고 있다. 내가 처음 교회를 나가 드렸던 기도는 하나님, 내 다리 고쳐주세요!”였다. 하지만 장애는 내가 평생 안고 가야 할 짐이다. 다행스럽게도 그렇게 수치스럽고 버거웠던 장애가 밀알선교단 사역을 하며 장애인들에게 소망을 주고 처음 만나도 친근해지고 바라만 보아도 좋고, 손만 잡아도 위로할 수 있는 훈장이 된 것이다.

 

  19791016일 밀알선교단은 설립되었다. 중학교 2학년에 갑자기 실명을 하고 좌절에 빠져있던 소년은 난관을 딛고 일어나 신학대학에 입학을 한다. 그의 꿈은 장애인선교를 펼치는 것이었다. 함께 공부하는 신학도들에게 그 꿈을 이야기할라치면 동정어린 눈으로 동조할 뿐 헛된 망상으로 취급하였다. 그럴 수밖에. 당시 장애인들은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았다. “불구자, 병신, 장님, 벙어리, 곱추, 천치, 바보등이 장애인을 부르는 명칭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누구의 부축을 받아 거동해야 하는 시각장애 신학생의 말은 그 누구도 관심밖에 일이었다.

 

  하지만 43년이 지난 지금. 한국, 미국을 비롯한 유럽, 동남아, 남미, 중미까지 70여개의 밀알선교단이 장애인선교를 펼치고 있다. 게다가 설립자인 이재서 목사는 현재 총신대학교 총장의 직함을 감당하고 있다. 52() 총장실을 방문하고 대담을 나누면서 감격스러웠다. 40여년전, 누군가의 부축을 받으며 교정을 오가던 시각장애인 학생이 총장이 되어 모교를 이끌 줄은 누가 상상했겠는가? 하나님은 실로 놀라운 분임을 깨닫는다. 그분이 유학하던 곳이 필라델피아라는 사실에 자긍심을 느낀다.

 

  장애에 치어살기보다 그 장애를 신앙으로 받아들이고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면 주어진 환경을 長愛할 수 있는 경지에 다다를 수 있다. 장애는 더 놀라운 기적을 체험하고 창출 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음을 장애인들에게 외치고 싶다.

 


  1. 가을남자 박완규

    밀알의 밤이 두주 앞으로 다가왔다. 게스트를 확정하고 밀알 단원들에게 “아직 멀었지만 미리 기도로 준비하자!”고 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지척이다. 가을은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삶을 돌아보게 하고 항상 들었던 음악의 느낌을 가슴으로 ...
    Views63698
    Read More
  2.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2222
    Read More
  3. No Image

    가을 한복판에서 만나는 밀밤

    밀알의 밤(밀밤)이 막을 내렸다. 구름떼처럼 모여드는 청중에 놀라고 매년 그 시간, 그 자리를 지켜주는 분들의 열정에 감탄한 시간이었다. 밀알의 밤은 온 가족이 편안한 마음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장이요. 가을에 걸 맞는 분위기로 삶을 돌아보게 하는 묘한...
    Views46780
    Read More
  4. 가을 피아노 9/30/2013

    내 생애에 가장 후회되는 것이 있다면 피아노를 배우지 않았다는 것이다. “배우지 못했다”가 아닌 “배우지 않았다”라는 표현은 얼마든지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거부하였음을 의미한다. 고교 1학년 때였다. 아버지가 차려놓은 ...
    Views73332
    Read More
  5. 가을 품속에서 11/28/2014

    가을이다. 매년 맞이하는 계절이지만 금년 가을의 숨결은 내 마음을 더 편안하게 한다. 무려 4개월 이상을 숨 가쁘게 달려왔다. 상상하지도 못했던 전화를 받은 것이 6월의 마지막 날이었다. 5월 한 달, 중국 그리고 동남아 선교를 마치고 돌아와 지친 몸과 ...
    Views66435
    Read More
  6.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71455
    Read More
  7. 가을 창가에서

    사람마다 계절의 감각을 달리 느낀다. 여성들은 봄의 감성에 손쉽게 사로잡힌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의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치면 원인 모를 외로움이 살며시 고개를 내어민다.홍릉의 가로수 마로니에 잎이 흐드러지게 날리는 것을 보며 사춘기를 넘어...
    Views5477
    Read More
  8. 가을 미소를 만나다 11/22/2012

    오랜 날 기도하며 준비하던 밀알의 밤이 가까워오는 지난 수요일(7일) 나는 뉴욕을 향해 차를 몰고 있었다. 밀알의 밤에 출연하는 두 자매가 JFK 공항에 도착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전날 뉴욕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박 목사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뉴...
    Views71266
    Read More
  9. 가을 그림 11/22/2012

    태풍이 할퀴고 지나간 상처는 너무도 깊은 것 같다. 불행 중 다행히도 필라델피아는 극한 상황을 넘기며 전기사정이 회복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미주 동부지역은 상상을 초월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부 뉴저지 지역은 전기는 고사하고 주유소에 기름이 없...
    Views75776
    Read More
  10.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38784
    Read More
  11. 가시고기의 사랑

    오래전 조창인의 소설 ‘가시고기’가 많은 사람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다. 가시고기는 특이한 고기이다. 엄마 고기가 알을 낳고 그냥 떠나 버리면 아빠 고기가 생명을 걸고 알을 지킨다. 그 후 새끼가 깨어나면 새끼는 아빠의 고생도 모르고 훌쩍 떠...
    Views80780
    Read More
  12. 가슴으로 만나야 한다 2/25/2012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남”이다. 사람이 태어나면 먼저 “숙명적 만남”을 갖는다. 그것이 가족이고 집안이다. 나의 어머니, 아버지는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보니 그런 분들이 나의 부모님이셨다. ...
    Views76049
    Read More
  13. 가슴 4/19/2014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시기가 되면서 나는 참 힘든 시간을 보내야했다. 동네를 가로 질러 지나 갈 때면 길에 나와 놀던 아이들이 다리 저는 흉내를 내며 나를 놀려댔다. 아이들은 내가 듣기에 거북한 소리를 질러댔다. 게다가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
    Views66006
    Read More
  14. 가상과 현실

    고교시절 가슴을 달뜨게 한 노래들이 멋진 사랑에 대한 로망을 품게 했다. 70년대 포크송이 트로트의 흐름을 잠시 멈추게 하며 가요판세를 흔들었다. 템포가 그리 빠르지 않으면서도 서정적인 가사는 청춘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었...
    Views41127
    Read More
  15. 가리방을 아시나요? 11/8/2012

    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가장 흔한 인쇄술을 ‘가리방’이었다. 아니 다른 대안이 없는 유일한 방법이었을 것이다. ‘가리방’은 일본 말인 듯 하고 사실은 “등사기”라고 해야 맞는 어법이다. 하지만 글의 맛이 살리기 위해 ...
    Views85025
    Read More
  16. 가는 길 다시 묻고, 묻고 물어

    “니이체”는 인간의 의식 발전을 세 단계로 이야기한다. 첫째. 낙타의 단계: 낙타는 무거운 짐을 지고 가는 짐승이다. 시키는 대로 하고 입력된 대로 산다. 물음이 없다. 저항도 없다. 평생 하라는 대로만 하는 영성지수 100-150의 단계이다. 둘째...
    Views64461
    Read More
  17. 障礙가 長愛가 되려면

    장애를 가지고 평생을 사는 것은 고통이다. 사람은 항상 자신의 수준에서 인생을 생각한다. 건강한 것은 물론 축복이다. 하지만 장애에 대해 절실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장애는 선천성과 후천성이 있다. 사람들은 선천성 장애가 많은것으로 생각한다. 아니...
    Views9996
    Read More
  18. “햇빛 노인정”의 기막힌 장례식 1/30/2015

    언젠가 방영되었던 MBC 단막극의 제목이다. 드라마는 아파트 “햇빛 노인정” 사람들이 친구의 폐암 소식을 듣고 수술비를 마련하려 애를 쓰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하지만 다들 자식들에게 용돈을 받아 사는 노인들이라 거두어진 돈은 몇 만원에 불...
    Views77297
    Read More
  19. No Image

    “자식”이란 이름 앞에서

    누구나 태어나면 자녀로 산다. 부모가 능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그 그늘 아래에 사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나이가 들어서야 깨닫게 된다. 철없이 투정을 부리고 때로는 부모의 마음을 속타게 하며 자라난다. 장성하여 부모가 되고 나면 그분들의 노고와 ...
    Views4488
    Read More
  20. No Image

    “오빠”라는 이름의 남편

    처음 L.A.에 이민을 와서 유학생 가족과 가까이 지낸 적이 있다. 신랑은 남가주대학(U.S.C.)공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고, 세 살 된 아들이 하나 있었다. 아이 엄마는 연신 남편을 향해 “오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금과 달라서 그때...
    Views418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