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67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84046688_qAUvNBzT_1.jpg

 

 

한국은 지금 졸업시즌이다. 초등학교부터 중, 고등학교를 거쳐 요사이는 대학졸업식이 한창이다. 날을 잘 만나면 따스하기도 하지만 아직은 쌀쌀한 중에 졸업식을 거행하고 있다. 미국은 가을학기이기에 거의 초여름에 졸업식을 한다. 큰 아이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에 미국 학교 졸업식에 대해 많은 기대감을 가지고 참석했지만 무더위에 많은 인파들이 몰려 북새통을 이루는 바람에 그냥저냥 보낸 것이 아쉽다. 졸업식 후에는 온가족이 식당에 가서 모처럼 외식을 하는 것이 졸업식 풍경인데 미국이라 그런 분위기를 만드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이렇게 말하면 촌스럽다고 할지 몰라도 졸업식은 역시 차가운 겨울에 하는 것이 더 낭만적인 것 같다.

요사이 한국에서는 아이들이 하도 조숙해져서 ‘뒤풀이 추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교복을 찢는일은 우리 때도 있었지만 도가 지나친 기괴한 행동을 하면서 사진까지 찍어 사람들의 이맛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그런데 신선한 졸업식을 하는 학생들을 보며 감동이 밀려왔다. 주인공들은 충북 영동에 <추풍령중학교> 졸업생들이다. 이 학교를 졸업하는 학생들은 벌써 12년째 “타임캡슐”을 묻으면서 아름답고 조용한 졸업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16일(수) 열리는 졸업식에서 졸업생 19명이 손때 묻은 책과 노트, 사진 등을 캡슐에 담아 운동장 귀퉁이에 묻었다. 캡슐 안에는 20년 뒤 스스로에게 보내는 편지도 함께 봉인된다. 2000년 졸업부터 타임캡슐을 묻기 시작한 이 학교 운동장에는 벌써 11개의 캡슐 표지석이 세워졌다. 그때만해도 졸업생이 32명이나 되었는데 이제는 19명으로 줄었다.

희한한 것은 반 학생 19명이 초등학교 때부터 줄곧 함께 공부를 해 왔다는 사실이다. 그것도 ‘남녀공학’으로 말이다. 한동네에서 태어나 자라나고 9년을 동문수학하다보니 서로가 부모님 성함까지 줄줄이 꾀고 있는 것이 신기했다. 아이들은 모두다 “졸업을 안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 이유를 물으니 “초등학교 때부터 함께 해왔던 친구들과 헤어지는 것이 너무 싫어서”라고 대답한다. 병현이는 20년 후에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며 편지를 써서 캡슐에 넣기로 했다. 내용을 살짝 엿보니 “병현아 안녕, 살아있지? 살아있으면 당대에 최고회사원이 되어 있을거야. S 전자 맞지? 거기서 월급 800만원 이상을 받으며 잘하고 있을 거야. 아내는 기본 ‘아이유’급 정도의 미모겠지. 부러워” 중학생다운 순수함이 묻어난다.

교실 밖에서 “세웅”이와 “한별”이가 무언가 열심히 쓰고 있다. 졸업을 앞두고 서로에게 편지를 쓰고 있는 중이다. 기자가 다가가 물었다. “편지를 읽으니 어때요?” “슬퍼요.” 한별이가 소감을 말하더니 머리를 숙이고 울기 시작한다. 갑작스런 반응에 세웅이도 어쩔줄을 모른다. 한별이는 이내 흐느끼기 시작했다. 둘은 유치원 때부터 13년이 넘게 우정을 나누어온 ‘단짝’이다. 기자가 짖꿋게 묻는다. “편지에 뭐라고 썼어요?” “나보다 예쁜 여자는 없을 거라고. 영광인 줄 알라고…” 맞은편에 세웅에게 물었다. “한별이보다 예쁜 여자가 있어요, 없어요?” 당황하던 세웅이가 입을 연다. “없을 것 같아요.” 대답을 들은 한별이가 좋아서 박수를 친다. 그들의 모습이 너무 예뻐서 나도 가만히 눈을 감았다. 세웅이와 한별이는 바로 사진관에 가서 기념촬영을 하고 그 사진을 타임캡슐에 담았다.

이 “타임캡슐”은 20년 후에 개봉할 예정이란다. 그러니까 10대에 헤어진 친구들이 “30대 중반이 되어 오픈하여 추억을 되뇌인다.”는 계획이다. 참 멋이 있다. 아니 너무 부럽다. 20년이 지난 후에 때 묻지 않은 순수한 모습으로 땅에 고이 묻어 두었던 “타임캡슐”을 열어 옛 추억을 나누는 그들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제 졸업을 앞둔 마지막 수업인 음악시간이다. 내일 졸업식에서 부를 노래를 연습한다. 이미 불러왔던 노래인데 오늘따라 만감이 교차한다. 친구들과의 작별이 이제야 조금씩 실감이 나면서 노래를 잇지 못하고 눈에는 ‘그렁그렁’ 이슬이 맺힌다. 한사람씩 나와서 졸업인사를 하기로 했다. 차례차례 나가 서지만 말문을 이어가지 못하고 울기만 한다. 여학생은 그렇다쳐도 남학생들이 우는 모습은 지켜보기가 어려웠다. 우정의 깊이만큼 헤어짐의 아픔은 크다. 누구에게나 학창시절이 있다. 그때는 꿈과 추억. 그리고 사랑이 있었다. 늘 가까이에 있지만 잊고 살기 쉬운 소중한 것들을 돌아보자!


  1. 안동 영명학교  4/29/2011

    날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집회를 인도하며 분주하게 한국에서의 일정을 감당하고 있다. 8일(금) 그리운 한 가족을 향해 안동으로 길을 재촉했다. 한국 밀알 총단장 성경선 목사님은 나를 안동까지 친절하게 라이드 해 주었다. 내가 안동으로 향하는 이유는...
    Views102871
    Read More
  2. 진중세례식  4/10/2011

    오랜만에 맡아보는 한국의 봄 냄새가 싱그럽다. 봄은 신비롭다. 신기하다. 다 죽은 것 같던 만물이 기지개를 켜며 살아나니 말이다. 개나리가 노오란 꽃망울로 봄소식을 전하더니 이내 목련이 매력이 넘치는 하이얀 목덜미를 드러내며 그 자태를 뽐내고 있다....
    Views98049
    Read More
  3. 개나리 꽃이 피었습니다! 4/5/2011

    금년 겨울은 몹시도 추웠다. 눈도 엄청나게 쏟아졌다. 그 지리한 겨울의 한복판에서 “언젠가는 봄이 오겠지. 아마 금년에는 봄이 다른 때보다 더 빨리 올거야!”하는 기대감에 살았다. ‘썸머 타임’이 시행된 지 일주일 만에 정확히 지...
    Views116550
    Read More
  4. 달빛 3/9/2011

    주차장에 차를 대고 집안에 들어서려다가 나도 모르게 고개가 하늘로 향한다. 휘영청 밝은 달이 나를 내려다보고 있다. “아, 오늘이 보름이구나!” 크고 둥그런 달이 하늘 중앙에 떠있다. 똑같은 달인데 머나먼 타국에서 바라보는 달은 그 느낌이 ...
    Views102583
    Read More
  5. 졸업 기념 - 타임캡슐 3/9/2011

    한국은 지금 졸업시즌이다. 초등학교부터 중, 고등학교를 거쳐 요사이는 대학졸업식이 한창이다. 날을 잘 만나면 따스하기도 하지만 아직은 쌀쌀한 중에 졸업식을 거행하고 있다. 미국은 가을학기이기에 거의 초여름에 졸업식을 한다. 큰 아이가 고등학교를 ...
    Views106739
    Read More
  6. 순수야, 푼수야? 2/23/2011

    나는 순수한 사람이 좋다. 순수한 사람을 만나면 살맛이 나고 삶의 도전을 받는다. ‘순진’과 ‘순수’는 다르다. ‘순진’은 사실 경험하지 않음에서 오는 풋풋함이다. 세상 물정에 어두워 어수룩하다고 표현해야 할까? 어린...
    Views110103
    Read More
  7. 멕시코 땅 “엔세나다” 2/11/2011

    지난 1월 12일(수) 폭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나는 L.A.행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 밀알선교단 행사와 집회인도를 위해서였다. 혹한의 겨울날씨가 맹위를 떨치는 필라델피아와는 달리 L.A.는 코발트색깔의 하늘과 매일 75˚를 유지하는 쾌적한 날씨가 이어...
    Views87147
    Read More
  8. 눈 속에서 피워낸 찬양의 향기  2/11/2011

    <대학합창단 초청 음악회>를 준비하면서 밀알 가족들의 마음은 몹시 설레었다. 대학합창단의 청아한 찬양을 들을 수 있다는 기대감과 멀리서 필라델피아를 찾아오는 손님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비행기 운항비를 절감하기 위해서였는지 ...
    Views94599
    Read More
  9. 음악은 인생의 친구 1/28/2011

    사람마다 취미가 다르고 추구하는 성향이 다르지만 모두가 한결같이 좋아하는 것이 있다. 바로 음악이다. 좋아하는 장르는 다양하겠지만 음악은 인류역사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삶의 조미료 역할을 감당하며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어 준다. 아가가 엄마 뱃속에...
    Views95988
    Read More
  10. 끊고 시작하고 1/28/2011

    중학교를 시골(양평)에서 다닌 후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 나는 그리운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기차역까지 배웅을 나와 떠나가는 나를 향해 플랫 홈에서 손을 흔들어주던 친구들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어린 날에 정들었던 친구들과...
    Views101210
    Read More
  11. 장애를 끌어안고 사는 사람들 1/13/2011

    장애를 가지고 산다는 것은 비단 당사자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장애인 형을 둔 어떤 분이 어린 시절 “형 때문에 화장실에 들어가 운적이 많았다”는 이야기를 할 때 필자의 가슴은 아려왔다. 사람들은 필자를 만나기만하면 물었다. 아주 조심스...
    Views101317
    Read More
  12. 동정이 아닌 사랑으로! 1/1/2011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맘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자...
    Views101797
    Read More
  13. Merry Christmas!!! 12/24/2010

    아내와 함께 주일예배를 드리고 차에 올랐다. 섭씨 영하 5°로 체감온도는 상상을 초월할 매서운 추위가 등줄기를 식혀버렸다. 차가 움직이면서 혼자 말처럼 중얼 거렸다. “나만 그런가? 나이가 들어서인지 성탄절이 가까워져도, 캐롤송을 불러도 성...
    Views95744
    Read More
  14. 통제하지 마세요! 12/18/2010

    사람은 누구나 동화 같은 사랑을 꿈꾼다. 사람이 살아가는 이유는 결국 사랑을 위해서이고 행복해 지는 지름길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 어른만 사랑을 하는 것이 아니다. 소꿉놀이를 하는 어린아이들에게도 사랑의 흐름이 있다. 남녀...
    Views107736
    Read More
  15. 낯설다 12/6/2010

    경기도에서 자란 나에게 서울은 별천지였다. 어쩌다 서울에 올라치면 준비과정이 복잡하였다. 시골촌놈이 서울에 온다는 것이 얼마나 가슴 뛰었는지 모른다. 지금은 30분이면 오는 서울을 그때는 버스로 두 시간이 더 걸렸던 것으로 기억된다. 먼지 날리는 비...
    Views90630
    Read More
  16. 향수병(鄕愁病) 12/6/2010

    사람은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많은 곳을 떠돌며 인생을 엮어간다. 우리는 모두 한국 사람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외국에 나가 살게 될 줄을 예측한 사람이 있을까?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오신 분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어쩌다가 미국에 ...
    Views101079
    Read More
  17. 친구가 필요합니다! 12/6/2010

    기나긴 인생여정을 지나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비결은 친구를 가지는 것이다. 친구를 만나고 삶을 나누며 인생길을 걷다보면 편안하고 든든 해 진다. 친구도 종류가 다양하다. <꽃>과 같은 친구가 있다. 꽃이 피어서 예쁠 때는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아끼지 ...
    Views101934
    Read More
  18. 아름다운 동행 10/8/2010

    노진희 자매. 그녀는 뇌성마비 1급 장애인이다. 다시 말하면 중증장애인이다. 그녀는 경남 통영에 있는 장애인 시설에서 21년을 살았다. 독립해서 4년을 살다가 기적적으로 비장애인 남편을 만나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다. 오늘은 그녀의 이야기를 들려드...
    Views90322
    Read More
  19. 송정미 & 차인홍

    가을이다. 낮에는 햇살이 제법 따갑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친다. 새해를 맞이하며 꿈에 부풀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세월은 가을바람처럼 너무도 빠르게 지나가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가을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은 어디를 가나...
    Views95743
    Read More
  20. 웃으면 행복 해 져요! 9/22/2010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웃음은 “만국공통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듯싶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
    Views942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