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95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img_792597106683890.jpg

 

나이가 들어가면서 감사한 일 중에 하나는 아버지, 어머니를 잘 만났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불만이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나도 나의 부모님에 대해서 아쉬워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한사람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넉넉한 부모님을 만났더라면,’에서 시작하여 ‘자녀들의 재능을 잘 파악하고 계발해 준 부모님이었으면.’하는 불만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치유상담을 공부하며 만났던 많은 분들이 아버지 어머니로부터 받은 상처를 토해내는 모습을 보며 내가 너무 사치스런 투정을 부렸던 것을 깨닫게 되었다. 50년대 베이비 붐 시대에 태어났지만 나는 그렇게 배가 고팠다거나 극한 가난에 허덕인 경험은 없다. 경찰 공무원이셨던 아버지 덕에 부요하지는 않았지만 무엇이든지 적당한 수준에서 살아갈 수 있었다.

새삼 좋은 아버지, 어머니를 만났다고 느끼는 것은 내가 장애인이기 때문이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길을 나서면 놀림을 받는 것을 감수하며 살아야 했다. 그보다 ‘기우뚱’거리며 걷는 아들의 모습을 보며 부모님의 가슴은 얼마나 아리셨을까? 하지만 평생 어떤 내색도 하지 않으셨다. 아버지는 항상 아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셨고 어머니는 아들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셨다. 중학교를 졸업할 때쯤에 큰아버지(백부)께서 아버지를 찾아오셨다. 나를 더 이상 진학시키지 말고 “기술을 가르쳐 시계포를 내주라”고 권하기 위해서였다. 아마 그랬다면 나는 지금 이 자리에 없을지도 모른다. 여느 소아마비 장애인들처럼 기술을 배워 길 어귀에서 도장을 파며 망가진 시계를 고치다가 시대가 변해 도태되어 버렸을 것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서울로 이사까지 하면서 나에게 진학의 길을 열어주셨다. 나이가 들수록 그 사랑과 배려를 깨달으며 감사한 마음이 샘솟는다.

나는 항상 “엄마”라고 불렀다. 나이가 들어 결혼을 하고 아이들이 커 가는데도 나는 항상 “엄마”라고 불렀다. “어머니”하면 꼭 남의 어머니 같아서였다. 엄마는 엄하게 나를 키우셨다. 경우에 맞지 않는 말과 행동을 하면 엄히 꾸짖으셨다. 학식은 없으셨지만 아들이 어디를 가나 기죽지 않도록 배려하셨다. 평생 아들의 다리를 고쳐보려고 전국을 누비시던 어머니, 늦게 신앙을 가지셨지만 새벽기도를 놓치지 않으시던 어머니. 1998년 6월 25일, 새벽기도를 가시다가 자동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신 가련한 어머니. 그 엄마에게 오늘은 편지를 쓰고 싶어졌다.

『엄마, 오랜만에 불러보는 이름입니다. 당신을 잊고 살다가도 6월에 그날이 오면 당신의 체취가 그리워집니다. 언제나 저만치서 바라보시던 엄마의 눈망울을 기억합니다. 대문에 서셔서 내가 운전하는 차가 시야에서 멀어질 때까지 지켜보시던 엄마의 마지막 모습을 기억합니다. 애린이가 학교에서 촌극을 하는데 한복이 필요하다고 해서 들렀던 엄마의 집. ‘잠깐’ 들어왔다 가라고 하셨지만 ‘바쁘다.’는 핑계를 대며 엄마의 청을 거절한 채 골목에서 차를 빼내는 그 순간에 엄마는 아들의 차를 물끄러미 바라보셨지요. “엄마, 빨리 들어가! 다음 주에 아이들하고 다시 올께.” 하지만 그것이 엄마와의 마지막 인사가 되리라고는 상상을 못했습니다.

그때 엄마 집에 들어가 자세히 엄마 얼굴을 바라보며 엄마가 깎아주는 과일을 먹었어야 했는데. 언제나 그랬듯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며 엄마를 한번 더 웃게 만들었어야 했는데. 가녀린 어깨를 주물러드리며 항상 궁금해 하시던 성도들의 소식을 자세하게 들려드려야 했었는데. 하지만 엄마는 저 세상에 계시네요. 아직도 엄마가 보시던 성경책을 마음 편하게 펴보지 못하는 것은 당신에 대한 미안함 때문일 겁니다. 오늘따라 엄마의 미소가 그립습니다. 목사인 아들을 위해 기도하시던 힘없는 엄마의 기도소리를 다시 듣고 싶습니다. 엄마의 기도, 그 사랑을 힘입고 같은 장애인들을 행복하게 해 주며 살고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그 주신 사랑을 가슴에 새기고 많은 사람들에게 그 사랑을 전해주며 엄마가 보시기에 대견한 아들로 살아가렵니다. 어머니, 사랑합니다!』 불효자 재철 올림.


  1. 약한자여, 그대 이름은 목사라!

    이런 이야기가 있다. 미국에서 한인 목회를 하는 어느 목사님이 선교지 방문차 태국에 가게 되었다. 현지에서 선교사님을 따라 시내 관광을 하는 중에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을 발견한다. 가까이 가보니 코끼리가 쇼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코...
    Views56525
    Read More
  2. 얄미운 12월의 손짓 12/18/2012

    12월이다. 세월이 왜 이리 빠른지 정신을 못 차릴 정도이다. 스무 살이 되던 해에 우연히 집에 들른 사촌형이 “지금은 세월이 안가지? 나이 들어봐라. 세월이 점점 빨라진단다.”고 말할때에 나는 코웃음을 쳤다. 무료한 날들이 많았기에 어서 세...
    Views76982
    Read More
  3.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52772
    Read More
  4. 어느 자폐아 어머니의 눈물

    우리 밀알선교단은 매주 토요일마다 발달장애아동을 Care하는 <토요사랑의 교실>을 운영한다. 어느새 30년이 가까워오며 이제 아동이란 명칭을 쓰기가 어색하다. 팬데믹으로 거의 1년반을 모이지 못하다가 지난 9월부터 본격적인 대면모임을 시작했다. 하지만...
    Views12848
    Read More
  5. 어느 장애인의 넋두리

    나는 지체장애인이다. 어릴 때부터 온몸을 흔들고 다니는 것이 수치스러워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왔다. 이제 내 나이 스무살. 모든 것이 예민해지는 세대를 살고 있다. 요사이 아는 누나와 ‘썸’아닌 ‘썸’을 타고 있다. 누나는 청...
    Views65594
    Read More
  6. 어디요? 1/20/2014

    한 신사가 시골길을 달리는 버스에 타고 있었다. 옆에 앉아있던 할머니가 핸드폰을 꺼내 든다. 그러더니 어디론가 전화를 건다. 신호 가는 소리가 들리고 이내 상대방이 전화를 받자마자 묻는다. “어디요?” 요사이는 워낙 전화기 성능이 좋아서 ...
    Views71651
    Read More
  7. No Image

    어르신∼

    노인복지원에서 일하는 지인을 만나기 위해 로비에 들어섰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한참이나 “누구계세요. 사람 없습니까?” 외치고 있는데 스탭인 듯한 여성이 나타난다. “저, ○○○씨를 만나려고 왔는데요.” 인터...
    Views40287
    Read More
  8.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7082
    Read More
  9.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5068
    Read More
  10.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53659
    Read More
  11. 어머니의 아린 마음 9/7/2010

    이 땅에는 어머니가 있다. “어머니!” 그 한마디에 사람들은 지그시 눈을 감는다. 가난, 외로움, 버려짐에 사각지대에서 오직 자식만을 바라보며 살던 여인들이 우리시대에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맛있는 것을 자식들 앞에 갖다놓으며 항상 하시는 ...
    Views70795
    Read More
  12.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실로 세월은 덧없이 흐르고 있다. 인생을 살아가기도 버겁건만 난데없는 역병이 엄습하면서 여전히 사람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다. 백신효과가 나타나면서 조금은 여유로운 마음으로 살아가는가 했는데 여기저기서 돌파감염자가 나오며 한숨만 높아간다. 도...
    Views11973
    Read More
  13.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7938
    Read More
  14.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6358
    Read More
  15.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5364
    Read More
  16. 엄마는 엄마다 10/14/2013

    나에게도 어머니가 계셨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13년 전, 그 분의 시신이 땅속에 내려가는 그 순간에도 나는 “엄마”를 목 놓아 불렀다. 성도들이 다 지켜보는데도 말이다. “어머니”하면 너무 거리가 느...
    Views69994
    Read More
  17. 엄마와 홍시

    엄마는 경기도 포천 명덕리에서 태어나셨다. 천성이 부지런하고 경우가 바른 엄마의 성품은 시대가 어려운 때이지만 조금은 여유가 있는 외가의 분위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외가에 산세는 수려했다. 우아한 뒷산의 정취로부터 산을 휘감아 돌아치는 시냇물은 ...
    Views13352
    Read More
  18. 엄마한테 쓰는 편지 6/22/2011

    나이가 들어가면서 감사한 일 중에 하나는 아버지, 어머니를 잘 만났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불만이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나도 나의 부모님에 대해서 아쉬워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한사람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넉넉한 부모...
    Views69550
    Read More
  19. 여기가 좋사오니

    사람은 누구나 안정된 환경과 분위기를 원한다. 예수님의 제자들도 그랬다. 예수님과 변화산(헬몬산)에 올라 예수님의 형상이 변화하고 황홀경을 경험하며 베드로는 외쳤다. “주님, 여기가 좋사오니!” 그 고백은 모든 사람들의 공통적인 욕구인지...
    Views61990
    Read More
  20. 여름을 만지다

    지난 6월 어느 교회에서 주일 설교를 하게 되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평소 안면이 있는 집사님과 마주앉았다. 대화중에 “다음 주에 한국을 방문한다.”는 말을 듣자마자 나도 모르게 외쳤다. “여름에 한국엘 왜가요?” 잠시 당...
    Views627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