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4:07

쵸코군!  6/22/2011

조회 수 807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9ca45cac345f5a5b.jpg

 

우리 집에는 남자(?) 강아지가 있다. 나이는 세 살이고 ‘요크 샤테리아’이다. 처음 병원에서 발행한 족보를 보면서 미소가 저절로 번졌다. 마치 한국의 주민등록 등본처럼 “쵸코”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적혀있는 것이 너무도 신기했다. 우리 가족들은 누구나 눈을 뜨면 “쵸코”부터 찾는다. 그런데 유난히 아내만 강아지를 부를 때에 “쵸코군!”하고 부른다. 강아지에게 “쵸코군!”이라니. 말귀를 알아듣는 듯 “쵸코군!”하면 꼬리를 살랑거리며 아내를 따라나선다. 강아지도 자기를 인정해 주는 사람에게 마음을 주나보다.

3년 전 겨울이었다. 평소 절친한 고교 선배와 식사를 하는 중에 강아지 이야기가 나왔다. 집에서 기르는 개가 새끼를 네 마리 낳았는데 두 마리는 사람들에게 주고 한 마리는 한국에 가져다 줄 예정이라는 이야기였다. 평소 강아지를 기르고 싶었던 나는 “그럼 나머지 한 마리는 어떻게 하실 거예요?”라고 물었다. 선배는 “왜, 이 목사님이 키워보시게?”라고 되물어왔다. 하지만 내가 결정할 일이 아니었다. 아이들도 어려서부터 개를 키워보고 싶어 했지만 아내 때문에 번번히 그 뜻을 접어야 했기 때문이다. 아내는 유난히 호흡기가 약하다. 미세한 먼지에도 기침을 할 정도이다. 아무래도 강아지를 기르면 보이지 않게 털이 날아다닐 것이고 아내의 건강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기에 엄두를 못 내고 있었다.

퇴근을 하자마자 분위기를 잡고 가족들에게 강아지 이야기를 꺼냈다. 아이들은 금방이라도 강아지를 품에 안은 듯 좋아했다. 하지만 결정권자인 아내는 무반응 무표정이었다. 눈치를 보며 내가 한마디 던졌다. “김 선배 이야기가 이 강아지는 털이 별로 안 빠진다고 하더라구” 아이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엄마를 붙잡고 매어 달렸다. 우여곡절 끝에 강아지를 집에 데려오는 데 성공을 하게 된다. 어떤 이름을 지을 것인지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쵸콜릿”에 준말이었다. 낯선 환경에 겁을 먹던 쵸코는 서서히 우리 집 분위기에 젖어들며 재롱을 떨기 시작했다. 어찌나 영리하고 약은지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잘못을 저질러 벌을 세울라치면 사람처럼 꼿꼿히 벽에 붙어서서 놀란 눈으로 불쌍한 표정을 짓는다. 풀어 놓으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장난을 치며 돌아간다. 희한한 것은 먹는 것에 유난히 관심이 많은 것이다. 우리 온가족이 밥을 먹는 시간이나 간식을 먹을 때 그 집중력은 가히 놀랄만하다. 마치 어린아이가 엄마와 눈을 맞추듯이 쵸코는 식구들의 얼굴을 뚫어져라 쳐다보며 무엇인가 떨어지기를 고대한다. 그것은 처음부터 3년 동안 변함이 없다. 미안할 정도로 눈을 맞추는 쵸코의 열심에 감동을 받게 되었다. 모르고 포도를 주었다가 쵸코에게 이상반응이 와서 놀란 가슴을 쓸어내린 적도 있다. 나중에야 알았다. 요크 사테리아에게 포도는 독약이라는 것을.

강아지를 키운 지 얼마 되지 않아 모 교회에서 설교를 하며 비유로 우리 집 ‘쵸코’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예배를 마치고 집으로 향하는 차안에서 아내는 나에게 조용한 충고를 해 주었다. “여보, 설교 중에 강아지 이야기는 삼가는 것이 좋겠어요. 개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잖아요.” 그 말에 동감을 했다. 이후부터는 설교 중에 절대 강아지 이야기는 안하게 되었고 칼럼을 쓰려고 마음먹었다가도 망설이고
망설이다가 오늘 아침 “쵸코군!”하고 부르는 아내의 호칭에 정겨움을 느끼며 용기를 내어 글을 쓰게 되었다.

우리 집 네 식구 중에 쵸코가 제일 좋아하는 사람은 막내이다. 살갑게 대하는 것도 아닌데 이상하리만큼 쵸코는 막내만 보면 좋아서 어쩔 줄을 모른다. 잠을 자도 그 방에만 들어가 자려한다. 나? 쵸코에게는 별 인기가 없다. 그게 어떨 때는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기도 하다. 강아지를 키우며 애완동물을 키우는 분들의 심정을 이해하게 되었다. 옆에서 지켜보면 아내는 쵸코와 많은 말을 나눈다. 개는 대답을 전혀 못하는데 말이다. 그러면서 ‘외로운 사람은 개를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은 사람도 소중히 여기게 되지 않을까? “쵸코군, 항상 그렇듯이 속없이 행복하게 사시게!”


  1. 그 이름 그 사람  8/4/2011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74463
    Read More
  2. 짝 8/4/2011

    사람은 누구나 혼자 살수 없다. 그래서 나이가 들어가면 ‘짝’을 찾는다. 처음 학교에 들어가서 ‘어떤 짝을 만나느냐?’는 그래서 중요하다. 좋은 짝을 만나면 등굣길이 가볍다. 학교생활이 행복하다. 하지만 희한한(?) 짝을 만나면 괴...
    Views75412
    Read More
  3. 휠체어  7/7/2011

    휠체어가 한 대 놓여있다. 사람들은 휠체어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우선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두려운 마음이 들지도 모른다. 거동이 몹시 불편한 분들이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휠체어에 앉으신 분을 처음 보았을 때에 느낌이 떠오른다. 장애를 가지...
    Views83575
    Read More
  4. 깍두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 중에 하나가 “깍두기”이다. 무우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적당히 양념을 버무려놓으면 감칠맛 나는 “깍두기”가 탄생한다. “깍두기”하면 설렁탕이 생각나는 것은 둘이 너무나 궁합이 잘 맞기 때문...
    Views88457
    Read More
  5. 쵸코군!  6/22/2011

    우리 집에는 남자(?) 강아지가 있다. 나이는 세 살이고 ‘요크 샤테리아’이다. 처음 병원에서 발행한 족보를 보면서 미소가 저절로 번졌다. 마치 한국의 주민등록 등본처럼 “쵸코”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적혀있는 것이 너무도 신기했...
    Views80768
    Read More
  6. 엄마한테 쓰는 편지 6/22/2011

    나이가 들어가면서 감사한 일 중에 하나는 아버지, 어머니를 잘 만났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불만이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나도 나의 부모님에 대해서 아쉬워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한사람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넉넉한 부모...
    Views71506
    Read More
  7. 전신마비 장애인 6/22/2011

    30대 중반에 담임목사가 되어 목회에 열정을 불사르고 있을 때였다. 어느 주일에 한 가족이 필자가 목회하는 교회에 등록을 하였다. 남편은 덤프트럭을 운전하는 기사였고 아내는 다소곳한 인상에 두 명의 어린 아들이 있었다. “목포에서 살다가 병상에 ...
    Views88561
    Read More
  8. 산다는 건 그런거지  5/28/2011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은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
    Views82086
    Read More
  9.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5/28/2011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어설퍼서 마음에 안 들고 우습게 보이지만 나도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내가 운전면허를 딴것은 1991년이었다. 장애인이기에 운...
    Views69480
    Read More
  10. 자녀는 선물이다 5/28/2011

    지금은 장애인사역에 전념하느라 가정 사역은 한켠으로 밀어놓은 상태이지만 가정을 살리는 일처럼 소중한 우선순위는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내적치유를 인도하며 많은 사람을 만났다. 가정의 달에 갑자기 뇌리를 스친 사람은 2번이나 자연 유산을 한 30...
    Views81363
    Read More
  11. 지금은 천국에 계시겠지요  5/9/2011

    '공교롭다.’는 말은 이럴 때 쓰는 말인가 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에 간 사이에 밀알 가족들 중에 두 분이 유명을 달리하셨다. 아내의 전화를 통해 두 분의 소천소식을 들었을 때에 애통한 심정은 이루 말로 표현이 안 된다. 이미 암과 투병 중이셨...
    Views81621
    Read More
  12. 남자도 울고 싶을 때가 있다 5/9/2011

    통계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년 정도를 더 장수한다고 한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감정표현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희노애락의 정서가 있는데 여자들은 그 표현을 아주 자연스럽고도 풍부하게 한다. 반면 남자들은 그렇지 않다. 어릴 때부터 들어 ...
    Views79605
    Read More
  13. 아! 청계천  4/29/2011

    금번 한국 방문 목적 중에 하나는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장애인의 날 기념 예배”에서 설교를 하는 일이었다. 13일(수) 정오가 가까워오면서 총신대학교 대강당에는 신학생들과 교직원 들이 자리를 하기 시작하였다. 대강당에 운집한 학생들의 ...
    Views82999
    Read More
  14. 안동 영명학교  4/29/2011

    날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집회를 인도하며 분주하게 한국에서의 일정을 감당하고 있다. 8일(금) 그리운 한 가족을 향해 안동으로 길을 재촉했다. 한국 밀알 총단장 성경선 목사님은 나를 안동까지 친절하게 라이드 해 주었다. 내가 안동으로 향하는 이유는...
    Views81288
    Read More
  15. 진중세례식  4/10/2011

    오랜만에 맡아보는 한국의 봄 냄새가 싱그럽다. 봄은 신비롭다. 신기하다. 다 죽은 것 같던 만물이 기지개를 켜며 살아나니 말이다. 개나리가 노오란 꽃망울로 봄소식을 전하더니 이내 목련이 매력이 넘치는 하이얀 목덜미를 드러내며 그 자태를 뽐내고 있다....
    Views76287
    Read More
  16. 개나리 꽃이 피었습니다! 4/5/2011

    금년 겨울은 몹시도 추웠다. 눈도 엄청나게 쏟아졌다. 그 지리한 겨울의 한복판에서 “언젠가는 봄이 오겠지. 아마 금년에는 봄이 다른 때보다 더 빨리 올거야!”하는 기대감에 살았다. ‘썸머 타임’이 시행된 지 일주일 만에 정확히 지...
    Views94199
    Read More
  17. 달빛 3/9/2011

    주차장에 차를 대고 집안에 들어서려다가 나도 모르게 고개가 하늘로 향한다. 휘영청 밝은 달이 나를 내려다보고 있다. “아, 오늘이 보름이구나!” 크고 둥그런 달이 하늘 중앙에 떠있다. 똑같은 달인데 머나먼 타국에서 바라보는 달은 그 느낌이 ...
    Views80580
    Read More
  18. 졸업 기념 - 타임캡슐 3/9/2011

    한국은 지금 졸업시즌이다. 초등학교부터 중, 고등학교를 거쳐 요사이는 대학졸업식이 한창이다. 날을 잘 만나면 따스하기도 하지만 아직은 쌀쌀한 중에 졸업식을 거행하고 있다. 미국은 가을학기이기에 거의 초여름에 졸업식을 한다. 큰 아이가 고등학교를 ...
    Views85780
    Read More
  19. 순수야, 푼수야? 2/23/2011

    나는 순수한 사람이 좋다. 순수한 사람을 만나면 살맛이 나고 삶의 도전을 받는다. ‘순진’과 ‘순수’는 다르다. ‘순진’은 사실 경험하지 않음에서 오는 풋풋함이다. 세상 물정에 어두워 어수룩하다고 표현해야 할까? 어린...
    Views87901
    Read More
  20. 멕시코 땅 “엔세나다” 2/11/2011

    지난 1월 12일(수) 폭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나는 L.A.행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 밀알선교단 행사와 집회인도를 위해서였다. 혹한의 겨울날씨가 맹위를 떨치는 필라델피아와는 달리 L.A.는 코발트색깔의 하늘과 매일 75˚를 유지하는 쾌적한 날씨가 이어...
    Views682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