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09.02 10:11

또 다른 “우영우”

조회 수 86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영우.jpg

 

 

  지난 23. 대구에서 30대 엄마가 자폐 증세가 있는 자신의 아이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했다. 2살 아들을 흉기로 살해한 뒤 아파트 베란다 아래로 뛰어내려 숨진 것이다. 집 안에서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라는 내용을 담은 유서가 발견되었다. 숨진 아들은 자폐스펙트럼 증세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아들의 장애인 등록을 하지 않았고, 관련 복지 상담을 받은 기록도 없다. 지역 행정복지센터 관계자는 미취학 아동 인 경우에 부모들이 아이가 크면 나아질 거라는 기대로 일부러 장애인 등록을 안하는 경우도 있다. 부모들은 아이의 장애를 인정해야 등록하러 온다.”고 말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예상을 뛰어넘은 고공 시청률을 기록하며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서울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어 초기에는 어려움을 겪지만 상상을 초월하는 예리한 판단력으로 번번히 승소를 이끌며 실력을 인정받는다. 너무도 예쁘고 깜찍하고 속깊은 우영우의 모습이 자폐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준 것에 대해서 뿌듯함을 느낀다. 하지만 장애를 가진 아이를 버리고 떠난 엄마의 그늘. 엄마의 사랑을 마음껏 받으며 살아야 할 우영우의 불우한 어린 시절이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많은 장애아(障礙兒)들이 있다. 사실 장애아라고 말하기 어려운 나이에 접어든 친구들도 있다. <토요사랑의 교실>은 밀알에서 25년을 넘게 운영해 오는 Day Care 프로그램이다. 20년 전, 처음 내가 부임했을때만해도 말 그대로 대부분 장애아였다. 하지만 세월의 흐름 속에 나이가 들어가고 이제는 청년들이 되었다. 하지만 평균 3살 정도의 인지능력이기에 장애아로 분류하는 것이다. 하이스쿨을 졸업한 이후 사유서가 받아들여지면 2년을 더 다니며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후에는 더 이상 진학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장애가 미미한 경우(?)에는 대학에 가는 친구도 있지만 대부분 집에서 지내거나 더 이상 돌보기 힘든 상황이 되면 그룹 홈에 들어가게 된다. 그때가 사역자로서 가슴이 찢어지는 순간이다. 가족들과 헤어져야 하는 것부터 한식을 먹을 수 없는 환경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부모만큼은 아니라도 마음이 아프고 사역의 한계를 절감하는 순간이다. 그렇게 제한된 공간에 들어가면 토요일에 밀알선교단에 나오는 것도 제약이 따른다. 그렇게 떠나가는 장애아들의 숫자가 늘어만 간다.

 

  과연 우영우는 존재하는 것일까? 장애가 있지만 특별한 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나타내는 경우 서번트(savant) 증후군이라고 한다. ‘우영우처럼 마치 뇌안에 법전이 들어앉아 있는 것처럼 때에 따라 상상을 초월하는 기억력으로 찾아낸다. 어떤 친구는 몇년몇월몇일이 어떤 요일인가?’를 정확히 집어낸다. 지하철 역, 버스정류장 명을 줄줄이 엮어낸다. ‘누구와 언제 어디서 무엇을 했는가?’를 확연하게 기억해 낸다. 우리 밀알에도 탁월한 음악성을 가진 아이가 하나 있는데 음을 들으면 바로 건반을 누르는 절대음감능력을 지니고 있다.

 

  창단 16주년을 맞은 <하트하트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모두 발달장애(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포함)가 있다. 연주할 때만큼은 누구보다 진지한 그들에게는 악기 말고도 특별한 재능을 가진 경우가 간혹 있다고 한다. 자폐아는 낯선 환경을 아주 싫어한다. 해서 토요일 담당 발렌티어를 고정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감각이 예민하기 때문에 가벼운 생활 소음이나 불빛 같은 시각 자극도 버겁게 느껴질 수 있다. 하루종일 똑같은 단어를 반복하고 소리를 지르거나 갑자기 일어나 뛰다가 건물 밖으로 뛰쳐나가 모두를 놀라게 하는 경우도 있다. 가장 심각한 경우는 자해이다. 불안하거나 마음에 안 들면 물어뜯거나 손톱으로 피부를 긁어대고, 머리를 벽에 마구 부딪힌다. 난감하다. 그들만의 세계를 언제나 들여다 볼 수 있을까?

 

  사람들은 나를 만나면 말한다. “목사님, 힘든 일을 하시네요?” 아니다. 그들의 모습이 그렇게 예쁠 수가 없다. 평범하지는 않지만 순수하고 꾸밈없는 장애아들의 모습에서 천국을 본다. 주님이 계신 곳이 느껴져서 좋다. 그래서 오늘도 외친다. “하나님은 낮은 곳에 계십니다.”

 

 

 


  1. 모나미 볼펜 3/7/2012

    우리세대는 연필세대이다. 연필의 이점은 잘못 썼을 때에 지우면 된다는 데 있다. 문제는 연필의 질이었다. 부러지기 일쑤였고, 가끔은 쪼개지는 일까지 속출하였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이 쓰는 연필은 고급 중에 고급인 셈이다. 공책도 질이 떨어져서...
    Views77819
    Read More
  2. 명품

    누군가는 명품 스포츠용품만 애호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흔히 신는 운동화 하나가 그렇게 고가인 줄은 전혀 몰랐다. 20년 전, 로스앤젤레스에 살고 있을 때이다. 한국에서 절친이 찾아왔는데 갑자기 “‘로데오거리’를 구경하고 싶다&rdquo...
    Views9036
    Read More
  3.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8242
    Read More
  4. 멕시코 땅 “엔세나다” 2/11/2011

    지난 1월 12일(수) 폭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나는 L.A.행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 밀알선교단 행사와 집회인도를 위해서였다. 혹한의 겨울날씨가 맹위를 떨치는 필라델피아와는 달리 L.A.는 코발트색깔의 하늘과 매일 75˚를 유지하는 쾌적한 날씨가 이어...
    Views67621
    Read More
  5. No Image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고교 시절에 가장 많이 읽었던 책은 박계형의 소설이었다. 그녀의 소설은 우선 단순하다. 그러면서도 책을 읽다가 실눈을 뜨고 ‘뜨락’을 바라보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간혹 야한 장면이 여과 없이 표현되어 당황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사춘기 ...
    Views5524
    Read More
  6. 맥도날드 할머니

    인생은 참으로 짧다. 하지만 그 세월을 견디는 순간은 길고도 지루하다. ‘희희락락’하며 평탄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은 드물다. 반면 ‘기구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험난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일명 ‘맥도...
    Views63129
    Read More
  7.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22666
    Read More
  8. 만남이 인생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것이 있다면 “만남”이다. 다른 말로 하면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잘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관계를 잘한다.”는 것이다. 가진 것이 많아도, 지식과 교양이 높아도 관계를 ...
    Views56339
    Read More
  9. 마음이 고프다 4/1/2013

    사춘기에 접어들며 나는 식탐하는 습관이 생겼다. 음식을 보면 도가 지나칠 정도로 집착을 했다. 우리 집안 내력이 대식가라는 것을 차치하고라도 정말 음식을 잘도 먹었다. 어머니는 항상 “福”자가 그려진 ‘대밥그릇’에 고봉으로 밥...
    Views74483
    Read More
  10. 마음의 빗장을 열고

    한국 사람의 언어 중에 독특한 단어가 “우리”이다. ‘우리나라, 우리 학교, 우리 동네’로부터 심지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이라고 한다. 외국사람들이 처음 들으면 기절초풍을 한다. ‘아니 아내(남편)가 저리도 ...
    Views57261
    Read More
  11. No Image

    마음 속 어린아이

    사람은 누구나 궁금함에서 삶을 시작한다. 그것을 호기심이라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다. 사람의 즐거움은 다양하다. 우선 오감을 자극시켜 주는 즐거움이 있다. 사람의 인지능력은 시력을 통해 가동되는 경향이 높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고 싶...
    Views6911
    Read More
  12. 로봇다리; 세진 엄마

    내가 배 아파 낳은 자식을 키우기도 힘이 드는데 아무 연고도 없는 아이를 입양하여 멋지게 사는 분이 있다. “양정숙”씨(47)는 장애인 시설 자원봉사를 갔다가 운명처럼 만난 “세진”이를 아들로 입양한다. 그것도 두 다리와 오른손 ...
    Views73934
    Read More
  13.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20897
    Read More
  14. 또 다른 “우영우”

    지난 23일. 대구에서 30대 엄마가 자폐 증세가 있는 자신의 아이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했다. 2살 아들을 흉기로 살해한 뒤 아파트 베란다 아래로 뛰어내려 숨진 것이다. 집 안에서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라는 내용을 담은 유서가 발견되...
    Views8637
    Read More
  15. 떠나가는 분을 그리며 12/26/2011

    9년 전 필라델피아에 와서 밀알사역을 감당하면서 눈에 들어온 후원자의 이름이 있었다. 특이하게 이름이 네 자였다. “남궁” “독고” “황보”성을 가지신 분들은 자연스럽게 이름이 네자가 나올 수 있지만 그분은 나처럼 &...
    Views67928
    Read More
  16. 떠나가는 배  9/20/2010

    나는 어린 시절부터 강가에서 살았다. 태어난 곳은 전혀 강이 없는 “포천”이지만 8살 때부터는 경기도 “양평”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을 오가며 많은 것을 가슴에 담았다. 나중에는 서울 “한강”을 바라...
    Views68535
    Read More
  17.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7062
    Read More
  18.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40403
    Read More
  19. No Image

    등대

    항구마다 바다를 마주한 아름다운 등대가 있다. 등대는 가야 할 길을 몰라 방황하는 배와 비행기에 큰 도움을 주며, 때로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등대 빛을 알아볼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광달거리’라 한다. 한국에서 광달거리가 큰...
    Views5666
    Read More
  20.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61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