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6.01.15 14:23

응답하라, 1988!

조회 수 668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응팔.jpg

 

  드라마가 이렇게 재미있어도 되는 걸까? 요즈음 아내와 드라마 삼매경에 빠져 추억에 젖어 보는 “응답하라, 1988”(이하 “응팔”)은 이런 질문을 저절로 하게 만든다. 몇 주 전에 한 교회를 방문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담임 목사님과 진지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문 쪽에서 “어허, 김사장!” “아하, 박 사장!” “이거 참. 반갑구만 반가워요. 반갑구만 반가워!” 소리가 들렸다. 여자 성도 두 사람이 서로 손을 잡고 드라마의 대사를 흉내 내며 내뿜는 소리였다. 한참을 웃었다. 담임 목사님은 영문을 몰라 내 표정을 살피며 겸연쩍은 표정을 짓고 있었다. 요즘 한창 인기 있는 드라마의 한 장면임을 설명해야 했다.

 

 그러면서 깨달았다. 미국에 살아도 사람들은 한국 드라마를 즐겨본다는 사실을. 또한 누구나 드라마 속에 들어가고 싶은 숨은 욕망이 있다는 것을 말이다. “응팔”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작가의 위력이다. 한국 드라마의 대표적인 작가를 꼽으라면 단연 “김수현”이다. 김수현은 시대의 흐름을 알고 대중의 목마름을 채워주는 감각을 지녔다. 김수현의 대사는 단문이다. 센스가 있고 엣지가 넘친다. 후려치는 대사가 감칠맛이 있다.

 

 그런데 홀연히 기가 막힌 작가가 등장했다. “응팔” 작가는 “이우정”이다. 그녀는 원래 예능작가로 출발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일찍이 “1박 2일”의 각본을 쓰며 명성을 날리고, “꽃보다 할배”에서 신선한 충격을 주더니, 이제 “응팔”에서 지존 작가의 이름을 굳히는 듯하다. “응팔”은 평범한 “쌍문동” 이웃들의 이야기이다. 왜 하필 “쌍문동”일까? 나는 서울에 오래 살아서 “쌍문동”의 정서를 안다. 서울에서 의정부로 빠져 나가는 길목에 쌍문동이 위치해 있다. 시골에서 올라온 사람들이 청량리나 서울역, 영등포을 거쳐 정착하는 제 2의 안정지역이 “쌍문동”이다.

 

 쌍문동에서 태어난 “덕선, 정환, 선우, 택, 동룡”이 스스럼없이 사춘기를 함께 보내며 엮어가는 다반사는 실로 좌충우돌이다. 선머슴 같은 “덕선”(혜리)의 연기는 드라마의 흐름을 주도한다. “혜리”는 “걸스데이”의 멤버이다. 혜리가 ‘진짜 사나이’(여군특집)에서 교관에게 ‘이이잉’ 애교를 보여주던 장면은 압권이었다. 그만큼 혜리의 연기는 계산된 것이라기보다 센스 그 자체이다. 들여다보기만 해도 풋풋한 그들의 우정. “덕선”을 둘러싼 “정환, 택”이의 순수한 삼각관계 짝사랑은 실로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사랑”이다. “덕선과 결국 누가 결혼을 하느냐?”에 대하여 안달하게 만드는 승부욕(?)까지 자극한다. 아내와 나는 보이지 않는 내기를 걸고 드라마를 보고 있다.

 

 첫 방송에서 ‘19금’을 넘어서는 장면과 대사로 인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지만 “응팔”은 고공 시청률을 유지하며 ‘쌍팔년도’의 추억을 수놓아간다. 빚보증으로 반 지하에 살 수밖에 없는 착한 40대 은행 가장의 고충이 가슴을 아리게 한다. 복권에 맞으면서 인생 역전을 한 가정의 여유(?). 불의의 사고로 가장을 잃고 두 아이를 키워가는 젊은 아낙의 애환. 그런 틈 사이에 백전백승 바둑기사 “최택” 그리고 우직한 아버지를 등장시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몇몇 인물 외에는 전혀 인지도가 없는 무명의 탤런트들을 등장시켜 “응팔”은 신선도를 유지한다.

 

 드라마를 보다보면 “아, 맞아. 그땐 그랬지!”하고는 추억에 젖어든다. 세밀하고도 예리하게 일상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이 드라마의 매력이다. <아시안게임>이 열리던 1986년 나는 결혼을 했다. 다음해 아이가 태어나며 아빠가 되었다. 1987년 고대하던 목사안수를 받고 교회에서 부목사 생활을 하고 있었다. 1988년 올림픽의 열기를 온몸으로 느끼며 30대를 만끽했다. 열정, 낭만, 포부 그렇게 달려 나가던 시간이 바로 그때였다. 돌아가고 싶은 변혁기가 “88년”이었다.

 

 이 드라마는 내일(16일)로 막을 내린다. “덕선”이 누구와 결혼을 하는지도 이 칼럼을 읽어나갈 때 즈음에는 드러나겠지! “응답하라, 1988!” 소리쳐 불러도 우리는 지금 2016년을 걷고 있다.


  1. 생각의 힘 10/29/2012

    사람이 미물보다 우월한 것은 생각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일찍이 파스칼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고 했다. 흔들리고 휘청거리는 나약한 존재지만 ‘생각’을 하기에 위대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사람은 생각을 통해 꿈을 이루고 ...
    Views66692
    Read More
  2.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6701
    Read More
  3. 뒷곁 풍경 9/4/2012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
    Views66715
    Read More
  4. 부부는 거울이다 8/31/2011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관계가 부부이다. 전혀 다른 집안과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두 사람이 어느 날 부부라는 이름으로 한 이불을 덮는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처음에는 한눈에 반해서, 서로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이어서 부부가 되...
    Views66792
    Read More
  5. 바람이 되고싶다 10/21/2013

    40대 초반 가을이었다. 다일 영성수련원(원장:최일도 목사) 경축전 ‘특송’을 부탁받고 경기도 양평 옥천을 거쳐 설악 뒷산을 차로 질주하고 있었다. 산마다 물감을 뿌려 놓은 듯 각양각색의 영롱한 단풍이 가을이 깊어감을 실감케 했다. 차창에 ...
    Views66792
    Read More
  6. 응답하라, 1988!

    드라마가 이렇게 재미있어도 되는 걸까? 요즈음 아내와 드라마 삼매경에 빠져 추억에 젖어 보는 “응답하라, 1988”(이하 “응팔”)은 이런 질문을 저절로 하게 만든다. 몇 주 전에 한 교회를 방문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담임 ...
    Views66842
    Read More
  7. 내적치유의 효험

    상처가 상처인지도 모르고 살던 때가 있었다. 당장 끼니 걱정을 해야 하는 판국에 내면을 살펴볼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 되어가고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사람들에게는 참 평안을 누리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자연스럽게 찾아 왔다. 환경이 ...
    Views66909
    Read More
  8. 인생은 무엇인가? 7/19/2014

    날이 점점 무더워지고 있다. 한국에는 장마가 시작되었다는 소식이다. 지루하지만 시원스럽게 쏟아지는 빗줄기를 바라보며 많은 생각들을 지어내던 기억이 새롭다. 빗속에 동화가 있고 저만큼 다가오는 추억이 있었다. 미국은 온통 초록색 향연이다. 그래서 ...
    Views66950
    Read More
  9. 이 감격, 이 감동! 11/14/2014

    사람이 살다보면 기쁨의 순간을 경험할 때가 있다. 그토록 원하던 일들이 성취되는 순간이나 생각지 않았던 일들이 영화처럼 눈앞에 나타날 때이다. 올림픽이 온 세계인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것은 올림픽 자체가 감동 덩어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몇 시간, ...
    Views66966
    Read More
  10.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6988
    Read More
  11. 가슴 4/19/2014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시기가 되면서 나는 참 힘든 시간을 보내야했다. 동네를 가로 질러 지나 갈 때면 길에 나와 놀던 아이들이 다리 저는 흉내를 내며 나를 놀려댔다. 아이들은 내가 듣기에 거북한 소리를 질러댔다. 게다가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
    Views67038
    Read More
  12. 섬집 아기 7/10/2012

    한국인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동요가 있다. 동요는 말 그대로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며 어린 시절을 떠오르게 하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 “섬집아이”를 불러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린 시절. 처음 학교 음악시간에 “섬집아이&rdquo...
    Views67054
    Read More
  13. 이마고를 아십니까? 1/9/2015

    미국에서 “가장 행복한 미국인이 누구인가?”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돈이나 건강, 학력, 직업, 외모’가 행복지수와는 결정적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장 행복한 사람은 가족 관계가 가장 좋은 사람, 그 중 부부관계가 좋...
    Views67067
    Read More
  14. 대화하고 사십니까? 5/25/2013

    한문으로 사람을 “인간(人間)”이라고 한다. 글자대로 풀면 “사람 사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을 관계로 본 것이다. 혼자는 사람이 안된다는 뜻이다. 그러기에 하나님은 아담을 만드시고,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
    Views67074
    Read More
  15. 결혼 일곱고개 6/17/2012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
    Views67151
    Read More
  16. 목사님, 저 기억하세요? 10/17/2014

    초등학교 국어책에서 읽었던 글이 생각난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물었다. “얘들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게 뭔지 아니?” 아이들이 대답한다. “원자 폭탄이요” “아니, 호랑이요” 이내 선생님이 입을 여신다. “세...
    Views67272
    Read More
  17.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7281
    Read More
  18.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7316
    Read More
  19. 사람이 우선이다 3/4/2013

    삶의 목적을 성공에 두는 사람들이 있다. 솔직히 그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본성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성공의 척도가 무엇인가를 깨닫는 사람은 드물다. 그러기에 어느 정도 성취를 하고나면 “곤고함”에 허덕인다. 즉 ‘내가 ...
    Views67368
    Read More
  20. 노년의 아름다움 12/2/2013

    2013년의 달력이 달랑 한 장 남았다. 숨 가쁘게 달려 오다보니 어느새 한해의 끝자락이 보인다. 이제 곧 ‘2014년’이 친한 척을 하며 다가오겠지. 오랜 세월 청춘을 바쳐 몸담았던 직장을 정년퇴직한 분의 넋두리이다. 퇴직을 하자마자 소홀했던 ...
    Views674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