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12.17 12:29

겨울 친구

조회 수 96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궁이.jpg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그래도 실내에 들어서면 온기가 충만하고 차에 올라 히터를 켜면 금방 따스해 지니 다행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겨울은 너무도 추웠다. 지금보다 날씨가 더 추웠는지 아니면 입은 옷이 시원치 않아서 그랬는지 그때는 정말 추웠다. 학교를 돌아 나오며 산등성이에서 마주치는 강바람은 지금 생각해도 몸서리를 치게 만든다. 그런 중에도 눈이 쏟아지면 우리는 추위를 잊고 눈싸움에 빠져들었다. 처음에는 장난처럼 오가던 눈 던짐이 얼굴이나 뒤통수를 때리면 아이들은 사나워지기 시작하였다. 한 아이를 잡아 눈 속에 처박는 것부터 시작해서 등 뒤에 한 움큼의 눈뭉치를 집어넣는 것까지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진다. 나중에는 우는 아이까지 생겨나서야 눈싸움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다가 마주 보며 웃는 친구의 발그레해진 얼굴이 문득 그립다.

 

  일찍 등교를 한 아이들은 양지쪽에 모여 들었다. 뭐니뭐니해도 햇볕만큼 우리의 몸을 녹여주는 것도 드물었다. 대여섯 명이 모이면 기름짜기를 시작했다. 학교 건물 기둥을 기준으로 몸을 밀어내는 일종의 게임이었다. 대열에서 밀려나면 맨 끝으로 가야만 한다. 그렇게 힘을 쓰다보면 몸에 열기가 오르고 이마에 땀이 흘렀다. 그렇게 그 시절에 아이들은 몸과 몸을 부딪히며 우정을 나누고 추운 겨울을 이겨냈다. 추위에 떨며 집에 돌아오면 엄마가 기다렸다. “엄마!”하고 집에 들어서면 엄마는 꽁꽁 언 아들의 손을 꼭 잡아 아랫목 이불에 묻어주었다. 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었지만 엄마의 손길이 아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데펴 주었고 아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입을 열어 오늘 학교에서 있었던 일들을 엄마에게 조근조근들려주었다. 아들을 바라보는 엄마의 시선에 대견함이 묻어난다.

 

  그 시절에는 어느 집이나 아궁이에 불을 때어 밥을 짓고 음식 조리를 했다. 아궁이 앞에 앉아 나무가 타는 모습을 보는 것이 얼마나 신기하고 재미로웠던지. 처음에는 종이나 마른 나뭇잎을 불쏘시개로 삼아 조심스레 살살불을 붙인다. 작은 나뭇가지에 불이 붙고 불길이 거세지면 커다란 장작을 넣기 시작한다. 불은 사람의 마음에 묘한 환상을 일으킨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불이 춤추는 것을 보았다. 불길이 치솟으며 가마솥 뚜껑이 들썩인다. 수줍은 새색시의 모습처럼 가마솥 주위를 빼꼼이 밀고 나오는 거품이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빠글빠글그때부터 서서히 큰 나무는 아궁이 밖으로 끌어내야 한다. ‘을 들이기 위해서이다. 기다림의 미학을 나는 아궁이 앞에서 배웠다. 한참을 그렇게 하다가 솥뚜껑을 열어보면 하얀 쌀밥이 가지런히 누워있었다. 그때 코를 파고드는 구수한 밥 냄새는 압권이었다.

 

  다시 아궁이를 뒤진다. 화로에 불을 담기 위해서이다. 그 시절, 겨울에 없어서는 안 될 친구는 화로였다. 화로의 불을 담아 안방에 들이면 금방 따스한 온기가 방에 가득 찼다. 워낙 위풍이 심하던 한옥에 운치를 더해주던 것이 화로였다. 화로에는 불을 쑤셔거릴 인두가 자리하고 둥그런 석쇠도 있어야 했다. 때로는 국을 데워 먹기도 하고 감자나 고구마를 구워먹기도 했던 화롯가에서 가족들은 도란도란이야기꽃을 피웠다. 누구든 그 집 안방에 들어오면 화롯가에 손을 비벼대며 들이대었다. 서먹하던 사람들도 화로를 통해 금방 친숙해 졌다. 그 시절에는 그렇게 소박하지만 화롯불처럼 은근하면서도 오래가는 가족애를 싹틔워 가며 살았다.

 

  겨울이다. 나목(裸木)은 인생을 생각하게 한다. 어느 시인은 나무는 자기의 불행함을 모른다고 노래했다. 겨울바람이 나목을 스치며 내는 소리에서 냉철한 메시지를 들어야만 한다. 눈이 그 나목에 흰 몸을 걸치며 또 다른 겨울 친구가 된다. 그들만에 이야기는 얼마나 정감이 있을까? 내년 봄에 고개를 내어밀기 위해 한창 준비하고 있는 나무속에 을 향해 눈은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까? 다 잠들어 있는 것 같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겨울에는 다양한 친구들이 있다. 누군가 고독을 즐긴다고 했다. 우리도 겨울을 즐기자. 추위를 즐기고 눈을 즐기고 또 다른 친구를 만나 추억을 만들자. 겨울에는 친구가 많다.

 


  1.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6895
    Read More
  2.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7862
    Read More
  3. 겨울 친구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그래도 실내에 들어서면 온기가 충만하고 차에 올라 히터를 켜면 금방 따스해 지니 다행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겨울은 너무도 추웠다. 지금보다 날씨가 더 추웠는지 아니면 입은 옷이 시원치 않아서 그랬는지 그때는 ...
    Views9624
    Read More
  4. 겨울 낭만 2/18/2013

    우리는 지금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겨울은 춥다. 눈이 많이 온다. 사람뿐 아니라 생물세계에서도 활동이 무뎌지는 계절이다.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작년에 이어 폭설이 내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서부에서 살다가 처음 필라델피아에 와서...
    Views78012
    Read More
  5. 건빵 1/28/2014

    나는 간식을 즐겨하는 편이 아니다. 어릴 때부터 우직하게 세끼 식사에 집착하는 편이다. 그런데 가끔은 입이 궁금할 때가 있다. 오늘이 그런 날이었다. 시장기가 돌았고 불현듯 생각 난 것이 건빵이었다. 60년대만 해도 간식은 고사하고 양식이 없어 굶주리...
    Views76596
    Read More
  6. 거울 보고 가위 · 바위 · 보

    거울을 보고 가위, 바위, 보를 해보라! 수백 번을 해도 승부가 나질 않는다. 계속 비길 수밖에. 그런데 평생 이런 모습으로 살아가는 부류가 있다. 바로 부부이다. 갈등없이 살아가는 부부가 있다. 모든 것이 너무 잘 맞아서 만족하며 살아가는 부부말이다. ...
    Views10187
    Read More
  7.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8786
    Read More
  8. 개똥 같은 인생?

    요즈음 아이들은 스타가 되고 싶어한다. 마침 불어닥친 한류열풍으로 한낮 꿈이 아닌 인기와 돈이 동시에 보장된 그 길을 가려고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예술을 하면 배가 고팠다. 하지만 진정성은 그런 열악한 환경에서 표출되었다. 가슴을 파고드는 노래, ...
    Views135650
    Read More
  9. 개나리 꽃이 피었습니다! 4/5/2011

    금년 겨울은 몹시도 추웠다. 눈도 엄청나게 쏟아졌다. 그 지리한 겨울의 한복판에서 “언젠가는 봄이 오겠지. 아마 금년에는 봄이 다른 때보다 더 빨리 올거야!”하는 기대감에 살았다. ‘썸머 타임’이 시행된 지 일주일 만에 정확히 지...
    Views94795
    Read More
  10. No Image

    개 팔자의 격상

    동물 중에 사람과 가장 가까운 존재가 개일 것이다. 개는 어디에나 있다. 내가 어릴때에도 동네 곳곳에 개가 있었다. 그 시절에 개는 정말 개 취급을 당했다. 개집도 허술했고, 있다고해도 지저분하기 이를데 없었다. 개가 먹는 것은 밥상에서 남은 음식찌꺼...
    Views6815
    Read More
  11.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5/7/2013

    사람은 물과 함께 태어나 평생 물을 먹고 물에서 살다가 간다. 그래서인지 물에 들어가면 누구나 어린아이가 된다. 물놀이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다. 물과 접촉하는 순간부터 사람은 원초적인 행동을 시작한다. 헤엄을 치고 궨시리 물을 때려보고 다른 사람을 ...
    Views84308
    Read More
  12. 강남 스타일 9/23/2012

    요사이 한국에서뿐 아니라 한류의 흐름을 따라 해외로 번지고 있는 노래가 있다. 바로 가수 ‘싸이’가 부른 “강남스타일”이다. 전자 악기가 분위기를 주도하고 비트를 강하게 넣고 같은 멜로디가 반복되는 노래이다. 가사도 중간 중간...
    Views83241
    Read More
  13. 감탄은 사람을 행복하게 한다 10/8/2011

    한국에서 한창 뜨고 있는 김정운 교수가 쓴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라는 책이 있다. 처음에는 ‘간이 바깥으로 나온 사나이구먼’하며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그런데 책의 내용이 매우 감각적이었다. 그 중에 “한국 ...
    Views74104
    Read More
  14. 감성 고뇌

    가을이 왔는가보다 했는데 한낮에 내리쬐는 햇살의 농도는 아직도 여름을 닮았다. 금년은 윤달이 끼어서인지 가을이 더디 오는 듯하다. 따스한 기온이 고맙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가을 정취에 흠뻑 취하고 싶어 하는 감성적인 사람들에게는 은근히 방해가 되는...
    Views60190
    Read More
  15. 감동의 우물 사랑의 캠프 8/20/2012

    장애인들은 일 년 동안 이날을 기다린다. 미주 동부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은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나듯이 캠프에서 만나 사랑을 나눈다. 언제나 그렇듯이 친근한 인사가 오가고 가족처럼 포근한 대화가 우물을 감동으로 일렁이게 하면 ...
    Views75889
    Read More
  16. 감나무와 밤나무 9/12/2014

    부부들은 말한다. “저 사람과 나는 달라도 너무 달라요!” 아주 멋져 보이는 부부를 보고 누군가 부러운 듯이 말을 건넨다. “참 좋으시겠어요. 저런 분과 함께 살아서” 그런데 정색을 하며 대답하는 아내의 말이 걸작이다. “그...
    Views85946
    Read More
  17. 가족 사진

    “옥한흠 목사님”(사랑의 교회 원로)이 세상을 떠나 하관예배가 진행되는 중에 갑자기 옥 목사의 차남 ‘승훈’씨가 “아버지의 관 앞에서 가족사진을 찍겠다.”고 말했다. 동석한 1,000여명의 성도들은 저으기 당황했다. 집...
    Views66039
    Read More
  1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3911
    Read More
  19.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8371
    Read More
  20. 가을이 간다 12/1/2012

    아침 저녁 일교차가 심해지더니 이내 차가운 가을의 입김이 매섭다. 어느새 가을이 가고 있다. 다행히도 태풍에 다 날아가 버린 줄 알았던 색깔바랜 단풍들이 가녀린 손짓을 하며 아직도 가을이 머물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가을은 습도가 없어 좋다. 상쾌한 ...
    Views750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