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62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청각장애.jpg

 

 

 나는 지체장애인이다. 어릴 때부터 온몸을 흔들고 다니는 것이 수치스러워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왔다. 이제 내 나이 스무살. 모든 것이 예민해지는 세대를 살고 있다. 요사이 아는 누나와 ‘썸’아닌 ‘썸’을 타고 있다. 누나는 청각장애 2급이다. 나는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지체장애 5급이다. “장애”라는 수식어가 붙으며 사람인데 사람이 아닌 것처럼 취급당할 때가 있다. 장애는 그냥 단지 몸이 좀 불편한 것뿐인데. 그것 외엔 우리랑 다를 게 뭔데. 몸이 좀 불편하다고 사랑도 못하나? 장애가 있다고 아무것도 못하느냐 말이다.

 

 오늘 그 누나랑 영화를 보러갔다.(청각장애라 한국영화는 못보고 자막 있는 영화로만 봄) 우리가 말도 안하고 계속 폰으로 글씨 하나하나적어서 보여주고 이러니까 주변에서 이상하게 보더라. 이상하게 쳐다보고 '쟤네 뭐야?' '아, 불쌍해 말을 못하나봐' 조롱 섞인 말을 한다. 심지어는 영화를 본 후에 식당에 들어갔는데 사람들 전부다 그런 눈으로 보더라구. 얼마나 열이 올라오는지? 사람들의 시선과 수근거림이 우리를 너무 힘들게 했어. 장애인이라고 무시하는 사람들의 처사가 이해가 안 간다. 다들 장애인으로 만들어버리고 싶을 정도로 힘들었다.

 

 하기야 그 사람들이 장애인들의 고통을 알 리가 없지. 우리들이 겪는 건 니들이 생각하는 그이상이다. 시각장애인들을 생각해 보자! 보이지 않아서, 볼 수가 없어서 하고 싶은 것도 못하며 사는 그들의 고통을 사람들은 아는가? 부모님 얼굴도 못보고, 사랑하는 사람 얼굴도 못 보고....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은 어떻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고통을 사람들은 짐작도 못할 거야. 들리지 않기에 글자하나하나로 대화를 해야 되고 자기감정표현 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몰라. 그보다 더 힘든 건, 사랑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다는 거야. 사랑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주지 못하는 것까지.

 

 그러기에 사람들은 알아야 한다. 내 귀로 모든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 특히 아름다운 음악을 감상 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소중하다는 사실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 같은 지체장애인들 이야기를 해보련다. 몸이 불편하기에 마음속으로 얼마나 마음고생이 심한 줄 아냐?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이는데 조그만 흠이 있어 “장애인”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살아야 하는 이 아픔이 얼마나 큰지 몰라. 사람들은 “장애인, 장애인”하면서 건성으로 불러댄다. 그 아픔에 동참하려는 생각은 아예 접고 말이다. “장애인”이라는 말을 듣는 사람은 얼마나 힘이 드는 줄 아냐? 이렇게 말하면 마땅한 다른 수식어가 없다고 변명들을 하지.

 

 나는 이제 “장애인”이라는 소리는 물론이고, 비슷한 말도 듣기가 싫다. 이제 생각을 바꾸기로 했다. ‘지금 내가 하는 것에 최선을 다한 다음에 장애인이라는 수식어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걸 증명해보일거야. 그리고 나보다 더 힘들게 살아가는 장애인들을 최선을 다해 보살펴 주고 싶다. ‘장애인먼저’, ‘장애인을 사랑하자’는 말잔치 이젠 듣기도 싫고 역겹고 구역질난다. ‘도움을 준다.’는 동정의 말도 시끄럽다. ‘불쌍하다’는 말은 더더욱 듣기 거북하다. 다만 있는 그대로 놔두고 봐 주었으면 좋겠다.

 

 한편, 장애인들에게도 하고 싶은 말이 많다. 장애를 마음속에 담아두는 것은 한을 눈덩이처럼 키우는 어리석은 짓이다. 장애를 장애로 품어 키우는 것이 아니라 어둡고 쓰라린 상처를 딛고 영롱한 아름다운 진주로 키우는 조개의 모습에서 우리는 한을 극복하는 교훈을 찾고, 지혜를 얻어야 한다. 응어리를 키우며 한에 파묻혀 사는 사람에겐 소망도 희망도 없기 때문이다. 상처를 진주로 바꾸는 지혜와 의지를 지닌 조개처럼 한을 극복하는 사람에겐 행복과 기쁨이라는 큰 선물을 얻게 되고, 진주보다 더욱 영롱한 찬란한 희망을 길어 올릴 수 있으리라.

 

 내가 세상을 떠나가는 시간이 온다면 “장애는 슬픔이고, 고통이고, 엄청 불편한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가련다. 저 세상에 가서 하나님을 만날지 못 만날지 모르지만 만에 하나 만날 수 있다면 “장애는 엄청 고통이고, 무지 슬픔이고, 견디기 벅찬 것이고, 피 눈물 나게 불편한 것”이라고. 가감 없이 모두 털어놓을 참이네.

 


  1. 여자가 나라를 움직일 때

    내가 결혼 했을 즈음(80년대) 대부분 신혼부부들의 소망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낳아 부모님께 안겨드리는 것이었다. 이것은 당시 최고 효의 상징이었다. 그런 면에서 나는 딸 둘을 낳으면서 실망의 잔을 거듭 마셔야 했다. 모시고 사는 어머니의 표정은 서...
    Views39830
    Read More
  2. 여자 말만 들으면… 7/12/2014

    이미 다 아는 말 중에 “남자는 평생 세 여자 말만 잘 들으면 성공 한다.”는 말이 있다. 어릴 때는 “엄마”, 결혼해서는 “아내”, 이제는 “GPS 아줌마”(네비게이션). 언뜻 들으면 고개를 ‘갸우뚱’...
    Views77727
    Read More
  3. 여름을 만지다

    지난 6월 어느 교회에서 주일 설교를 하게 되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평소 안면이 있는 집사님과 마주앉았다. 대화중에 “다음 주에 한국을 방문한다.”는 말을 듣자마자 나도 모르게 외쳤다. “여름에 한국엘 왜가요?” 잠시 당...
    Views63177
    Read More
  4. 여기가 좋사오니

    사람은 누구나 안정된 환경과 분위기를 원한다. 예수님의 제자들도 그랬다. 예수님과 변화산(헬몬산)에 올라 예수님의 형상이 변화하고 황홀경을 경험하며 베드로는 외쳤다. “주님, 여기가 좋사오니!” 그 고백은 모든 사람들의 공통적인 욕구인지...
    Views62669
    Read More
  5. 엄마한테 쓰는 편지 6/22/2011

    나이가 들어가면서 감사한 일 중에 하나는 아버지, 어머니를 잘 만났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불만이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나도 나의 부모님에 대해서 아쉬워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한사람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넉넉한 부모...
    Views70727
    Read More
  6. 엄마와 홍시

    엄마는 경기도 포천 명덕리에서 태어나셨다. 천성이 부지런하고 경우가 바른 엄마의 성품은 시대가 어려운 때이지만 조금은 여유가 있는 외가의 분위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외가에 산세는 수려했다. 우아한 뒷산의 정취로부터 산을 휘감아 돌아치는 시냇물은 ...
    Views13997
    Read More
  7. 엄마는 엄마다 10/14/2013

    나에게도 어머니가 계셨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13년 전, 그 분의 시신이 땅속에 내려가는 그 순간에도 나는 “엄마”를 목 놓아 불렀다. 성도들이 다 지켜보는데도 말이다. “어머니”하면 너무 거리가 느...
    Views70803
    Read More
  8.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6038
    Read More
  9.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7072
    Read More
  10.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8633
    Read More
  11.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실로 세월은 덧없이 흐르고 있다. 인생을 살아가기도 버겁건만 난데없는 역병이 엄습하면서 여전히 사람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다. 백신효과가 나타나면서 조금은 여유로운 마음으로 살아가는가 했는데 여기저기서 돌파감염자가 나오며 한숨만 높아간다. 도...
    Views12750
    Read More
  12. 어머니의 아린 마음 9/7/2010

    이 땅에는 어머니가 있다. “어머니!” 그 한마디에 사람들은 지그시 눈을 감는다. 가난, 외로움, 버려짐에 사각지대에서 오직 자식만을 바라보며 살던 여인들이 우리시대에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맛있는 것을 자식들 앞에 갖다놓으며 항상 하시는 ...
    Views71739
    Read More
  13.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54275
    Read More
  14.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5804
    Read More
  15.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7827
    Read More
  16. No Image

    어르신∼

    노인복지원에서 일하는 지인을 만나기 위해 로비에 들어섰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한참이나 “누구계세요. 사람 없습니까?” 외치고 있는데 스탭인 듯한 여성이 나타난다. “저, ○○○씨를 만나려고 왔는데요.” 인터...
    Views40894
    Read More
  17. 어디요? 1/20/2014

    한 신사가 시골길을 달리는 버스에 타고 있었다. 옆에 앉아있던 할머니가 핸드폰을 꺼내 든다. 그러더니 어디론가 전화를 건다. 신호 가는 소리가 들리고 이내 상대방이 전화를 받자마자 묻는다. “어디요?” 요사이는 워낙 전화기 성능이 좋아서 ...
    Views72638
    Read More
  18. 어느 장애인의 넋두리

    나는 지체장애인이다. 어릴 때부터 온몸을 흔들고 다니는 것이 수치스러워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왔다. 이제 내 나이 스무살. 모든 것이 예민해지는 세대를 살고 있다. 요사이 아는 누나와 ‘썸’아닌 ‘썸’을 타고 있다. 누나는 청...
    Views66210
    Read More
  19. 어느 자폐아 어머니의 눈물

    우리 밀알선교단은 매주 토요일마다 발달장애아동을 Care하는 <토요사랑의 교실>을 운영한다. 어느새 30년이 가까워오며 이제 아동이란 명칭을 쓰기가 어색하다. 팬데믹으로 거의 1년반을 모이지 못하다가 지난 9월부터 본격적인 대면모임을 시작했다. 하지만...
    Views13776
    Read More
  20.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53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