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5.19 11:09

그 이름 그 사람

조회 수 62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출산 후에도 그 이름을 평생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이상하다. 이름을 들으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가 연상된다. 이름과 인상이 거의 매치되는 것을 보면 신기하기 이를 데 없다. 성경의 이름을 살펴보자. ‘아브라함’부터 시작하여 ‘다윗’ ‘솔로몬’ ‘베드로’까지 듣기가 좋은 이름의 주인공은 역시 멋진 삶을 살다간 것을 본다. 그런데 ‘나발’ ‘압살롬’ ‘아히도벨’ ‘산발랏’ ‘니골라’는 분명히 히브리명인데 어감이 그리 좋지 않아서인지 역시 그렇고 그런 삶을 살다간 것을 발견하며 놀라게 된다.

 

 따라서 이름을 잘 지어야 한다. 이름이 좋은 만큼 그 값을 하면서 살아야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남자는 남자답게, 여자는 여자답게 이름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희한하다. “영수”는 분명히 남자 이름이고 “정희”는 여자 이름인데 과거 우리나라 대통령 부부의 이름이 뒤바뀌어 있었던 것을 우리는 기억한다. 교회를 다니는 분들은 성경이름을 따서 자녀들의 이름을 짓는다. 여자 중에 가장 많은 이름이 “한나” “에스더”이고 남자의 이름에는 “데이빗”(다윗) “제임스”(야고보) “폴”(바울) “자슈아”(여호수아)인 것 같다. 물론 성경의 인물처럼 평생을 하나님을 잘 섬기며 복을 받고 살라는 뜻으로 그런 이름을 지어주지만 어찌 보면 성장과정에서 부담스러울 수도 있고 그렇게 살지 못할때에 부작용도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내가 어릴 때를 생각해 보면 아들들의 이름은 그럴듯하게 지으면서도 딸들은 흔한 이름이 많았던 것 같다. 언젠가 “서울시 전화번호부에서 가장 많은 이름이 무엇이냐?”는 수수께끼가 나온 적이 있다. 답은 “영자”였다. 족히 ‘수천 명은 된다.’고 한다. 이름에서 ‘子’는 일본식 이름으로 “∼꼬”라고 읽는다. “순자, 영자, 숙자, 애자. 미자”등, 정말 많았다. “자” 못지않게 많은 것이 “순”자 였다. 역시 한국적 분위기가 나는 이름이다. 세월이 흐르며 “숙”자가 대세를 이루는데 “순”자 보다는 조금은 세련된 느낌이었다. 그 다음에 “경” -“미경, 은경, 수경, 혜경”등. “정”-“미정, 수정, 윤정”등으로 변천되어 간다.

 

 그러다가 80년대에 태어나는 아이들에게는 획기적인 이름이 붙여지기 시작한다. 남자애들은 돌림자를 따르기 때문에 그렇고 그랬지만 여자애들의 이름은 예쁘고 튀는 이름이 너무나 많다. “빛나” “초롱” “꽃가람” “빛가람” “나슬” “누리” “푸름이”까지 놀랄 정도이다. 어쩌다 만나는 젊은이들의 이름을 들으며 격세지감을 느낀다. 이름도 나라 경제상황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면 지나친 생각일까? 이름과 외모가 잘 어울리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허다하다. 우리는 재미동포이다. 따라서 부모님이 지어주신 이름이 마음에 안 들면 ‘살짝’ 미국이름으로 개명을 할 수 있는 특권(?)이 있다는 것이 다행스럽기도 하다. 실로 영어이름을 쓰시는 분들 중에 본명을 드러내기에는 걸끄러운 흔한 이름을 가지신 분들이 많다.

 

 언젠가 누군가 나에게 “○○씨를 아느냐?”고 물어왔다. 전혀 들어보지 못한 이름이어서 “모른다.”고 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밀알에 나오는 내가 잘 아는 분이었다. “숙”자가 들어가는 여성분이었는데 남편 성을 따라가고 이름을 영어로 바꾸다보니 전혀 다른 사람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 나의 고교 선배이기도 한 패션 디자이너 고 “앙드레 김”의 본명이 “김봉남”이라는 것이 밝혀져 많은 웃음을 자아내기도 하였다.

 

 이름이란 평생 입는 옷처럼 소중하다. 우리가 어떤 옷을 입는가에 따라서 그 사람의 품격이 달라지듯이 이름의 역할은 중요하다. 앞으로 자녀나 손자들의 이름을 지을 때는 심사숙고 할 것이요. 이왕 주어진 내 이름을 사랑하며 한평생을 살아가는 것도 우리의 사명이 아닐까?


  1.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6125
    Read More
  2. 내게 한사람이 있습니다

    우연히 차를 몰다가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입을 ‘삐죽’여 보기도 한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한 사람이 있었다. 내 눈에서 눈물이 나게 했던 야속한 한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은 안 좋은 생각은 다 걷어 ...
    Views6129
    Read More
  3.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6132
    Read More
  4.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6145
    Read More
  5. No Image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은 다 어설프고 우수꽝스러워 보이지만 인생은 다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장애인이기에 운전을 한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했는데 누가 “한국도 장애인들...
    Views6146
    Read More
  6. 행복의 샘, 밀알의 밤

    미국 역사상 최대의 재벌은 록펠러이다. 그는 만고의 노력 끝에 억만 장자가 되었지만 행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보통 돈만 많아도 행복할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말이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을 만나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게 ...
    Views6159
    Read More
  7.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6166
    Read More
  8.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6195
    Read More
  9.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6210
    Read More
  10.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6232
    Read More
  11. No Image

    이태백

    칼럼 제목을 보고 옛날 당나라의 풍류 시인 “이태백”을 떠올렸다면 미안한 마음이 든다. “이십대 태반이 백수”의 약자이다. 희망에 부풀어 살아야 할 청년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지 오래이다. 실로 취업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Views6237
    Read More
  12.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6244
    Read More
  13. No Image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인생사에 사랑보다 더 소중한 것이 있을까? 사랑으로 태어나고 사랑으로 사람은 성장한다. 우연히 “회장님댁 사람들”이라는 영상을 보았다. 장장 22년을 방영한 인기 드라마 <전원일기>를 재구성하는 케이블방송이었다. 마침 <쎄시봉>팀들이 출연...
    Views6266
    Read More
  14.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6300
    Read More
  15.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6308
    Read More
  16.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6318
    Read More
  17. No Image

    그 강 건너편

    사람마다 살아가며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내 생애에 꼽으라면 단연 천정웅 목사님이다. 나를 오늘의 나로 가꾸어 준 멘토이다. 그분은 정말 건강했다. 20대 초반, 교회 청년부에서 ‘아야진’(동해 휴전선 근처 마을)으로 하기수련회를 갔던 때였...
    Views6326
    Read More
  18.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6338
    Read More
  19.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6347
    Read More
  20. No Image

    눈은 알고 있다

    사람에게는 오감이 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 감각이 살아있어야 사람은 살맛이 난다.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농인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수화, 구화를 통하여 청각 마비의 핸디캡을 커버하며 살아간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적인 후유...
    Views64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