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98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나는 늦깎이 이민자이기에 끊임없이 고국을 그리워하고 일년의 한차례는 그 품에 안겨 냄새를 맡고 싶어 한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한국은 모든 면에서 너무 빨리 변한다는 것이다. 누이와 자취하던 양평 집을 찾아 헤매었지만 허사였다. 20대에 중 · 고등부 학생들을 열정적으로 지도하던 교회도 재개발되면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동 이름조차 변경되었다.

 

 청년 시절 마음이 울적할 때면 찾아가 내려다보던 한강 흑석동 산기슭은 아파트가 들어서며 자취도 없이 사라졌다. 젊은 날 정신없이 쏘다니던 무교동 뒷골목은 운치가 전혀 없는 거리로 변해버렸고 원효로의 낭만은 저만치 지워졌으며, 신기한 물건이 즐비하던 세운상가도 너무 세련되게 치장되어 정이 안간다. 거리만 그런 것일까? 매년 다가가 만나보는 사람들도 조금씩 변해가는 모습이 아쉬울때가 많다. 나는 묵은지 친구들이 많다. 보통 40년~50년 지기이다.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내가 왔다하면 열일을 젖혀놓고 달려나오는 친구들이 귀하고 고맙다. 한가지 서러운 것은 만날때마다 은퇴 소식을 접하는 것이다. 이번에도 광고회사 간부로 일하던 창규가 ‘모든 것을 놓고 퇴사했다’는 말을 할때에 나이의 무게가 느껴져왔다.

 

 친구들을 만나고 숙소로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불현듯 외로움이 엄습해왔다. 보통은 만남 후 내가 묵고 있는 호텔까지 태워다 주지만 왠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싶었다. “모처럼 왔으니까 버스를 타고 싶다”는 내 말에 친구는 아쉬워하며 나에게 손은 흔들었다. 늦은 시간, 버스를 오르내리는 군상들을 보며 인생이 느껴졌다. 함께 출발하여 중간에 내리고 또 오르듯 그렇게 누군가는 떠나가고 만나며 인생을 이어왔다. 일정을 마치고 공항으로 향하기 전 46년 지기 송 목사와 허그를 하며 작별 인사를 나누다가 갑자기 뜨거운 눈물이 뺨을 타고 흘러내렸다. 친구의 당황스런 표정이 목이 메이게 만들었다. “인준아, 어쩌다가 우리는 이렇게 멀리 떨어져 지내게 되었니?”

 

 그렇게 미국에 돌아와 외로움의 실체를 되뇌이며 한주간을 지냈다. 이 세상을 사는 사람들 중에 외로움을 안느끼며 사는 인생이 있을까? 다 밝아보이지만 들여다보면 인간은 다 외로운 존재일 듯 싶다. 나이가 든 노부부가 두 손을 다정히 잡고 공원을 거니는 모습이 무척이나 멋져 보일때가 있었다. 하지만 정작 내가 그 나이가 되니 그리 낭만적이지 않음을 깨닫는다. 모습이 아니라 내면임을 알게 된 것이다. 같이 있어도 외로운 사람이 있고, 바라만 보아도 외로움이 가시는 존재가 있음을 터득하는 중이다.

 

 외롭다는 것이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닌 것을 이제야 깨닫는다. 돌아보면 고비 고비 외로움의 계곡을 돌며 성숙해 왔음을 알아차린다. 외로웠기에 노래했고, 글을 썼고, 결국 신앙을 가지게 되었음은 유익이 아닌가? 가진 것이 많으면? 주위에 사람들이 많으면? 명예와 높은 지위를 얻으면? 외롭지 않을까? 아니다. 그런 것들이 채워지면 외로움은 더 극심하게 다가온다. 홀로 있어도 행복한 사람, 나는 그런 사람이 진정 철학자요, 생의 달관자라고 외치고 싶다.

 

지구별 여행을 함께 하고 있는 80억의 사람은 다 외롭다. 오늘 생명이 있음에 감격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소통하며, 자그마한 것에도 감사를 느끼는 사람은 외로움을 철학으로,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다. 결국 외로움은 주체가 충족되지 못한 애착 욕구를 경험하는 관계 현상이다. 이 때문에 외로움을 분석하는 것은 어렵기 그지없다. 외로움에는 내인적 요소도 있고 외인적 외로움도 있지만 그것을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당신 혼자 있을 때 미소를 지을 수 있다면, 그 미소야말로 진정한 미소인 것이다.”-Andy Rooney.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찰리 채플린


  1.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21068
    Read More
  2.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21358
    Read More
  3.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20647
    Read More
  4.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19851
    Read More
  5.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20008
    Read More
  6.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21989
    Read More
  7.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20316
    Read More
  8.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20772
    Read More
  9.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21257
    Read More
  10.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20920
    Read More
  11.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22006
    Read More
  12. No Image

    인생의 평형수

    만물은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는 본성을 지닌다. 때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며 평형상태가 무너질 때가 있는데 이 찰나에 미미하나마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고 한다. 복원력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것이 물위에 배이다. 급격한 ...
    Views20261
    Read More
  13.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21352
    Read More
  14.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21103
    Read More
  15. No Image

    아내의 존재

    내가 어릴때는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도 커보였다. 형제끼리 이방 저방을 오가며 장난을 치고 호들갑을 떨며 어수선하다가도 아버지가 퇴근을 하고 집에 오시면 일순간 조용해 졌다. 식사 중에 대화를 하면 “밥풀이 튄다”고 절제를 시켰고, 밥숟가...
    Views22001
    Read More
  16.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21976
    Read More
  17.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20363
    Read More
  18.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21041
    Read More
  19.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21323
    Read More
  20.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216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