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7.07 09:49

발가락 시인

조회 수 85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의 입술을 비집고 새어 나온다. 단절되며, 어렵게 새어 나오는 그의 말들은 그래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늘 안타까움을 동반한다. 그의 힘겨움은 마주한 상대방에게도 고스란히 전달된다. 하지만 그로서도 속수무책,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뇌성마비, 태어날 때부터 그의 육체를 지배해온 이 ‘장벽’은 어쩌면 그의 오랜 친구이기도 했다.

 

 그가 구어(口語)가 아닌 문어(文語)를 택한 것은 그래서 좀 더 ‘현실적’인 대안이었는지도 모른다. 지체장애 1급인 그가 외부와 소통하는 수단으로서의 ‘글’은 ‘말’의 고단함과 힘겨움을 얼마간은 완화시켜주는 대안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기에 말이다. 아울러 그는 보다 효과적인 의사전달을 위해 왼발 사용을 연습하였다. 결국 그에게는 ‘발가락 시인’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경남 고성 출생인 그는 태어난 지 한 달도 안 되어 심한 충격으로 장애인이 되었다. 온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누워만 있던 그는 14세가 되어서야 독학으로 글을 익히기 시작했다. 자신이 움직일 수 있었던 유일한 근육조직, 왼발로 글을 쓰기 시작한 그는 27세가 넘어 불현듯 ‘시(詩)’라는 새로운 세계로 스며들었다. 자유 재활원이란 장애인시설에서 “시를 써야 한다”는 강렬한 울림을 들었던 것이다.

 

 육체적인 장애 앞에서 끝없는 절망의 나락을 경험했던 그에게 삶과 죽음의 경계선은 늘 모호했다. 무엇하나 마음대로 할 수 없었던 그의 육체는 그에게는 처절한 감옥이었고, 늘 그를 절망의 벼랑으로 밀어가는 한계 상황이었다. 그는 자신의 심경을 토하며 “앉은뱅이 꽃”이라는 시를 적었다. 『아파도 앓아눕지 못하는 앉은뱅이 꽃. 마음을 다해 태워도 신열은 향기로만 남는, 뿌리 깊은 앉은뱅이 꽃. 갈대밭 세상에서 숨어서 보일 듯 보이지 않는 키 작은 내 모양』 장애는 그가 짊어지기엔 너무도 버거운 짐이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고 믿음이 자라면서 육체를 넘어 진정한 희망을 내다볼 수 있는 ‘영혼의 창’이 되어주었다.

 

 그에게 삶은 하나의 전투이다. 세수하고 양치질을 하고 밥 먹는 일상사가 그에게는 모두 전쟁인 것이다. “나는 전쟁도, 사회 불의에도 직접 뛰어들어 싸워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나 자신과의 싸움은 날마다 끊이지 않았습니다. 맥없이 지는 날도 있었고 철저하게 이기는 날도 있었습니다. 그런 과정 속에서 삶의 빛깔을 새순이라는 모양으로 내게 주어진 터전에서 푸릇푸릇 티워 왔습니다.” 그의 피맺힌 고백이다.

 

 그는 고등학교를 검정고시로 졸업했다. 50이란 적지 않은 나이지만 그는 대학 진학을 계획하고 있다. 육체는 비록 중증 장애인이지만 시인으로서, 한국 문학인의 한 사람으로서 천상병 시인처럼 한국 문학사에 한 획을 긋고 싶은 것이 그의 꿈이다. 그는 육체적 장애라는 한계를 딛고 좀 더 넓은 삶의 지평을 바라보고 있다. 그 언덕에는 신앙과 희망, 용기와 인내라는 나무가 향기로운 꽃을 피워 올리고 있다. 그는 그 길로 향하는 길을 조용히 기도로 묻고 있는 것이다.

 

 시는 한 단어 속에 사람의 정서를 응집시켜 표현해야 하는 고도의 예술이다. 그래서 나는 수필은 쓰고 있지만 아직 시는 범접하지 못하고 있다. 온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뇌성마비 장애를 가진 흥렬씨는 남아있는 왼발의 근육으로 한 글자 한 글자 시를 써 토해 내고 있다. 진정 그의 시는 지상 최고의 예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장애를 안고 살아온 내 생을 돌아보면 장애인에게 가장 무서운 적은 누구의 놀림도 무시도 아닌 자신의 마음속에서 불현듯 밀려 나오는 절망감인 것을 깨닫는다. 그 무서운 속삭임을 신앙으로 승화시킬 수만 있다면 장애는 새로운 창조를 이끌어 내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의 힘겨운 창작품인 시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고 저만치 밀려오는 실낱같은 꿈을 실현했으면 좋겠다.


  1. 바람이 되고싶다 10/21/2013

    40대 초반 가을이었다. 다일 영성수련원(원장:최일도 목사) 경축전 ‘특송’을 부탁받고 경기도 양평 옥천을 거쳐 설악 뒷산을 차로 질주하고 있었다. 산마다 물감을 뿌려 놓은 듯 각양각색의 영롱한 단풍이 가을이 깊어감을 실감케 했다. 차창에 ...
    Views67973
    Read More
  2. 바람이 보여주는 빛을 볼 수 있다면

    바람이 분다. 얼굴에 머물 것 같던 바람은 이내 머리칼을 흔들고 가슴에 파고든다. 나는 계절을 후각으로 느낀다. 봄은 뒷곁에 쌓아놓은 솔가지를 말리며 흘러들었다. 향긋하게 파고드는 솔 향이 짙어지면 기분 좋은 현기증이 봄이 가까이 왔음을 알게 했다. ...
    Views57669
    Read More
  3. 박첨지 떼루아!

    내가 어린 시절에는 볼거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들에게는 손에 잡히는 모든 것이 장난감이었다. 학교를 오가며 논길에 들어서면 거의 모든 것을 훑고 지나다녔다. 강아지풀을 잡아채어 입에 물고 다니는 것으로 시작하여 막 피어나는 ...
    Views64435
    Read More
  4.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2671
    Read More
  5.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71672
    Read More
  6. 받으면 입장이 달라진다

    사람이 이 땅에 산다는 것은 “관계”를 의미한다. 숙명적인 “가족 관계”로부터 자라나며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장성하여 가정을 꾸미면 “부부관계”가 형성된다. “인생은 곧 관계”...
    Views10146
    Read More
  7.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8573
    Read More
  8.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5061
    Read More
  9.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6597
    Read More
  10.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8219
    Read More
  11.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3713
    Read More
  12.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23594
    Read More
  13.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9670
    Read More
  14.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23381
    Read More
  15.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9221
    Read More
  16.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2494
    Read More
  1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4390
    Read More
  18.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5676
    Read More
  19. 베이비부머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년~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
    Views16098
    Read More
  20. 벼락치기 5/29/2013

    학창시절에 벼락치기를 안 해 본 사람이 있을까? 줄곧 수석을 달리거나 공부에 절대적 취미(?)를 가진 친구 아니고는 누구나 벼락치기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우리세대는 시험세대이다. 중학교 입학시험부터 학기 중에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며 학업...
    Views649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