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7.07 09:49

발가락 시인

조회 수 212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의 입술을 비집고 새어 나온다. 단절되며, 어렵게 새어 나오는 그의 말들은 그래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늘 안타까움을 동반한다. 그의 힘겨움은 마주한 상대방에게도 고스란히 전달된다. 하지만 그로서도 속수무책,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뇌성마비, 태어날 때부터 그의 육체를 지배해온 이 ‘장벽’은 어쩌면 그의 오랜 친구이기도 했다.

 

 그가 구어(口語)가 아닌 문어(文語)를 택한 것은 그래서 좀 더 ‘현실적’인 대안이었는지도 모른다. 지체장애 1급인 그가 외부와 소통하는 수단으로서의 ‘글’은 ‘말’의 고단함과 힘겨움을 얼마간은 완화시켜주는 대안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기에 말이다. 아울러 그는 보다 효과적인 의사전달을 위해 왼발 사용을 연습하였다. 결국 그에게는 ‘발가락 시인’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경남 고성 출생인 그는 태어난 지 한 달도 안 되어 심한 충격으로 장애인이 되었다. 온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누워만 있던 그는 14세가 되어서야 독학으로 글을 익히기 시작했다. 자신이 움직일 수 있었던 유일한 근육조직, 왼발로 글을 쓰기 시작한 그는 27세가 넘어 불현듯 ‘시(詩)’라는 새로운 세계로 스며들었다. 자유 재활원이란 장애인시설에서 “시를 써야 한다”는 강렬한 울림을 들었던 것이다.

 

 육체적인 장애 앞에서 끝없는 절망의 나락을 경험했던 그에게 삶과 죽음의 경계선은 늘 모호했다. 무엇하나 마음대로 할 수 없었던 그의 육체는 그에게는 처절한 감옥이었고, 늘 그를 절망의 벼랑으로 밀어가는 한계 상황이었다. 그는 자신의 심경을 토하며 “앉은뱅이 꽃”이라는 시를 적었다. 『아파도 앓아눕지 못하는 앉은뱅이 꽃. 마음을 다해 태워도 신열은 향기로만 남는, 뿌리 깊은 앉은뱅이 꽃. 갈대밭 세상에서 숨어서 보일 듯 보이지 않는 키 작은 내 모양』 장애는 그가 짊어지기엔 너무도 버거운 짐이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고 믿음이 자라면서 육체를 넘어 진정한 희망을 내다볼 수 있는 ‘영혼의 창’이 되어주었다.

 

 그에게 삶은 하나의 전투이다. 세수하고 양치질을 하고 밥 먹는 일상사가 그에게는 모두 전쟁인 것이다. “나는 전쟁도, 사회 불의에도 직접 뛰어들어 싸워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나 자신과의 싸움은 날마다 끊이지 않았습니다. 맥없이 지는 날도 있었고 철저하게 이기는 날도 있었습니다. 그런 과정 속에서 삶의 빛깔을 새순이라는 모양으로 내게 주어진 터전에서 푸릇푸릇 티워 왔습니다.” 그의 피맺힌 고백이다.

 

 그는 고등학교를 검정고시로 졸업했다. 50이란 적지 않은 나이지만 그는 대학 진학을 계획하고 있다. 육체는 비록 중증 장애인이지만 시인으로서, 한국 문학인의 한 사람으로서 천상병 시인처럼 한국 문학사에 한 획을 긋고 싶은 것이 그의 꿈이다. 그는 육체적 장애라는 한계를 딛고 좀 더 넓은 삶의 지평을 바라보고 있다. 그 언덕에는 신앙과 희망, 용기와 인내라는 나무가 향기로운 꽃을 피워 올리고 있다. 그는 그 길로 향하는 길을 조용히 기도로 묻고 있는 것이다.

 

 시는 한 단어 속에 사람의 정서를 응집시켜 표현해야 하는 고도의 예술이다. 그래서 나는 수필은 쓰고 있지만 아직 시는 범접하지 못하고 있다. 온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뇌성마비 장애를 가진 흥렬씨는 남아있는 왼발의 근육으로 한 글자 한 글자 시를 써 토해 내고 있다. 진정 그의 시는 지상 최고의 예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장애를 안고 살아온 내 생을 돌아보면 장애인에게 가장 무서운 적은 누구의 놀림도 무시도 아닌 자신의 마음속에서 불현듯 밀려 나오는 절망감인 것을 깨닫는다. 그 무서운 속삭임을 신앙으로 승화시킬 수만 있다면 장애는 새로운 창조를 이끌어 내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의 힘겨운 창작품인 시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고 저만치 밀려오는 실낱같은 꿈을 실현했으면 좋겠다.


  1. 외다리 떡장수

    최영민(48)은 다리 하나가 없다. 어릴 적에는 부모에게 버려진 아픔이 있다. 열살이 되던 해, 하교 길에 횡단 보도를 건너다 버스에 치어 왼쪽 다리를 잃었다. 사고 후 그는 너무 절망해서 집안에 틀어박혀 살았다. 그러다가 매일 도서관을 찾는 일이 일상이 ...
    Views20670
    Read More
  2. 가을 창가에서

    사람마다 계절의 감각을 달리 느낀다. 여성들은 봄의 감성에 손쉽게 사로잡힌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의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치면 원인 모를 외로움이 살며시 고개를 내어민다.홍릉의 가로수 마로니에 잎이 흐드러지게 날리는 것을 보며 사춘기를 넘어...
    Views21041
    Read More
  3. 천국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없다

    태초에는 숫자가 없었다. 그래서 열손가락을 사용했고, 셈을 하느라 애를 먹었다. 그러다가 오늘날 통용되는 아라비아 숫자까지 발전을 해왔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각자에게 번호가 주어진다. 키가 작은 아이부터 숫자가 주어졌다. 어릴 때부터 키가 작았던...
    Views20951
    Read More
  4. 남편의 위상

    “결혼 안하는 남자”라는 영상을 보았다. 소위 전문직에 종사하는 엘리트 총각들이 모든 것을 다 갖추고도 결혼을 안 하는 현대의 자화상을 담아낸 영상물이었다. 인물, 신장, 집안, 학력 모두 상당한 수준에 있는 젊은이들이었다. 거기다가 전문...
    Views21391
    Read More
  5. 내게 한사람이 있습니다

    우연히 차를 몰다가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입을 ‘삐죽’여 보기도 한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한 사람이 있었다. 내 눈에서 눈물이 나게 했던 야속한 한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은 안 좋은 생각은 다 걷어 ...
    Views21286
    Read More
  6. 보람과 아쉬움

    매년 가을이면 기대하던 밀알의 밤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열일을 젖혀놓고 매년 참석하는 분들이 고맙기 그지없다. 밀알의 밤 준비는 행사 3개월 전에 출연자를 결정하는 기획에 들어가고, 19년째, 40일 금식을 이어가며 준비하게 된다. 힘은 들지만 마음...
    Views21491
    Read More
  7. No Image

    마음 속 어린아이

    사람은 누구나 궁금함에서 삶을 시작한다. 그것을 호기심이라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다. 사람의 즐거움은 다양하다. 우선 오감을 자극시켜 주는 즐거움이 있다. 사람의 인지능력은 시력을 통해 가동되는 경향이 높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고 싶...
    Views20604
    Read More
  8. No Image

    이태백

    칼럼 제목을 보고 옛날 당나라의 풍류 시인 “이태백”을 떠올렸다면 미안한 마음이 든다. “이십대 태반이 백수”의 약자이다. 희망에 부풀어 살아야 할 청년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지 오래이다. 실로 취업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Views21845
    Read More
  9. 행복의 샘, 밀알의 밤

    미국 역사상 최대의 재벌은 록펠러이다. 그는 만고의 노력 끝에 억만 장자가 되었지만 행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보통 돈만 많아도 행복할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말이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을 만나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게 ...
    Views21590
    Read More
  10. No Image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인생사에 사랑보다 더 소중한 것이 있을까? 사랑으로 태어나고 사랑으로 사람은 성장한다. 우연히 “회장님댁 사람들”이라는 영상을 보았다. 장장 22년을 방영한 인기 드라마 <전원일기>를 재구성하는 케이블방송이었다. 마침 <쎄시봉>팀들이 출연...
    Views20979
    Read More
  11.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20855
    Read More
  12. No Image

    철학자의 인생론

    한때 ‘철학계의 삼총사’로 불리우며 다양한 철학논리를 펼친 학자들이 있다. 김형석(연대), 김태길(서울대), 안병욱 교수(숭실대)이다.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하지 않는가? 나야 대학 초년생때 <철학개론>마저도 고루하게 생각했던 장본인...
    Views21071
    Read More
  13. No Image

    아미쉬(Amish)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사실 진리는 가까운 곳에 있는데 말이다. ‘필라델피아’하면 사람들이 떠올리는 것이 있다. 영화 “록키”에서 주인공이 뛰어올라 두 손을 높이 들고 환호하...
    Views24573
    Read More
  14.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여름이 다가오면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바로 “동부 사랑의 캠프”이다. 어떤 때는 밀알선교센터 달력이 다 찢기워 나가고 7월이 펼쳐져 있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하지만 지난 3년 멈춰서야만 하였다. 끔찍한 팬데...
    Views25142
    Read More
  15. No Image

    그 강 건너편

    사람마다 살아가며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내 생애에 꼽으라면 단연 천정웅 목사님이다. 나를 오늘의 나로 가꾸어 준 멘토이다. 그분은 정말 건강했다. 20대 초반, 교회 청년부에서 ‘아야진’(동해 휴전선 근처 마을)으로 하기수련회를 갔던 때였...
    Views23825
    Read More
  16. No Image

    눈은 알고 있다

    사람에게는 오감이 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 감각이 살아있어야 사람은 살맛이 난다.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농인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수화, 구화를 통하여 청각 마비의 핸디캡을 커버하며 살아간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적인 후유...
    Views20323
    Read More
  17.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20884
    Read More
  18.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21297
    Read More
  19.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20400
    Read More
  20. No Image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은 다 어설프고 우수꽝스러워 보이지만 인생은 다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장애인이기에 운전을 한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했는데 누가 “한국도 장애인들...
    Views212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