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5:09

시장통 사람들 9/2/2011

조회 수 1061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IE001028441_STD.jpg

 

우리 한국의 매력은 재래시장에 있다. 백화점이 동네를 점령하면서 편리한 생활이 보장 된 것은 사실이지만 역시 재래시장에 가야 사람냄새를 맡을 수 있다. 미국에 살면서 항상 그리운 것은 재래시장의 정겨움이다. 시장 한구석에 퍼질러 앉아 순대와 오뎅을 먹다가 매운 떡볶기 한 조각을 곁들이면 살아있는 것이 실감나서 좋았다. 서울에는 나름대로 개성을 가진 시장이 즐비하다. 지금은 그 자취를 감춘 지 오래지만 황학동 ‘도깨비 시장’에 들르면 희한한 물건들이 넘쳐흘렀다. 한참을 둘러보고 청계천 쪽으로 발길을 돌리면 볼거리가 즐비했다. 뱀 장사의 입담에 웃음 짓고, 못 보던 약판을 벌여놓고 소리치는 약장사의 꾀임에 넘어갈 뻔도 하며 그렇게 한 바퀴를 돌고나면 가슴이 시원해졌다.

시장통은 인생의 단면도를 보는 것만 같다. 시장상인들의 특징은 억척스러움이다. 새벽에 시장상가의 문이 열리면 정신없이 하루를 돌아친다. 그렇게 인생도 바쁘게 살다보면 마감의 순간이 다가오는 것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늘도 분주하게 그러면서 성실하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며 삶의 톱니바퀴를 이어가고 있다. 다양함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곳이 시장통이다. 시장통 사람들은 오늘도 눈을 뜨면 시장에 나가 가게 문을 열어제낀다. 끼니는 식은 밥에 나물을 비벼 먹을 때가 많다. 때로는 부러 터진 라면에 김치를 올려 끼니를 때우기도 한다. 그러다가 가게에 들어선 손님을 맞이하느라 일어나기 편한 몸뻬를 입고 살아온 지도 반평생이 넘은 분들이 많기도 많다. 거친 물건들을 수십년 만지다보니 하루라도 물기 마를 날 없는 손마디엔 주름이 가득하다. 비린내 나는 생선 가게 아줌마와 젓갈 할머니의 손이 인상적이다.

언제나 새벽 별을 머리에 이고 왔다가 언제나 마지막 버스를 타고 가는 시장통 사람들. 파 와 마늘을 다듬어 상품을 만들고 고추 매듭을 따는 손길이 능숙하다. 해마다 명절이 다가오면 사람들은 서둘러 고향으로 향하지만 ‘명절대목’에 정성을 쏟다보니 시집온 이후 시장통에서 보낸 세월이 반백이 되었다고 탄식하는 할머니의 넋두리가 정겹다. 그래도 그렇게 고생한 끝에 아이들 번듯하게 대학 물 먹이고 아파트 얻어 남부럽지 않을 만큼 살아가는 것이 고맙기 그지없단다. 속절없이 흘러 가버린 젊은 날의 뒤안길.

이제는 영감 허리춤을 붙잡고 세상구경이라도 하련만 자고 일어나면 북새통을 이루는 삶의 터전이 오늘도 분주하다. 그렇게 시장판에서 상가 사람들과 정을 주고 받다보니 세월은 머리에 흰 가루를 뿌렸고 어제도 오늘도 청춘과 애환을 비벼 바치는 시장이 너무도 사랑스럽단다. 눈이 오나 비가 오나 한결같은 시장통 사람들은 부지런히 움직인다. 자꾸만 “사라.”고 한다. ‘싸구려 싸구려’ 소리를 치며 “사라”고 한다. “가요, 가요, 짐요, 짐요.” 빈 수레를 끌고 가며 연신 소리를 지른다. 여기저기 쓰러진 삶의 잔재들이 아무렇게나 밟히는 시장통. 어디선가 “된 놈 안된 놈” 언성 높여 싸우는 소리. 누가 또 삶의 밥그릇을 밟았나 보다. 눈 을 부라리며 연신 삿대질 해가며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는 시장통 광경.

나이가 들어가며 기력이 쇠하여 진때에 아들이 가게로 돌아왔다. 대학을 나오고 번듯한 직장에 다니던 아들이 ‘명퇴’를 당하며 시장통 사람이 된 것이다. ‘내 비록 시장통에서 억세게 살아왔지만 아들만은 그 고생 안 시키려고 했건만’ 인생이 어찌 사람 뜻대로 된다던가? 아들이 가업을 이어 제법 상인 흉내를 내는 것을 보면 안쓰럽다가도 대견하고 이제는 든든한 마음까지 든다. 어차피 한세상을 살아가는 것. 꼭 화이트칼라에 넥타이를 매고 살아야 잘 사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함께 시장통에 나온 며느리의 장사솜씨가 야물어(호남 사투리: ‘알차다’는 뜻) 그것 또한 신통하기 이를 데 없다.

그렇게 오늘도 시장통의 밤이 깊어간다. 그렇게 오늘도 지구촌 시장의 어두움이 깔린다. 물건을 파는 사람은 팔면서 신이 나고 필요한 물건을 흥정 끝에 얻고 나면 성취감에 즐거워하는 곳. 시장통 사람들은 그런 재미를 놓지 못해 새벽에 일어나 눈을 비비며 시장으로 향한다.

 


  1. 가을은 다시 창밖에 10/8/2011

    필라의 여름은 한국처럼 끈적거리거나 따갑지 않아서 좋다. 가는 곳마다 울창한 숲이 우거져있고 간간히 숲을 적시는 빗줄기가 있기에 그렇다. 한낮에는 기온이 치솟다가도 밤중에 창을 두드리는 빗소리는 마음을 평온하게 한다. 처음 미국 서부로 이민을 와...
    Views102548
    Read More
  2. 시장통 사람들 9/2/2011

    우리 한국의 매력은 재래시장에 있다. 백화점이 동네를 점령하면서 편리한 생활이 보장 된 것은 사실이지만 역시 재래시장에 가야 사람냄새를 맡을 수 있다. 미국에 살면서 항상 그리운 것은 재래시장의 정겨움이다. 시장 한구석에 퍼질러 앉아 순대와 오뎅을...
    Views106122
    Read More
  3. 캠프에서 만난 사람 8/31/2011

    장애인들이 매년 손꼽아 기다리는 “사랑의 캠프”가 막을 올렸다. 동부에 있는 밀알선교단이 연합하여 개최하는 사랑의 캠프는 금년으로 19회 째를 맞이한다. 필라델피아 밀알 단장으로 와서 어느새 아홉 번째 참석하고 있으니 실로 세월이 유수이...
    Views98306
    Read More
  4. 부부는 거울이다 8/31/2011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관계가 부부이다. 전혀 다른 집안과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두 사람이 어느 날 부부라는 이름으로 한 이불을 덮는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처음에는 한눈에 반해서, 서로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이어서 부부가 되...
    Views86474
    Read More
  5. 허풍 8/31/2011

    사역을 하다보니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잔잔하고 진실한 성격의 사람을 만나기도하고 때로는 ‘척’들어도 허풍 같은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구사하는 사람까지 참 다채롭다. 심리학자 ‘칼융’의 학설처럼 겉으로 드러나...
    Views97897
    Read More
  6. 알아차리기  8/4/2011

    사람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일들을 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신문을 보거나 인터넷을 시작한다. “아니!” 감탄사를 연발하며 새로운 소식에 반응을 한다. 남성들은 선천적으로 뉴스를 너무도 좋아한다. 모임에 갔을때에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Views95270
    Read More
  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93840
    Read More
  8. 그 이름 그 사람  8/4/2011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94987
    Read More
  9. 짝 8/4/2011

    사람은 누구나 혼자 살수 없다. 그래서 나이가 들어가면 ‘짝’을 찾는다. 처음 학교에 들어가서 ‘어떤 짝을 만나느냐?’는 그래서 중요하다. 좋은 짝을 만나면 등굣길이 가볍다. 학교생활이 행복하다. 하지만 희한한(?) 짝을 만나면 괴...
    Views96878
    Read More
  10. 휠체어  7/7/2011

    휠체어가 한 대 놓여있다. 사람들은 휠체어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우선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두려운 마음이 들지도 모른다. 거동이 몹시 불편한 분들이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휠체어에 앉으신 분을 처음 보았을 때에 느낌이 떠오른다. 장애를 가지...
    Views105569
    Read More
  11. 깍두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 중에 하나가 “깍두기”이다. 무우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적당히 양념을 버무려놓으면 감칠맛 나는 “깍두기”가 탄생한다. “깍두기”하면 설렁탕이 생각나는 것은 둘이 너무나 궁합이 잘 맞기 때문...
    Views111522
    Read More
  12. 쵸코군!  6/22/2011

    우리 집에는 남자(?) 강아지가 있다. 나이는 세 살이고 ‘요크 샤테리아’이다. 처음 병원에서 발행한 족보를 보면서 미소가 저절로 번졌다. 마치 한국의 주민등록 등본처럼 “쵸코”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적혀있는 것이 너무도 신기했...
    Views102526
    Read More
  13. 엄마한테 쓰는 편지 6/22/2011

    나이가 들어가면서 감사한 일 중에 하나는 아버지, 어머니를 잘 만났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불만이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나도 나의 부모님에 대해서 아쉬워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한사람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넉넉한 부모...
    Views91510
    Read More
  14. 전신마비 장애인 6/22/2011

    30대 중반에 담임목사가 되어 목회에 열정을 불사르고 있을 때였다. 어느 주일에 한 가족이 필자가 목회하는 교회에 등록을 하였다. 남편은 덤프트럭을 운전하는 기사였고 아내는 다소곳한 인상에 두 명의 어린 아들이 있었다. “목포에서 살다가 병상에 ...
    Views111940
    Read More
  15. 산다는 건 그런거지  5/28/2011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은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
    Views102057
    Read More
  16.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5/28/2011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어설퍼서 마음에 안 들고 우습게 보이지만 나도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내가 운전면허를 딴것은 1991년이었다. 장애인이기에 운...
    Views87353
    Read More
  17. 자녀는 선물이다 5/28/2011

    지금은 장애인사역에 전념하느라 가정 사역은 한켠으로 밀어놓은 상태이지만 가정을 살리는 일처럼 소중한 우선순위는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내적치유를 인도하며 많은 사람을 만났다. 가정의 달에 갑자기 뇌리를 스친 사람은 2번이나 자연 유산을 한 30...
    Views103516
    Read More
  18. 지금은 천국에 계시겠지요  5/9/2011

    '공교롭다.’는 말은 이럴 때 쓰는 말인가 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에 간 사이에 밀알 가족들 중에 두 분이 유명을 달리하셨다. 아내의 전화를 통해 두 분의 소천소식을 들었을 때에 애통한 심정은 이루 말로 표현이 안 된다. 이미 암과 투병 중이셨...
    Views104282
    Read More
  19. 남자도 울고 싶을 때가 있다 5/9/2011

    통계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년 정도를 더 장수한다고 한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감정표현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희노애락의 정서가 있는데 여자들은 그 표현을 아주 자연스럽고도 풍부하게 한다. 반면 남자들은 그렇지 않다. 어릴 때부터 들어 ...
    Views100167
    Read More
  20. 아! 청계천  4/29/2011

    금번 한국 방문 목적 중에 하나는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장애인의 날 기념 예배”에서 설교를 하는 일이었다. 13일(수) 정오가 가까워오면서 총신대학교 대강당에는 신학생들과 교직원 들이 자리를 하기 시작하였다. 대강당에 운집한 학생들의 ...
    Views1054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