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7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3 Camp Agape 1.jpg

 

 여름이 다가오면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바로 “동부 사랑의 캠프”이다. 어떤 때는 밀알선교센터 달력이 다 찢기워 나가고 7월이 펼쳐져 있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하지만 지난 3년 멈춰서야만 하였다. 끔찍한 팬데믹 때문이다. 대부분 기저질환 환자인 장애인들을 한자리에 모은다는 것이 엄두가 나지 않았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가 번져나갈때는 얘기도 꺼내지 못했고, 21년~22년에도 연합 단장회의를 거듭하다가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 하지만 2023년이 열리며 용기를 내기로 하였다. 백신효과와 바이러스 약화 현상이 현저히 나타난 이상 장애인(장애 아동)들의 열망을 더 이상 억눌러 놓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7월 20일(목) 드디어 4년 만에 제 28회 밀알 동부 사랑의 캠프가 프린스턴에서 막을 올렸다. 마이애미 밀알은 비행기로, 아틀란타, 리치몬드, 캐롤라이나, 시카고, 캐나다 토론토 밀알 단원들은 하루 전에 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오히려 기쁨으로 여기며 장도에 올랐다. 그렇게 10개주 밀알에서 600명이 운집하였다. 캠프는 두 분야로 갈라져 진행된다. 장애아동 “사랑캠프”는 오로지 영어로 진행되며 분위기가 역동적이다. 성인 “믿음캠프”는 한국말로 진행하며 다채로운 순서가 이어진다.

 

 금년 성인 캠프도 역시 내가 진행을 맡았다. 수백명의 장애인들과 자원봉사자에게 타임키퍼역할을 하며 자상하고 위트있게 일정을 이끌어야 했다. 금년에는 시애틀 형제교회 권준 목사님이 주강사로 시간시간 은혜의 말씀을 증거 해 주었다. 우선 강사의 태도와 매너가 섬김의 자세여서 좋았다. 창세 전에 택함 받은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메시지가 증거되었다. 장애, 비장애를 막론하고 하나님의 관심과 사랑은 우리에게 있음을 강조하며 상황에 맞는 간증으로 성도들의 마음을 만져주었다. 고난 중에 받는 말씀은 가물어 메마른 땅에 빗줄기가 스며들 듯 성도들의 마음을 녹여주었고 여기저기서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은혜의 잠기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캠프에서 눈에 띄는 만남은 장애아를 둔 학부모들이다. 그 아픔과 무거운 짐을 누가 헤아리랴! 동병상련. 나만 힘든 줄 알았는데. 내 아이보다 더 중증인 장애아를 키우는 부모를 만나며 진정한 위로를 받는다. 마주 잡은 손은 놓을 줄 모르고 아픔을 공유하며 치유의 역사가 일어난다. 첫날 저녁 무대에 오른 복음가수 “이용례 권사”의 찬양과 간증은 장애인들과 학부모들의 마음을 치유하기에 충분하였다. 둘째 날, 오후에 진행되는 세족, 네일, 한방, 물리치료, 가족 사진촬영 색션은 캠프의 진미를 더하는 행복한 시간이다.

 

 식사는 한식캐더링으로 대식당에서 음식을 나눈다. 집에 서는 철없는 Youth Group 학생이지만 자신이 맡은 장애아동을 달래가며 음식을 먹이고 인도하는 모습은 천사, 그 자체의 모습이다. 유난히 활동력이 강한 자폐아를 따라다녀 지칠만도 한데 시장기를 뒤로하고 아동부터 열심히 챙긴다. 음식을 흘리면 싫은 내색없이 정성껏 닦아주고 안아준다. 멀리서 그 광경을 지켜보다가 두뺨에 절로 눈물 줄기가 타고 내린다. 어린 나이에 이웃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그들이 대견하고 고마워서 뭔지모를 감동이 스물스물 가슴을 파고 들기 때문이다. 그런 예쁜 마음들이 엮어져 밀알은 기쁘게 사역을 이어가고 있다.

 

 둘째 날 밤에는 캐롤라이나에서 활동 중인 성악가 부부가 무대에 올랐다. 루치아노 파바로티를 연상케 하는 체격의 김정균 테너는 파워풀한 노래, 좌중을 웃음바다로 만드는 입담으로 한여름밤의 환상적인 음악회를 연출해 주었다. 아내 강지영 소프라노의 찬양은 받은 은혜에 이슬을 더하는 듯한 감동을 듬뿍 선사했다. 총진행을 맡은 나는 맨 앞자리에서 시시각각 나타나는 밀알들의 표정을 그대로 읽을 수 있었다. 31년째가 되어야 하는데. 28회라는 것이 조금은 아쉬웠지만 이제 멈춤없이 밀알 사랑의 캠프가 진행되어 장애인(장애아동)들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다. 진정 주님의 사랑에 심취했던 캠프는 아쉽게 막을 내렸다.

 

 “내년에 다시 만나요!” 가로젖는 손끝에 아쉬움이 번져 온다. 장애인, 그들은 실로 하나님의 동역자이다.


  1. 느림의 미학

    얼마 전, 차의 문제가 생겨 공장에 맡기고 2주 동안이나 답답한 시간을 지내야만 하였다. 갑자기 핸드폰이 울렸다. 친구 목사의 전화였다. “내가 데리러 갈테니까 커피를 마시자”는 내용이었다. 친구의 차를 타고 커피숍으로 향했다. 그날따라 대...
    Views8995
    Read More
  2. 존재 자체로도 귀한 분들

    이 세상에서 제일 못난 사람이 있다면 자신의 부모를 부끄럽게 여기는 사람일 것이다. 부모는 자식의 뿌리이다. 부모 없이 내가 존재할 수 없다. 묻고 싶다. “과연 나는 나의 부모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학력, 인격, 경제력, 기타 어떤 조건을 ...
    Views8978
    Read More
  3. 시간이 말을 걸어 올 때까지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70년대만 해도 선교사를 파송하면 현지에서 적응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였다. 불타는 열정으로 선교지에 도착하였다 하더라도 6개월은 아무일도 못하게 한다. 답답해도 참아야 한다. 그 기간이 차면 서서히 선교활동을 시작한다. ...
    Views8969
    Read More
  4. 지금합니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막상 사정이 생기거나 여유가 있다고 생각되면 지금 할 일을 나중으로 미루게 된다. 그것이 흔한 일상이지만 사소한 게으름이 인생의 기회를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경험을 ...
    Views8946
    Read More
  5. No Image

    돋는 해의 아침 빛<2023년 첫칼럼>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해돋이를 위해 산이나 바다로 향한다. 따지고 보면 같은 태양이건만 해가 바뀌는 시점에 바라보는 태양의 의미는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목사이기에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은 당연한 모습이요, 삶이 된 것 같다. ...
    Views8876
    Read More
  6. 사랑, 그 아름답고 소중한 얘기들

    우리시대 최고의 락밴드 <송골매>가 “전국 공연을 나선다”는 소식을 들으며 저만치 잊혀졌던 추억이 파도처럼 밀려왔다. 송골매가 결성된 것이 1979년이니까 40여년 만에 노장(?)들이 무대에 함께 서는 것이다. 공연 테마가 “열정”이...
    Views8850
    Read More
  7. 또 다른 “우영우”

    지난 23일. 대구에서 30대 엄마가 자폐 증세가 있는 자신의 아이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했다. 2살 아들을 흉기로 살해한 뒤 아파트 베란다 아래로 뛰어내려 숨진 것이다. 집 안에서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라는 내용을 담은 유서가 발견되...
    Views8828
    Read More
  8.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8788
    Read More
  9. 겨울 친구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그래도 실내에 들어서면 온기가 충만하고 차에 올라 히터를 켜면 금방 따스해 지니 다행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겨울은 너무도 추웠다. 지금보다 날씨가 더 추웠는지 아니면 입은 옷이 시원치 않아서 그랬는지 그때는 ...
    Views8629
    Read More
  10. 인연

    어느새 2022년의 끝자락이다. 3년의 길고 지루했던 팬데믹을 빠져나가는 듯한 느낌이 들어 금년 세모는 서러운 생각은 별로 안드는 것 같다. 돌아보니 금년에도 바쁘게 돌아쳤다. 1월 새해 사역을 시작하려니 오미크론이 번지며 점점 연기되어 갔다. 2월부터 ...
    Views8484
    Read More
  11.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8398
    Read More
  12.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8196
    Read More
  13.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8118
    Read More
  14.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8075
    Read More
  15. No Image

    잊혀져 간 그 겨울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날씨는 음력이 정확하게 이끌어 주는 것 같다. 설(22일)을 넘어 입춘(2월 4일)이 한주 앞으로 바싹 다가서고 있다. 불안한 것은 눈이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별걱정을 다한다’고 할지 모르지만 겨울이 겨울답지 않...
    Views8030
    Read More
  16.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7967
    Read More
  17. No Image

    아내의 존재

    내가 어릴때는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도 커보였다. 형제끼리 이방 저방을 오가며 장난을 치고 호들갑을 떨며 어수선하다가도 아버지가 퇴근을 하고 집에 오시면 일순간 조용해 졌다. 식사 중에 대화를 하면 “밥풀이 튄다”고 절제를 시켰고, 밥숟가...
    Views7925
    Read More
  18.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7893
    Read More
  19.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7766
    Read More
  20.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여름이 다가오면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바로 “동부 사랑의 캠프”이다. 어떤 때는 밀알선교센터 달력이 다 찢기워 나가고 7월이 펼쳐져 있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하지만 지난 3년 멈춰서야만 하였다. 끔찍한 팬데...
    Views773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