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9.08 14:58

행복의 샘, 밀알의 밤

조회 수 84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웹용2520x1440.jpg

 

 미국 역사상 최대의 재벌은 록펠러이다. 그는 만고의 노력 끝에 억만 장자가 되었지만 행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보통 돈만 많아도 행복할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말이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을 만나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게 된다. 건강은 점점 악화되었고 날마다 검진을 받기 위해 휠체어를 의지하고 병원 출입을 해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병원 로비에 걸려있는 액자의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주는 자가 받는 자보다 복이 있다” 순간 그는 마음 속에 전율을 느끼며 눈물이 솟구쳤다. 한 번, 두 번, 세 번을 읽는 중에 선한 기운이 온몸을 감싸왔고 그는 눈을 지그시 감고 생각에 잠긴다.

 

 록펠러는 이후 섬기는 삶에 올인한다. 죽어가는 아이의 병원비를 지불해 주는 것으로 시작으로 그는 실로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행복을 위해 모든 것을 나누는 삶을 전개한다. 희한했다. 그 시점부터 전에 깨닫지 못했던 기쁨과 감격이 밀려왔다. 얼마 후. 신기하게도 그의 몸은 급격하게 회복되었고 이윽고 모든 병이 사라지는 기적을 경험한다. 그는 무려 98세를 향유하였다. 그의 회고록에 적힌 내용이다. “인생 전반기 55년은 돈타령하느라 쫓기며 살았지만 후반기 43년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남에게 봉사하고 어려운 사람 곁에 머물 줄 아는 사람이 진정 위대한 사람인 것이다.

 

 예수님은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마태복음 25:40) 예수님을 육안으로 보고 만날 수는 없다. 하지만 지금 내 주위에 있는 작은 자(연약한 자)를 돌봄으로 그분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천사들이 많다. 토요일마다 장애아동들을 돌보는 유스그룹 어린 학생들로부터 몸과 마음이 한없이 약한 장애인들을 지극정성으로 보살피는 자원봉사자들이 그들이다. 그들의 기도와 눈물, 희생의 땀방울이 영글어 36년의 장애인사역을 이어오고 있다.

 

 가을에 여는 밀알의 밤. “일년의 한번 정도는 장애인을 기억하고 곁에 다가와 친구가 되어달라”는 애원의 장이다. 어느새 19년. 자그마하게 시작했던 음악회는 이제 동포들이 가을만 되면 기대하는 행복의 샘이 되었다. 어린 시절, 무더운 여름. 학교에서 돌아오다 목이 타들어 갈 때 만나는 샘이 있었다. 얼마나 고마웠던지, 가슴까지 시원해 지는 샘물을 먹으며 원기를 회복하던 기억이 새롭다. 이민의 삶은 각박하다. “음악회? 팔자 좋은 사람이나 가는 거지?” 그렇게 지나치며 오늘도 삭막한 삶의 현장에서 바쁘게 돌아치는 이민자들의 삶이 애달프다.

 

 금년에는 복음가수 “박종호”를 초청하였다. 그는 세계적인 솔리스트 조수미와 서울대 음대를 동문수학했다. 4년내내 ‘All A+’를 받을 정도로 그는 타고난 성악가였다. 그의 삶을 전환시킨 것은 같은 학교 친구 최덕신이었다. 그의 강력한 권고로 제 6회 극동방송 복음성가경연대회에 참가하게 되었고 최덕신 작곡의 “내가 영으로”라는 곡으로 대상을 거머쥐며 일반 성악이 아닌 복음 가수의 길을 걷게 된다. 이후 작사 송명희 시인, 작곡 최덕신 삼총사는 주옥같은 복음성가를 빗어내며 성도들을 은혜의 길로 인도한다.

 

 언제까지나 파워풀한 찬양을 할 것 같은 그에게 커다란 위기가 찾아온다. 2016년 건강하던 그에게 간암에 덮친 것이다. 하나님은 살아계셨다. 간절히 부르짖는 그와 가족의 기도에 응답하셨고 하나님은 상상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치유하시며 제 2의 인생을 허락하셨다. 그는 “무려 36년 만에 밀알음악회에서 공연하게 되었다”고 감회를 전해왔다.

 

 내 아이에게 장애가 없는 것은 크나큰 행운이다. 내가 건강하다는 것도 분명 축복이다. 하지만 내 곁에는 장애아를 키우며 눈물짓는 가정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평생 장애 때문에 애타하고 힘들게 살아가는 이웃이 있음을 헤아려야 한다. 박종호는 분명 감동의 보따리를 안고 우리를 찾아올 것이다. 밀알 단원들은 금식하며 알알이 순서를 준비하고 있다. 당신의 응원이 필요하다. 당신의 박수가 절실하다. 시원한 감동의 샘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1. No Image

    이태백

    칼럼 제목을 보고 옛날 당나라의 풍류 시인 “이태백”을 떠올렸다면 미안한 마음이 든다. “이십대 태반이 백수”의 약자이다. 희망에 부풀어 살아야 할 청년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지 오래이다. 실로 취업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Views8660
    Read More
  2. 행복의 샘, 밀알의 밤

    미국 역사상 최대의 재벌은 록펠러이다. 그는 만고의 노력 끝에 억만 장자가 되었지만 행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보통 돈만 많아도 행복할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말이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을 만나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게 ...
    Views8407
    Read More
  3. No Image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인생사에 사랑보다 더 소중한 것이 있을까? 사랑으로 태어나고 사랑으로 사람은 성장한다. 우연히 “회장님댁 사람들”이라는 영상을 보았다. 장장 22년을 방영한 인기 드라마 <전원일기>를 재구성하는 케이블방송이었다. 마침 <쎄시봉>팀들이 출연...
    Views8286
    Read More
  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8124
    Read More
  5. No Image

    철학자의 인생론

    한때 ‘철학계의 삼총사’로 불리우며 다양한 철학논리를 펼친 학자들이 있다. 김형석(연대), 김태길(서울대), 안병욱 교수(숭실대)이다.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하지 않는가? 나야 대학 초년생때 <철학개론>마저도 고루하게 생각했던 장본인...
    Views8700
    Read More
  6. No Image

    아미쉬(Amish)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사실 진리는 가까운 곳에 있는데 말이다. ‘필라델피아’하면 사람들이 떠올리는 것이 있다. 영화 “록키”에서 주인공이 뛰어올라 두 손을 높이 들고 환호하...
    Views8285
    Read More
  7.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여름이 다가오면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바로 “동부 사랑의 캠프”이다. 어떤 때는 밀알선교센터 달력이 다 찢기워 나가고 7월이 펼쳐져 있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하지만 지난 3년 멈춰서야만 하였다. 끔찍한 팬데...
    Views8851
    Read More
  8. No Image

    그 강 건너편

    사람마다 살아가며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내 생애에 꼽으라면 단연 천정웅 목사님이다. 나를 오늘의 나로 가꾸어 준 멘토이다. 그분은 정말 건강했다. 20대 초반, 교회 청년부에서 ‘아야진’(동해 휴전선 근처 마을)으로 하기수련회를 갔던 때였...
    Views8205
    Read More
  9. No Image

    눈은 알고 있다

    사람에게는 오감이 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 감각이 살아있어야 사람은 살맛이 난다.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농인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수화, 구화를 통하여 청각 마비의 핸디캡을 커버하며 살아간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적인 후유...
    Views8523
    Read More
  10.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8087
    Read More
  11.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8503
    Read More
  12.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8684
    Read More
  13. No Image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은 다 어설프고 우수꽝스러워 보이지만 인생은 다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장애인이기에 운전을 한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했는데 누가 “한국도 장애인들...
    Views8317
    Read More
  14.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8403
    Read More
  15.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8432
    Read More
  16.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8570
    Read More
  17.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8253
    Read More
  18.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8182
    Read More
  19.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8448
    Read More
  20.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82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