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11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리를듣지못하는여동생-1.jpg

 

언젠가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둔 한분과 긴 시간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여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워 견디기 힘든 시간이 많았다.”는 고백부터 “그 여동생을 한국에 남겨두고 미국에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 싫어질 때가 많다.”고 하였다. 필자는 장애인이다. 이렇게 말하면 남녀차별적인 발언이라 할지 모르지만 같은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성별에 따라 장애를 견뎌내는 차원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통상적으로 볼 때에 남자 장애인들은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잘 견디어 나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연약한 여인에게 장애는 너무나 버거운 멍에임에 틀림이 없다.

여기 장애인 여동생을 둔 한 남자가 있다. 그는 장애를 가진 여동생의 정신적 지주였고 인간지팡이로 살았다. 그런데 그는 군 입대를 앞두고 있다.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그는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두고 군대에 가야 한다는 것이 너무 고통스러워 밤잠을 설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여동생은 검정고시로 중고등학교를 마쳤다. 지금은 집에서 너무나 적은 월급이지만 재택으로 컴퓨터 워드입력 일을 하고 있다. 맞벌이를 하시는 부모님이 출근을 하고나면 여동생만이 홀로 집에 남겨져야만 한다. 그 사실이 군 입대를 앞둔 오빠의 마음을 짓눌러 온다. 어디서 배웠는지 여동생은 언제부터인가 담배를 피운다. 몸도 약한 아이가 담배까지 피우는 것이 오빠로서는 너무 안타까웠다. 완강하게 야단을 치고 담배를 끊게 하려고도 했지만 ‘얼마나 답답하면 피울까?’하는 생각이 들어 차마 입을 열지 못했다.

어린 시절 명절을 쇠느라 시골에 갔다 오다가 사고가 났다. 차에는 온가족이 타고 있었는데 여동생만 장애인이 되고 말았다. 명치 아래로 신경이 죽어서 휠체어 생활이 시작되었고 그날부터 집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삶이 시작된 것이다. 그러다가 어떤 모임에 나가게 되었는데 친절하게 대해주는 한 남학생에게 호감을 가졌던 모양이다. 하지만 그 청년은 여동생을 그냥 호기심, 동정심 이런 걸로 관심을 보였을 뿐이라는 사실과 그 청년이 다른 자매와 가까이 지내는 것을 보면서 많은 실망에 휩싸이게 된다. 내성적이고 감성적인 그녀는 큰 상처를 받게 되었다. 사람들은 장애인들도 이성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똑같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 같다.

오빠는 고백한다. 중학교에 다닐 때까지는 장애인 여동생이 있다는 사실이 못내 수치스러웠다고, 장애인 동생이 있는 것을 알고 수군거리는 친구들이 못마땅했고 이상한 질문과 소문을 내는 아이들과 싸운 적도 많이 있었다. 집에 손님이 오면 방에 들어 앉아 인기척도 안내는 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웠다. 장애를 가진 모습을 남에게 보이기 싫어하는 여동생이 그래서 더 불쌍하게 느껴진다고 했다.

장애인들이 사는 길은 하나이다. 세상 밖으로 나와야 한다. 집밖으로 나와 사람들을 만나는 순간부터 새 세상이 열리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힘이 들고 많은 사람의 따가운 시선을 견뎌내기가 힘들겠지만 만남을 통해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지대한 공을 세운 것이 “밀알선교단”이다. 미주 밀알도 그렇지만 한국에 가보니 수십년 집안에서만 살고 있던 많은 장애인들을 밀알선교단으로 이끌어내며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 놀라운 사례들이 즐비하다.

장애인을 가족이 품고 사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같은 장애인들을 만날 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을 가족 이상으로 사랑하고 보살펴주는 가슴 따뜻한 분들을 만나야 새로운 인생이 열리는 것이다. 달걀은 그냥 놓아두면 언제까지만 달걀로 끝난다. 하지만 어미 닭이 21일을 품으면 달걀은 병아리로 변한다. 병아리로 태어날 때에도 달걀 껍질을 깨고 나오는 것은 병아리가 스스로 해야만 한다. 장애의 무게가 버거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에 개의치 않고 도전과 모험을 감당하는 분들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축복이 예비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다. 여동생을 사랑하는 오빠를 위로하고 싶다. 그리고 알려주고 싶다. 세상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천사들이 도처에 살고 있노라고.


  1. 기적은 있다 12/15/2011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별 일들을 다 만나게 된다. 나에게는 전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일에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도 좋은 일이라면 얼마나 행복할까? 내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어 버리는 극한 고난을 만날 때에 사람은 당황한다. &ldquo...
    Views71114
    Read More
  2. 잘 되는 나 12/8/2011

    이것은 ‘긍정의 힘’의 저자 조엘 오스틴이 내놓은 역작의 제목이다. 너무 노골적이지만 현대인들은 그런 취향에 익숙해 진지 오래이다. 조엘 오스틴의 책을 접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음을 나도 느낀다. 아마 그것은 정식으로 신학을 하...
    Views70786
    Read More
  3. 동보극장 간판 예술가 12/8/2011

    평생 경찰로 살아오시던 아버지는 퇴직을 하시자마자 모든 것을 정리하여 서울행을 결심하신다. 내 나이 16살에 나는 그렇게 꿈꾸던 서울사람이 되었다. 밤이 되면 거리를 수놓는 현란한 네온사인 불빛이 어린 가슴을 설레이게 하였다. 처음에는 어리버리하던...
    Views81202
    Read More
  4. 남편은 애물 덩어리 11/30/2011

    부인들이 앉아 남편 흉을 보기 시작했다. 한참을 둘러치다가 누군가가 말했다. “그러기에 남편은 애물덩어리야. 집에 혼자 두면 ‘근심덩어리’, 밖에 데리고 나가면 ‘골치덩어리’, 마주 앉으면 ‘웬수덩어리’, 거기...
    Views72433
    Read More
  5. 장애 여동생을 향한 마음 11/30/2011

    언젠가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둔 한분과 긴 시간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여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워 견디기 힘든 시간이 많았다.”는 고백부터 “그 여동생을 한국에 남겨두고 미국에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 싫어질 때가 많다.&...
    Views81159
    Read More
  6. 이런 인생도 있다 11/6/2011

    지난 초여름 한국을 뒤집어 놓은 사건이 있었다. 케이블·위성 방송 오락채널인 ‘티브이엔’이 야심차게 방영한 “코리아 갓 탤런트” 첫 회에 출연한 “최성봉”이란 젊은이 때문이었다. “코리아 갓 탤런트&rdqu...
    Views72731
    Read More
  7. 낙엽속에 숨겨진 인생 10/27/2011

    밀알의 밤이 막을 내렸다. 작년까지만 해도 엄청난 인파가 자리를 메우고 들뜬 분위기로 밀알의 밤은 연출되었다. 사람들이 많이 모인 것을 자랑하고 그것을 행사의 성공기준으로 삼는 것 같은 속성에 빠져있는 나를 발견하고 스스로 놀랐다. 금년 밀알의 밤...
    Views80952
    Read More
  8. 35m 다리에 올라간 사나이 10/24/2011

    지난 달 19일. 밤 8시경 부산 영도구 봉래동에 위치한 부산대교 위에서 한 남성이 “집 나간 아내를 찾아오지 않으면 뛰어내리겠다.”며 투신자살 소동을 벌였다. 다행히 급히 출동한 119 구조대원의 설득 끝에 3시간 만에 스스로 내려와 큰 화는 ...
    Views76572
    Read More
  9. 가을을 밀알의 밤과 함께 10/24/2011

    여름이란 순수 우리말로 “열매”이다. 사람들은 무더움과 지루한 장마만 생각하며 정을 덜 줄지 모르지만 여름의 따가운 햇살이 나뭇가지에 달려있는 갖가지 열매들을 농익게 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인생도 마찬가지이다. 험난한 길...
    Views82192
    Read More
  10. 추억이 피어오르는 음식 10/8/2011

    사람에게 소중한 즐거움이 있다면 그것은 “식도락(食道樂:여러 가지 음식을 먹어 봄을 도락으로 삼는 일)”이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음식이 있다. 그 이유를 물으면 그 음식에 얽힌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마늘쫑”만 보면 금새 ...
    Views76947
    Read More
  11. 이민 전설 10/8/2011

    한국 사람은 한국에서 살아야 한다. 익숙한 것이 행복의 절대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미국에서 살고 있다. 만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라! “어떻게 미국에 오시게 되셨습니까?” 사연은 가지가지이다. 그중에서도 가족들이 영주권을...
    Views76270
    Read More
  12. 감탄은 사람을 행복하게 한다 10/8/2011

    한국에서 한창 뜨고 있는 김정운 교수가 쓴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라는 책이 있다. 처음에는 ‘간이 바깥으로 나온 사나이구먼’하며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그런데 책의 내용이 매우 감각적이었다. 그 중에 “한국 ...
    Views74300
    Read More
  13. 이런 마음을 알기는 하니! 10/8/2011

    딸이 떠났다. 그동안 전공하던 것을 접고 “음악을 공부하겠다.”는 일념을 가지고 먼 로스엔젤레스(L.A.)로 떠나갔다. 몇 달 전, 심각하게 아빠와의 면담을 요구 했을때는 하찮게 들어 넘겼다. 미국에 처음 이민을 온 곳이 L.A.이기에 막연한 그리...
    Views76449
    Read More
  14. 가을은 다시 창밖에 10/8/2011

    필라의 여름은 한국처럼 끈적거리거나 따갑지 않아서 좋다. 가는 곳마다 울창한 숲이 우거져있고 간간히 숲을 적시는 빗줄기가 있기에 그렇다. 한낮에는 기온이 치솟다가도 밤중에 창을 두드리는 빗소리는 마음을 평온하게 한다. 처음 미국 서부로 이민을 와...
    Views81450
    Read More
  15. 시장통 사람들 9/2/2011

    우리 한국의 매력은 재래시장에 있다. 백화점이 동네를 점령하면서 편리한 생활이 보장 된 것은 사실이지만 역시 재래시장에 가야 사람냄새를 맡을 수 있다. 미국에 살면서 항상 그리운 것은 재래시장의 정겨움이다. 시장 한구석에 퍼질러 앉아 순대와 오뎅을...
    Views84732
    Read More
  16. 캠프에서 만난 사람 8/31/2011

    장애인들이 매년 손꼽아 기다리는 “사랑의 캠프”가 막을 올렸다. 동부에 있는 밀알선교단이 연합하여 개최하는 사랑의 캠프는 금년으로 19회 째를 맞이한다. 필라델피아 밀알 단장으로 와서 어느새 아홉 번째 참석하고 있으니 실로 세월이 유수이...
    Views78660
    Read More
  17. 부부는 거울이다 8/31/2011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관계가 부부이다. 전혀 다른 집안과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두 사람이 어느 날 부부라는 이름으로 한 이불을 덮는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처음에는 한눈에 반해서, 서로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이어서 부부가 되...
    Views68023
    Read More
  18. 허풍 8/31/2011

    사역을 하다보니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잔잔하고 진실한 성격의 사람을 만나기도하고 때로는 ‘척’들어도 허풍 같은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구사하는 사람까지 참 다채롭다. 심리학자 ‘칼융’의 학설처럼 겉으로 드러나...
    Views77237
    Read More
  19. 알아차리기  8/4/2011

    사람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일들을 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신문을 보거나 인터넷을 시작한다. “아니!” 감탄사를 연발하며 새로운 소식에 반응을 한다. 남성들은 선천적으로 뉴스를 너무도 좋아한다. 모임에 갔을때에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Views74152
    Read More
  20.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43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