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00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5686_5617_2817.jpg

 

평생 경찰로 살아오시던 아버지는 퇴직을 하시자마자 모든 것을 정리하여 서울행을 결심하신다. 내 나이 16살에 나는 그렇게 꿈꾸던 서울사람이 되었다. 밤이 되면 거리를 수놓는 현란한 네온사인 불빛이 어린 가슴을 설레이게 하였다. 처음에는 어리버리하던 나는 시내버스를 타고 종점까지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방법으로 서울지리를 익혀가기 시작하였다. 덕분에 빠른 시일 안에 서울 곳곳을 속속들이 알게 되는 순발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아버지는 동료들이 많이 근무하는 청량리 경찰서 입구에 자그마한 <구멍가게>를 오픈하셨다. 가끔 아버지 후배들이 찾아와 정담을 나누는 모습이 마음을 푸근하게 했다. 가게 아래쪽으로는 미용실과 다방이 붙어있었고 위쪽으로는 그 유명한 “삼일빙과”가 자리하고 있었다. 맞은편에는 연신 스팀을 토해내며 다리미질을 해 대는 “세탁소”가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아스라이 서울의 정감이 묻어나오는 그런 길목이었다. 처음 가게를 인수했을 때는 손님이 뜸했지만 차츰 장사는 활기를 띠게 되었고 단골들도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그중에 가게를 자주 드나드는 부류가 있었는데 바로 청량리 로터리에 자리한 <동보극장> “간판예술가”들이었다. 그 당시에는 “간판쟁이”로 불리 웠던 것 같았다.

그 분들은 항상 늦은 밤에 가게를 찾았다. 팀장같이 보이는 사람은 나이가 들어보였고 아주 나이가 어려보이는 사람도 있었다. 함께 어울려 다니는 여자들도 있었다. 주로 라면과 통조림을 많이 사갔고 술과 담배는 필수 물품이었다. 극장 간판에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라서 그런지 복장이나 행색이 깔끔하지는 않았다. 머리도 거의 지저분한 장발이었다. 아버지는 무엇을 그렇게 잘 보셨는지 처음부터 ‘외상’을 주셨다. 월말이 다 되어가면 미술부장이 나타나 모든 비용을 지불하였기에 우리에게는 큰 손님이었다. 어릴 때부터 워낙 숙기가 좋은 나는 그들과 친해지면서 그들이 작업하는 극장에 자주 드나들 수 있었고 영화도 공짜로 관람하는 특권을 누리기도 하였다.

작업실에 들어서면 온갖 페인트 냄새와 간판예술가들의 땀 냄새가 뒤범벅이 되어 희한한 현기증을 일으키게 하였다. 그분들이 그림을 그리는 모습은 ‘진기명기’ 그 자체였다. 어마어마한 간판에 영화의 키포인트를 잡고 그 당시 최고인기 영화배우의 얼굴을 그려나가는 그들의 손길은 너무도 민첩하고 마술과 같았다.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세미하게 페인트칠을 해 나가는 광경을 넋을 놓고 바라보았다. 한 간판에 계속 덧칠을 해서 쓰는 것이 특이했다. 전에 상영하던 영화간판을 보존할 이유가 없었기에 상영하던 영화가 내려지면 대기하던 다른 영화 간판이 걸려야만하였다. 따라서 아까운 작품들이 사라져 가야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지금은 자취도 없이 사라진 ‘동보극장’은 중급에 해당되는 곳이었다. 간판예술가는 그 실력에 따라 일하는 극장의 급이 달라졌다. 대한극장이나 국제극장에 내 걸리는 영화간판은 마치 사진을 찍어 놓은 것 같이 배우들의 얼굴과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 보였다. 하지만 극장의 급이 떨어질수록 간판에 컨셉과 수준이 달랐다. 극장에는 일하는 분들이 꽤 많았다. 사무실에서 전체 운영을 조율하는 직원들과 간판예술가들. 표를 파는 아가씨들, 극장 입구에서 표를 받고 질서를 잡는 “기도”. 영화상영 사이에 간식과 음식을 파는 사람들, 밤이 되면 청소를 하는 분들까지 극장 안에 소속한 식구들이 즐비함을 어린 나이에 보았다.

그 당시에는 극장마다 실력 있는 간판예술가를 잡으려는 경쟁이 치열했다. 어린친구들은 온갖 수모를 참아내며 그림 그리는 것을 연수받았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며 그들이 설자리가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소위 “실사출력”의 등장 때문이다. 그림간판의 매력은 사람냄새이다. 아무리 지금 실사출력이 발달되었다고 해도 손으로 그려진 사람냄새의 매력은 따라올 수가 없다. 손으로 간판을 완성하여 그림을 거는 날은 극장전체가 잔치 집 분위기였다. 하지만 이제는 실사출력으로 포스터 붙이듯 한순간에 끝이 난다. 번거롭게 커다란 그림을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가 열려 화려한 극장 포스터가 나붙는 시대에 아날로그 간판예술가들의 체취가 그리운 것은 어린 시절에 향수 때문이리라! 그 무명의 예술가들은 그 놀라운 솜씨를 뒤로한 채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살고 있을까?


  1. 성탄의 축복이 온누리에! 12/26/2011

    어린 시절에 성탄절은 꿈의 날이었다. 교회를 다니지 않았으면서도 성탄이 가까워오면 이상하게 가슴이 설레었다. 크리스마스카드를 그리며 그날을 기다리고 첫눈이 휘날리는 한가운데에 서서 그날을 바라보았다. 크리스마스이브에는 밤늦게까지 버티다가 눈...
    Views80148
    Read More
  2. 흔들바위 부부 8/19/2013

    고교 2학년 때에 설악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났다. 우리세대는 기억한다. 그 당시에 수학여행이 실로 추억덩어리였음을. 떠나는 순간부터 돌아오는 날까지 쉼 없이 몸을 흔들고 노래를 불러댔다. 목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을 때까지 말이다. 그래도 피곤을 모를 ...
    Views80134
    Read More
  3. 동보극장 간판 예술가 12/8/2011

    평생 경찰로 살아오시던 아버지는 퇴직을 하시자마자 모든 것을 정리하여 서울행을 결심하신다. 내 나이 16살에 나는 그렇게 꿈꾸던 서울사람이 되었다. 밤이 되면 거리를 수놓는 현란한 네온사인 불빛이 어린 가슴을 설레이게 하였다. 처음에는 어리버리하던...
    Views80045
    Read More
  4. 장애 여동생을 향한 마음 11/30/2011

    언젠가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둔 한분과 긴 시간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여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워 견디기 힘든 시간이 많았다.”는 고백부터 “그 여동생을 한국에 남겨두고 미국에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 싫어질 때가 많다.&...
    Views80036
    Read More
  5. 경동시장 1/24/2015

    나는 청소년기부터 대학시절을 “제기동”에서 살았다. 가까이는 청량리 역이 위치해 있었고 조금 더 가면 홍릉과 세종대왕 기념관, 그리고 당시 KIST가 자리한 사통팔달의 동리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흥미진진한 곳은 ‘시장통’이었다...
    Views79929
    Read More
  6. 낙엽속에 숨겨진 인생 10/27/2011

    밀알의 밤이 막을 내렸다. 작년까지만 해도 엄청난 인파가 자리를 메우고 들뜬 분위기로 밀알의 밤은 연출되었다. 사람들이 많이 모인 것을 자랑하고 그것을 행사의 성공기준으로 삼는 것 같은 속성에 빠져있는 나를 발견하고 스스로 놀랐다. 금년 밀알의 밤...
    Views79699
    Read More
  7.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79575
    Read More
  8. 퉁치고 삽시다! 12/26/2014

    어느새 2014년 말미이다. 이맘때가 되면 누구나 “다사다난”이란 단어를 되뇌이게 된다. 금년 가장 충격적인 일을 꼽으라면 4월에 있었던 “세월호 침몰”사건이다. 진정 엘리옷의 말처럼 “4월은 잔인한 달”이었다. 그런대...
    Views79520
    Read More
  9. 살아있는 비너스 “앨리슨 래퍼” 5/16/2012

    앨리슨 래퍼는 두 팔은 아예 없고 다리는 자라다 만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런 악조건에서도 그녀는 발과 입으로 그림을 그린다. 사진을 찍는 일에 도전하여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며 ‘세계 여성 성취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모성(母性) 및 장애...
    Views79317
    Read More
  10. 중국 지하교회를 가다 5/25/2014

    어려운 여정이었다. 20대에 만나 35년 우정을 나누는 김 목사가 “한국에 오면 중국에 가서 목회자들에게 말씀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제의에 아무 생각 없이 “예스!”를 외쳤다. 몇 년전 중국을 처음 방문 하였을 때에...
    Views79228
    Read More
  11. 남자도 울고 싶을 때가 있다 5/9/2011

    통계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년 정도를 더 장수한다고 한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감정표현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희노애락의 정서가 있는데 여자들은 그 표현을 아주 자연스럽고도 풍부하게 한다. 반면 남자들은 그렇지 않다. 어릴 때부터 들어 ...
    Views79197
    Read More
  12. 동정이 아닌 사랑으로! 1/1/2011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맘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자...
    Views79175
    Read More
  13. 장애를 끌어안고 사는 사람들 1/13/2011

    장애를 가지고 산다는 것은 비단 당사자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장애인 형을 둔 어떤 분이 어린 시절 “형 때문에 화장실에 들어가 운적이 많았다”는 이야기를 할 때 필자의 가슴은 아려왔다. 사람들은 필자를 만나기만하면 물었다. 아주 조심스...
    Views79033
    Read More
  14. 친구가 필요합니다! 12/6/2010

    기나긴 인생여정을 지나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비결은 친구를 가지는 것이다. 친구를 만나고 삶을 나누며 인생길을 걷다보면 편안하고 든든 해 진다. 친구도 종류가 다양하다. <꽃>과 같은 친구가 있다. 꽃이 피어서 예쁠 때는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아끼지 ...
    Views78945
    Read More
  15. 지금 1/25/2012

    이메일을 열었다. “멀리계신 스승님께”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보통 “목사님”이라고 불리우는데 익숙한 나에게 “스승님”이라는 호칭은 느낌을 새롭게 한다. 교육전도사 시절에 만났던 제자에게서 온 편지였다. 새해 ...
    Views78924
    Read More
  16. 2015 첫 칼럼 (새해에는 예쁜 꿈 꾸세요!) 1/2/2015

    새해가 밝았다. 금년은 양띠 ‘을미년’이다. 이상하다. 띠를 무시하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는 것 같다. 그렇게 보아서 그런지 그래서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띠”에 따라 성격이 나타나는 것을 본다. ‘양띠’들은 대개 온순...
    Views78701
    Read More
  17.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8650
    Read More
  18. “햇빛 노인정”의 기막힌 장례식 1/30/2015

    언젠가 방영되었던 MBC 단막극의 제목이다. 드라마는 아파트 “햇빛 노인정” 사람들이 친구의 폐암 소식을 듣고 수술비를 마련하려 애를 쓰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하지만 다들 자식들에게 용돈을 받아 사는 노인들이라 거두어진 돈은 몇 만원에 불...
    Views78612
    Read More
  19. 끊고 시작하고 1/28/2011

    중학교를 시골(양평)에서 다닌 후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 나는 그리운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기차역까지 배웅을 나와 떠나가는 나를 향해 플랫 홈에서 손을 흔들어주던 친구들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어린 날에 정들었던 친구들과...
    Views78582
    Read More
  20.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84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