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5:35

Honey! 1/25/2012

조회 수 725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차_집.jpg

 

 

어느 날 어떤 인연으로 남녀가 만나고 서로를 사랑하기에 결혼을 하고 부부가 된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산전수전을 다 겪으며 부부는 어느새 닮아간다. 생김새만 닮는 것이 아니고 성격도 취향도 같아진다. 그래서 부부는 정말 신비하다. 지난 주간 어느 노부부를 만났다. 그런데 대화중에 부인이 자꾸 남편을 향해 “아저씨!”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영 마음이 거슬렸다. “아니, 아저씨가 뭡니까? 아주머니는 옆집 아저씨하고 사십니까?” 갑작스런 지적에 부인의 얼굴이 변했다. “좋은 호칭이 많지 않습니까? 아저씨라고는 부르지 마세요.” “예”하며 금방 수긍하는 부인의 모습이 순진해 보여 좋았다.

아내와 나는 5살 차이다. 연애를 하기 시작 할 때에 나는 교육전도사였다. 따라서 아내는 나를 “전도사님”이라고 불렀다. 내가 아내를 부를 때는 “정 선생님”이라고 했다. 나는 개의치 않았지만 아내는 전도사인 나를 깍듯하게 대했다. 평신도 입장에서 전도사는 상대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드디어 결혼을 하고나니 호칭이 문제였다. 아내는 여전히 “전도사님”이라고 불렀지만 나는 아내를 부를 말이 마땅치를 않았다.

부를 일이 있으면 “저기”하며 얼버무렸다. 그러다가 어느 날 과감하게 “여보!”하고 불렀다. 아내가 당황하며 손가락으로 자신의 얼굴을 가리켰다. “나?”라는 표정이었다. 서로를 “여보”라고 부르며 웃음 짓던 때가 생각난다. 드라마에서나 들어보던 부부호칭을 비로소 부르고나니 어색했다. 어쩌다 친구들이 올 때면 더 힘차게 “여보”를 불러댔다. 아직 미혼이던 친구들은 부러운 눈초리로 “와! ‘여보’랜다”하며 놀려댔다. 그렇게 풋풋한 신혼을 거치며 우리는 서로에게 익숙해져 갔고 어느 날 야심차게 바꾼 호칭이 “허니!(Honey)”이다. 사람들 앞에서 “허니”라고 부르면 ‘닭살이 돋는다.’고 놀린다. 하지만 “허니”를 부른 이후부터 우리 부부는 더 다정하고 달콤한 관계가 되어 갔다.

신혼 때에는 모든 것이 쑥스럽다. 그 중에 상대를 어떻게 불러야 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연애기간에 부르는 호칭이 결혼 후에도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되는 것을 본다. 그러고 보면 부부들이 배우자를 부르는 호칭이 다양하다. 처음 결혼을 했을 때에는 “어이!”를 많이 쓰는 것 같다. 부르기가 쑥스러우니까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조금 지나며 부부가 가장 많이 쓰는 호칭은 “여보”이다. 그런데 그 어원을 파고 들어가 보면 “여보!”는 “여보세요!”의 준말이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을 향해 겨우 “여보세요”라니.

그 다음에 많이 쓰는 말이 “자기”이다. 이 말도 희한하다. 자기는 말 그대로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말인데 상대를 향해 “자기”라고 한다. 삶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호칭이다. 결혼생활이 깊어지고 아이가 태어나면 아이들의 이름을 부르는 부부도 있다. 특히 남편들은 아내를 부를때에 아이의 이름을 부른다. 아이가 말을 알아듣기 시작하면 누구를 부르는지 혼란스러워서지기 시작한다. 우수꽝스러운 해프닝이 속출하게 된다. 젊은 부부들이 가장 많이 쓰는 말은 “오빠”인 것 같다. 연애시절부터 부르다보니 결혼을 해도 그렇게 부른다. 그런데 아이가 태어나면 촌수가 헷갈린다. 아내가 남편을 “오빠”라고 부르면 남매 사이가 되는데 그 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아빠를 누구라고 불러야 하나? 아주 복잡 해 진다. 언어학자는 아니지만 그러다보니 세상에 가정이 뒤죽박죽되어 가는 것은 아닐까?

새해에는 부부호칭부터 바꾸어보자! 우리 부부처럼 “허니!”로 부를 용기가 없으면 차라리 상대방의 이름을 부르자. 아내의 이름을 다정하게 불러보라! 기분이 새롭지 않을까? 이름의 ‘끝자’만 부르는 것도 방법일 것 같다. 나도 들은 이야기인데 보통 교회 사모님들이 남편을 부를때에 “여보”라고 하다가 못마땅한 일이 있으면 “목사님!”이라고 부른다나. 공인명칭을 쓰면서 ‘살짝’ 거리를 두는 것이다. 우리나라 속담에 “말이 씨가 된다.”라는 말이 있다. 말이 바뀌어야 한다. 오늘부터 조금 더 의미 있고 사랑스러운 부부호칭으로 가정이 달라지고 부부가 행복해 지는 새해가 되었으면 좋겠다.


  1. No Image

    “자식”이란 이름 앞에서

    누구나 태어나면 자녀로 산다. 부모가 능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그 그늘 아래에 사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나이가 들어서야 깨닫게 된다. 철없이 투정을 부리고 때로는 부모의 마음을 속타게 하며 자라난다. 장성하여 부모가 되고 나면 그분들의 노고와 ...
    Views6816
    Read More
  2. No Image

    “오빠”라는 이름의 남편

    처음 L.A.에 이민을 와서 유학생 가족과 가까이 지낸 적이 있다. 신랑은 남가주대학(U.S.C.)공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고, 세 살 된 아들이 하나 있었다. 아이 엄마는 연신 남편을 향해 “오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금과 달라서 그때...
    Views43807
    Read More
  3.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23670
    Read More
  4. “아침밥” 논쟁

    ‘오늘’이라는 시간은 ‘어제’라고 하는 시간의 연장선상에서 존재한다. 내일 역시 ‘오늘’이라는 시간이 만들어 내는 것이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그 사람의 오늘은 그 사람의 어제가 만들고 있다. 배우자의 어린 시절을...
    Views16093
    Read More
  5.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53760
    Read More
  6. “밀알의 밤”을 열며

    가을이다. 아직 한낮에는 햇볕이 따갑지만 습도가 낮아 가을바람이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가을은 상념의 계절이다. 여름 열기에 세월 가는 것을 잊고 살다가 스산한 가을바람이 옷깃을 스치면 비로소 삶의 벤치에 걸터앉아 지난날을 돌아보게 된다. 이제 곧 ...
    Views10098
    Read More
  7. “1박 2일” 마지막 여행 3/7/2012

    세상의 모든 것은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다. 그것을 알고는 있지만 막상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을 때에 밀려오는 서운함은 감당하기 어려운 과정이다. 나는 초등학교를 5군데나 다녔다. 순경아버지를 둔 덕분(?)에 일어났던 일이다. 가장 오래 다녔던 ...
    Views78876
    Read More
  8. No Image

    ‘호꾸’와 ‘모난 돌’

    갑자기 중 · 고 시절 입던 교복이 생각났다. 까만색 교복에 모자까지 눌러쓰고 다녀야 하는 세월이 무려 6년이었다. 하복은 그렇다치고 동복에는 ‘호꾸’라는 것이 있었다. 하얀색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칼라를 목 안쪽에 장착하고 채워야...
    Views5776
    Read More
  9. ‘장애우’가 아니라 장애인!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종”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
    Views28649
    Read More
  10.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81692
    Read More
  11. YOLO의 불편한 진실

    바야흐로 웰빙을 넘어 ‘YOLO 시대’이다. ‘YOLO’란 ‘You only live once’의 약자이다. 한마디로 “인생은 한번 뿐이다.”라는 뜻인데 굳이 죽어라고 애쓰며 살지 말고 “오늘을 즐기라”는 것이다. ...
    Views65992
    Read More
  12. Voice of Myonggi 명지대학교 초청음악회에 초대합니다! 1/21/2013

    필라 밀알선교단이 어언 설립 26주년을 맞이합니다하나님의 은혜에 감사드리며 한국에서 Voice of Myongji(명지대학교)를 초청하여 음악회를 엽니다. 음악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는 크리스천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청아하고 밝은 하모니로 우리의 지친 영혼을 ...
    Views84971
    Read More
  13. The Day After

    인생을 살다보면 행복에 겨워 소리치며 흥분에 들뜰 때가 있다. 그런 날들이 언제까지나 지속되면 좋으련만 인생은 하향곡선을 그리며 정신이 혼미해지고 삶의 무게를 지탱하기에는 너무도 버거울 때를 만나게 된다. 1983년 KBS TV에서 “이산가족을 찾...
    Views70482
    Read More
  14. STOP! 5/16/2012

    미국에 와서 정말 낯설게 느껴진 것은 팔각형 표지판에 새겨진 <STOP>싸인이었다. 가는 곳마다 <STOP>이 나타나면 차를 정지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너무도 낯설었다. 그러면서 그 옛날 주일학교 전도사 시절에 아이들과 불렀던 어린이 복음성가 “STO...
    Views73203
    Read More
  15. Small Wedding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 그래서 나이가 들면 부부의 연을 맺고 가정을 이루게 된다. 우리 세대는 결혼적령기가 일렀다. 여성의 나이가 20대 중반을 넘어서면 노처녀, 남성은 30에 이르르면 노총각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세태가 변했다. 이제는 30이 넘어도 ...
    Views24393
    Read More
  16. Not In My Back Yard

    오래전, 버지니아에 있는 한인교회에서 전도 집회를 인도한 적이 있다. 교회 역사만큼 구성원들은 고학력에 고상한 인품을 가진 분들이었다. 둘째 날이었던가? 설교 중에 ‘어린 시절 장애 때문에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으며 힘든 시간을 보냈음’을...
    Views60034
    Read More
  17. Merry Christmas!!! 12/24/2010

    아내와 함께 주일예배를 드리고 차에 올랐다. 섭씨 영하 5°로 체감온도는 상상을 초월할 매서운 추위가 등줄기를 식혀버렸다. 차가 움직이면서 혼자 말처럼 중얼 거렸다. “나만 그런가? 나이가 들어서인지 성탄절이 가까워져도, 캐롤송을 불러도 성...
    Views74888
    Read More
  18. Merry Christmas!

    오늘은 크리스마스 이브이다. 이제 7일만 지나면 2021년은 역사의 뒤켠으로 사라져 갈 것이다. 팬데믹의 동굴을 아직도 헤매이고 있지만 한해를 보내는 마음은 아쉽기만 하다. 미우나고우나 익숙했던 2021년을 떠나보내며 웃을 수 있음은 성탄절이 있기 때문...
    Views13950
    Read More
  19. Meister

    독일에는 ‘Meister’라는 제도가 있다. 원뜻은 ‘선생’이란 뜻을 갖는 라틴어 마기스터(magister)이다. 영어로는 마스터(master), 이탈리어로는 마에스트로(maestro)이다. 우리말로는 “장인, 거장, 명장”등으로 불리우기도...
    Views13585
    Read More
  20. It is not your fault!

    인생이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평생 그렇게 바쁘게 돌아치며 살고 있을까? 분명히 뭔가 잡으려고 그렇게 달려가는데 나중에는 ‘허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게 되는 것일까? 세상의 모든 것을 원 없이 누렸던 솔로몬은 유언처럼 남긴 전도서에서 ...
    Views211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