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01.19 18:38

'무’(無)

조회 수 65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무’(無)가 이 땅에 온 것이다. 그는 이전에 살았던 어느 누구도 아니고 앞으로 태어날 그 누구와도 달랐다. ‘무’(無)는 아주 독특했고 유일했다. 복사본이 아니고 원본이고, 베스트가 아니고 온리원이었다. 그러나 ‘무’(無)는 자기의 모습을 스스로는 볼 수가 없었다. 자신을 돌보는 사람들의 눈에 비쳐진 모습이 바로 자기인 줄 알고 살게 된다.

 

 무는 정말 운이 없었다. 그를 돌보는 사람들이 소경은 아니었지만 각기 자기 나름대로의 안경을 쓰고 있었다. 그들도 그 안경을 자기들이 쓰고 싶어서 쓴 것은 아니었다. 대개가 ‘무’(無)처럼 그를 키운 사람들이 씌워 준 안경이었던 것이다. 그들의 안경에는 색이 칠해져 있었고 굴절이 있어 제대로 비춰주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무’(無)를 제대로 볼 수 없었다. 오히려 ‘무’(無)를 자기들이 보는 색깔대로 보고 자기들이 보는 모양대로 보도록 갖은 수단을 통해 길들이고 가르쳤다.

 

 자기들처럼 보는 ‘무’(無)는 사랑을 받고 칭찬을 받았다. ‘무’(無)는 성장하면서 조금씩 깨닫기 시작을 한다. ‘다른 사람들이 보는 내가 진짜 내가 아니라’는 것을. ‘그들이 보는 것이 일그러져 있고 모자이크된 것이며 색이 칠해져 있다’는 것을 어렴풋하게 알게 된다. 그는 고민하기 시작한다. 방황도 한다. 그러자 사람들이 걱정을 하고 비난을 한다. 심지어는 “위험하다”고 정죄까지 하고 “미쳤다”고 감금까지 한다.

 

 견디다 못한 ‘무’(無)는 편히 살기로 작정을 한다. 그냥 ‘다른 사람들이 사는대로 그렇게 살아가기’로 작정을 한다. 같은 색깔의 안경을 맞추어 나간다. 같이 모자이크 된 안경을 찾는다. 그래서 이제는 자기를 보는 것이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보는 것과 일치하게 만든다. 그럴수록 안심이 되었다.

 

 하지만 퇴근길이나, 저녁노을이 질 때에, 한 밤중에 잠을 깨어 자신의 숨소리를 스스로 들으며 상념에 잠긴다. 병상에 누워 있는 친구를 위로하고 돌아서 나올때면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하면서 ‘이게 나인가?’하는 의심이 올라온다. ‘이게 진짜 나의 목소리이고, 이게 진짜로 내가 살고 싶은 삶인가?’하는 물음을 되풀이 한다. ‘무’(無)는 그 물음에 답을 못한다. 점점 답답하고 외로워진다.

 

 무엇을 해도 속이 ‘텅’비어 있고 무엇을 해도 채워지지를 않는다. 안개 속을 달려 봐도, 커피를 마셔 보아도 ‘빈 노트’이다. 그때 만난 것이 ‘돈’이고 ‘권력’이고 ‘술’이고 ‘담배’이다. ‘도박’이고 ‘스포츠’이고 ‘화학물질’이고 ‘섹스’이고 ‘일’이다. 이런 것들로 ‘무’(無)는 그 공허감을 채워 간다. 하지만 그 모든 것들이 공허감을 잠시 채워 주는 듯하더니 혼돈은 그 깊이를 더해간다. ‘무’(無)는 강도를 더해 더 많은 돈과 권력과 술과 마약, 일을 찾게 된다. 이젠 이런 것들이 없이는 한시도 살지 못하는 ‘무’(無)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무’(無)의 마음이 고요해지거나 홀로 있게 될 때에는 여전히 마음 한구석에서, 아주 깊은 데서 들려오는 한 음성이 있었다. “나를 봐주세요. 나를 잊지 말고 제발 나를 기억해 줘. 나를 다시 찾고 기억해줄 사람은 나 밖에 없는데. 내가 나를 잊고 사니 내가 어떻게 되겠어.”

 

 끝내 ‘무’(無)는 자기를 자기의 눈으로 보아주지 못한다. 끝내 ‘무’(無)는 나를 알지 못했다. ‘무’(無)는 술에 취하거나 일을 할 때도 심지어는 그토록 원하는 성공을 하고서도 ‘이건 아닌데 이건 아닌데’ 하면서 살아간다. 그러면서 ‘무’(無)도 다른 사람들처럼 살았다고 한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그 ‘무’(無)가 당신이다. 나는 원래 자유로운 영혼이었다. 그런데 자라나며 색깔, 냄새, 위치, 별난 옷이 입혀지며 그런 존재인 줄 알고 산다. 찾아야 한다. 나를! 주님은 물으신다. “아담아, 네가 어디있느냐?”


  1. No Image

    오체불만족

    일본인 ‘오토다케’는 태어날 때부터 팔다리가 없이 태어났다. 산모가 충격을 받을까봐 낳은 뒤 한 달 후에야 어머니와 첫 만남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의 어머니는 놀라지도 않고 “귀여운 우리 아기”라고 말하며 아가를 끌어안는다...
    Views7148
    Read More
  2. No Image

    화장은 하루도 못가지만

    낯선 사람과 마주치며 느끼는 감정이 첫인상이다. 어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복장(服裝) ②헤어스타일 ③얼굴 표정 ④목소리 톤, 말투 ⑤자세로 밝혀졌다. 첫인상과 관련해서 ‘6초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겨우 6...
    Views6475
    Read More
  3. No Image

    '무’(無)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ls...
    Views6553
    Read More
  4. No Image

    이제, 희망을 노래하자!

    새해가 밝았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펼쳐질 미지의 세계에 대해 기대감을 가진다. 더 나아지고,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하지만 연초에 쏟아지는 예측은 사람들의 희망을 앗아간다. 무엇보다 예민한 것은 경제전망이다. 꼭 맞아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그...
    Views7147
    Read More
  5. 윤슬 =2024년 첫 칼럼=

    아버지는 낚시를 즐기셨다. 공직생활의 여유가 생길때마다 도구를 챙겨 강을 찾았다. 지금처럼 세련된 낚시가 아닌 미끼를 끼워 힘껏 강으로 던져놓고 신호를 기다리는 “방울낚시”였다. 고기가 물리면 방울이 세차게 울린다. 아버지는 잽싸게 낚...
    Views7230
    Read More
  6. No Image

    무슨 “띠”세요?

    2023년이 가고 2024년이 밝아온다.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하다가 나이를 물으면 바로 “몇살입니다.”라고 대답하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대개 “저는 몇 년생입니다.”로부터 “저요? ○○ 띠입니다.”라고 해서 한참을 계산해야...
    Views6789
    Read More
  7. No Image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어느새 세월이 흘러 2023년의 끝자락이 보인다. 한해가 저물어감에 아쉬움이 밀려오지만 마음이 서럽지 않은 것은 “크리스마스”가 있기 때문이다. 사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의 축제날이다.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의 아들 예...
    Views6801
    Read More
  8. No Image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

    나는 어린 시절을 시골(양평)에서 자랐다. 집 앞에 흐르는 실개천에 한여름 장마가 찾아오면 물의 깊이와 흐름이 멱감기에 안성맞춤이었다. 물이 불어난 그곳에서 온 종일 아이들과 고기를 잡고 물장구를 치며 놀았다. 동네 뒤편에는 병풍을 두른 듯 동산이 ...
    Views7316
    Read More
  9. No Image

    숙명, 운명, 사명

    살아있는 사람은 다 생명을 가지고 있다. 생명, 영어로는 Life. 한문으로는 生命-분석하면 살 ‘生’ 명령 ‘命’ 풀어보면 “살아야 할 명령”이 된다. 엄마의 태로부터 태어난 그 순간부터 우리는 “살라는” 명을...
    Views6723
    Read More
  10. No Image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고교 시절에 가장 많이 읽었던 책은 박계형의 소설이었다. 그녀의 소설은 우선 단순하다. 그러면서도 책을 읽다가 실눈을 뜨고 ‘뜨락’을 바라보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간혹 야한 장면이 여과 없이 표현되어 당황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사춘기 ...
    Views6763
    Read More
  11. No Image

    개 팔자의 격상

    동물 중에 사람과 가장 가까운 존재가 개일 것이다. 개는 어디에나 있다. 내가 어릴때에도 동네 곳곳에 개가 있었다. 그 시절에 개는 정말 개 취급을 당했다. 개집도 허술했고, 있다고해도 지저분하기 이를데 없었다. 개가 먹는 것은 밥상에서 남은 음식찌꺼...
    Views7057
    Read More
  12. No Image

    눈 뜨면 이리도 좋은 세상

    감사의 달이다. 한해를 돌아보며 그동안 누려왔던 은혜를 되새김해 본다. 알게 모르게 도움을 준 분들을 생각한다. 지난 3년의 세월동안 우리는 코로나에 휩싸여 살아야 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세균이 번지며 일상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이제 거추장스럽던...
    Views7142
    Read More
  13. No Image

    등대

    항구마다 바다를 마주한 아름다운 등대가 있다. 등대는 가야 할 길을 몰라 방황하는 배와 비행기에 큰 도움을 주며, 때로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등대 빛을 알아볼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광달거리’라 한다. 한국에서 광달거리가 큰...
    Views6982
    Read More
  14. 외다리 떡장수

    최영민(48)은 다리 하나가 없다. 어릴 적에는 부모에게 버려진 아픔이 있다. 열살이 되던 해, 하교 길에 횡단 보도를 건너다 버스에 치어 왼쪽 다리를 잃었다. 사고 후 그는 너무 절망해서 집안에 틀어박혀 살았다. 그러다가 매일 도서관을 찾는 일이 일상이 ...
    Views7537
    Read More
  15. 가을 창가에서

    사람마다 계절의 감각을 달리 느낀다. 여성들은 봄의 감성에 손쉽게 사로잡힌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의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치면 원인 모를 외로움이 살며시 고개를 내어민다.홍릉의 가로수 마로니에 잎이 흐드러지게 날리는 것을 보며 사춘기를 넘어...
    Views7578
    Read More
  16. 천국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없다

    태초에는 숫자가 없었다. 그래서 열손가락을 사용했고, 셈을 하느라 애를 먹었다. 그러다가 오늘날 통용되는 아라비아 숫자까지 발전을 해왔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각자에게 번호가 주어진다. 키가 작은 아이부터 숫자가 주어졌다. 어릴 때부터 키가 작았던...
    Views8306
    Read More
  17. 남편의 위상

    “결혼 안하는 남자”라는 영상을 보았다. 소위 전문직에 종사하는 엘리트 총각들이 모든 것을 다 갖추고도 결혼을 안 하는 현대의 자화상을 담아낸 영상물이었다. 인물, 신장, 집안, 학력 모두 상당한 수준에 있는 젊은이들이었다. 거기다가 전문...
    Views8577
    Read More
  18. 내게 한사람이 있습니다

    우연히 차를 몰다가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입을 ‘삐죽’여 보기도 한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한 사람이 있었다. 내 눈에서 눈물이 나게 했던 야속한 한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은 안 좋은 생각은 다 걷어 ...
    Views8600
    Read More
  19. 보람과 아쉬움

    매년 가을이면 기대하던 밀알의 밤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열일을 젖혀놓고 매년 참석하는 분들이 고맙기 그지없다. 밀알의 밤 준비는 행사 3개월 전에 출연자를 결정하는 기획에 들어가고, 19년째, 40일 금식을 이어가며 준비하게 된다. 힘은 들지만 마음...
    Views8234
    Read More
  20. No Image

    마음 속 어린아이

    사람은 누구나 궁금함에서 삶을 시작한다. 그것을 호기심이라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다. 사람의 즐거움은 다양하다. 우선 오감을 자극시켜 주는 즐거움이 있다. 사람의 인지능력은 시력을 통해 가동되는 경향이 높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고 싶...
    Views81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