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5:38

모나미 볼펜 3/7/2012

조회 수 987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190010000302.jpg

 

 

 

우리세대는 연필세대이다. 연필의 이점은 잘못 썼을 때에 지우면 된다는 데 있다. 문제는 연필의 질이었다. 부러지기 일쑤였고, 가끔은 쪼개지는 일까지 속출하였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이 쓰는 연필은 고급 중에 고급인 셈이다. 공책도 질이 떨어져서 찢어지는 일이 비일비재였고 지우개는 고무 그 자체(?)여서 글씨를 지우기보다는 공책을 상하게 하는 일이 더 많았다. 그러다가 만난 것이 볼펜이었다.

볼펜이 나온 것은 1963년이라지만 내가 볼펜을 쓰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인 것 같다. 확실히 시골은 모든 것이 늦었다. 이름 하여 <모나미 153>이었다. 그 당시에 볼펜의 인기는 대단하였다. 연필처럼 깎을 필요가 없어 좋았고 중단 없이 글씨를 쓸 수 있어 실용적이었다. 거기다가 “딸깍 딸깍”소리를 내며 심을 조절할 수 있어 공부하는 지루함도 덜 수 있어 좋았다. 문제는 ‘볼펜 찌꺼기’이었다. 처음에는 볼펜이 잘 써지다가도 끝에 쯤에 가면 잉크가 뭉쳐 흘러 공책이 지저분해 졌다. 나중에는 손과 교복에까지 잉크가 묻어서 엄마에게 꾸지람을 들으며 지우느라 애를 먹었다.

<모나미 153>은 국민이면 하나이상 사용하는 필수품이 되어갔다. 처음에는 회사이름이 “광신화학”이었지만 1974년에는 “모나미”라는 이름으로 정착을 하게 된다. 모나미는 불어로 “Mon(몽:나의)+Ami(아미:친구)”를 합친 말이다. “모나미”라는 제품명은 광신화학에서 사내 공모를 해서 얻어졌다고 하는데 그 응모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가 없다. “153”은 송삼석 회장이 직접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한다. 독실한 크리스천이었던 송 회장은 베드로가 예수님의 말씀대로 갈릴리 바다에 그물을 던졌을 때에 “153마리의 고기를 잡았으나 그물이 찢어지지 않았다.”는 신약성경 요한복음 21장에서 영감을 얻어 지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이 있는데 “153”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갑오” 즉 “아홉을 만드는 숫자.”라는 뜻이고, “153”의 앞에 15는 “15원.”이라는 뜻이고, “3”은 모나미가 만든 세번째 제품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볼펜이 육각형이라는 것이다. 잘 미끄러지지 않아서 좋았고 어떤 아이들은 볼펜을 돌려대는 기술을 발휘하는데 신기에 가까울 정도로 현란하였다. 시대가 변해가면서 모나미 볼펜도 다양한 색상에 세련된 디자인으로 발전되어 있는 것이 낯설지만 이채롭다.

처음 모나미 볼펜이 나올 때는 ‘검정과 흰색’이 조화된 단조로운 디자인이었다. 장난기가 발동하면 아래쪽 검은 부분을 돌려 볼펜심을 꺼낸다. 용수철이 끼워진 볼펜심은 투명해서 남은 잉크 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떤 친구는 가끔 심볼 나오는 부분으로 여드름을 짜내기도 했다. 물에 대고 흔들어대면 잉크가 흘러나와 서서히 컵에 물이 변해가는 모습을 신기하게 바라보기도 하였다. 잉크를 다 쓰고 난 볼펜 껍질은 몽당연필에 끼워 쓰기도 하였고 다양한 장난감을 만드는 도구가 되었다. 실 장구에 고무줄을 묶어 저절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만들기도 하였고 어떤 친구들은 군대에서 총기를 조립하듯이 볼펜 꼭지, 껍질, 용수철, 볼펜 심, 딸깍이를 모두 분해 해 놓고 누가 더 빨리 조립하는 내기를 하기도 하였다.

중학교시절, 볼펜을 빨간색과 검정색 두 자루를 테이프로 묶어서 넣고 다니기도 했다. 나중에는 삼색 볼펜이 등장하기도 하였지만 두 개를 동시에 쥐고 줄도 쳐 가면서 선생님이 칠판에 써내려 가시는 내용을 열심히 색을 바꾸어가며 옮겨 적었다. 잊지 못할 기억은 모나미 볼펜으로 새겨 넣던 선생님의 사인이다. 숙제 검사를 하고 나서 ‘검’이라는 글자에 동그라미를 두른 사인 말이다. 왠지 뿌듯했다. “해냈다, 마쳤다.”라는 느낌이 들었다.

이제는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의 필기도구가 차고 넘치는 시대가 되었다. 모나미 153 볼펜은 초라한 모습으로 역사의 뒷켠으로 물러나 앉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내 어린 학창시절에는 모나미 볼펜이 친구였고 내 마음을 일기장에 옮겨주는 고마운 도구였다. 그래서 우리세대는 “모나미 볼펜”소리만 나와도 이야기 샘이 터진다. “모나미 아는 사람은 여기 붙어라!”


  1. 결혼 일곱고개 6/17/2012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
    Views86232
    Read More
  2. 시련속에서 발견한 하나님의 손짓 6/17/2012

    인생에게 있어서 “평범”은 화려하진 않지만 소박한 행복인지도 모른다. 어떤 사람들은 “평범”을 싫어한다. 삶이 너무 진부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 “평범”이 깨어질 때에 얼마나 고통스러운 생이 이어지는 지는 겪...
    Views83073
    Read More
  3. 선생님 5/28/2012

    언제나 부르면 가슴이 뭉클 해 지는 이름이다. 내가 여기까지 살아오는 동안 얼마나 많은 선생님들의 교육과 사랑이 있었는지 모른다. 지금은 어딘가에 살고 계실 그분들이 그래서 그립고 고맙다. 선생님이 되려면 사대나 교대를 나와야 한다. 그런데 나는 20...
    Views85421
    Read More
  4. 친구, 우리들의 전설 5/28/2012

    인생을 살아가면서 순간순간 기쁨이 있는 것은 “친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친구가 참 많다. 그것도 오랜 지기들이 수두룩하다. 김치는 “묵은지”가 감칠맛이 있듯이 친구도 오랜 세월 변함없는 관계가 소중한 것 같다. 한국에...
    Views87429
    Read More
  5. 쇼윈도우 부부 5/28/2012

    바라만 보아도 기분이 좋아지는 부부가 있다. ‘어쩜, 저런 선남선녀가 만나 부부가 되었을까?’ 부러워지기까지 하는 커플이 있다. 보이는 것처럼 내면도 행복했으면 좋으련만 그게 아닌가보다. 다가가 묻는다. “댁은 너무 행복하시겠어요. ...
    Views95669
    Read More
  6. 아, 백두산! 5/28/2012

    모처럼의 나들이를 했다. 그것도 나라와 나라를 넘나드는 힘든 여정이었다. 호주에 가서 많은 곳을 둘러보고 수많은 한인들에게 설교를 한 것은 무엇보다 뜻 깊은 시간이었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나는 필라델피아에서 오신 33분의 목사님, 장로님들과 합류...
    Views85182
    Read More
  7. 행복하십니까? 5/16/2012

    사람들은 오늘도 행복에 목말라 하고 있다. 행복은 무엇일까? 과연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필자가 어린 시절에는 행복이란 간단했다. “괴깃국(고깃국의 사투리)에 이밥(하얀 쌀밥)을 말아 먹는 것”이었다. 그것은 명절이라야 가능한 일이었...
    Views93063
    Read More
  8. 시드니의 노스탤지어(nostalgia) 5/16/2012

    꿈에 그리던 땅에 도착을 했다. 광활하지만 아름다운 그곳. 호주에 도착하는 그 순간에 나는 이미 들떠있었다. 시드니는 초가을의 숨결로 나를 반겼다. 드높은 코발트색 하늘, 필라델피아를 능가하는 깊은 숲,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바람이 호주임을 실감하게...
    Views94544
    Read More
  9. 사람을 바꾸는 힘 5/16/2012

    그는 고교시절 문제 학생이었다. 한번은 싸움이 붙어 상대방을 주먹으로 가격했는데 뒤로 넘어가더니 피를 흘리기 시작했다. 응급조치를 취해야 정당하건만 그는 너무 겁이 나서 도망을 치고 말았다. 집에 들어가면 혼이 날 것 같아 3일이나 이곳저곳을 떠돌...
    Views86908
    Read More
  10. 살아있는 비너스 “앨리슨 래퍼” 5/16/2012

    앨리슨 래퍼는 두 팔은 아예 없고 다리는 자라다 만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런 악조건에서도 그녀는 발과 입으로 그림을 그린다. 사진을 찍는 일에 도전하여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며 ‘세계 여성 성취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모성(母性) 및 장애...
    Views100355
    Read More
  11. 정말 그 시절이 좋았는데 5/16/2012

    실로 정보통신 천국시대가 되었다. 한국에 가보면 어리디어린 아이들도 모두 핸드폰을 들고 다닌다. 젊은 시절에 외국영화를 보면 길거리에서 핸드폰으로 전화를 거는 장면이 있었다. “저게 가능할까?” 생각을 했는데 이제 그 모든 것이 현실이 ...
    Views94800
    Read More
  12. 모자 5/16/2012

    동물들은 모자를 쓰지 않는다. 아니 쓰지 못한다. 사람들만이 모자를 쓴다. 따가운 햇볕을 차단하고 얼굴이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들은 모자를 쓴다. 단색인 모자도 쓰지만 언제부터인가 매우 현란한 색깔의 모자들이 등장했다. 나는 어릴 적부터 ...
    Views88014
    Read More
  13. STOP! 5/16/2012

    미국에 와서 정말 낯설게 느껴진 것은 팔각형 표지판에 새겨진 <STOP>싸인이었다. 가는 곳마다 <STOP>이 나타나면 차를 정지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너무도 낯설었다. 그러면서 그 옛날 주일학교 전도사 시절에 아이들과 불렀던 어린이 복음성가 “STO...
    Views91276
    Read More
  14. 눈먼새의 노래 3/15/2012

    한 시대를 살며 장애인들에게 참 소망을 주셨던 “강영우 박사님”이 지난 23일(목) 하늘의 부름을 받았다. 그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드라마 “눈먼 새의 노래”를 통해서였다. 탤런트 “안재욱”과 “김혜수”가 열...
    Views113752
    Read More
  15.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96389
    Read More
  16. “1박 2일” 마지막 여행 3/7/2012

    세상의 모든 것은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다. 그것을 알고는 있지만 막상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을 때에 밀려오는 서운함은 감당하기 어려운 과정이다. 나는 초등학교를 5군데나 다녔다. 순경아버지를 둔 덕분(?)에 일어났던 일이다. 가장 오래 다녔던 ...
    Views98355
    Read More
  17. 모나미 볼펜 3/7/2012

    우리세대는 연필세대이다. 연필의 이점은 잘못 썼을 때에 지우면 된다는 데 있다. 문제는 연필의 질이었다. 부러지기 일쑤였고, 가끔은 쪼개지는 일까지 속출하였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이 쓰는 연필은 고급 중에 고급인 셈이다. 공책도 질이 떨어져서...
    Views98771
    Read More
  18. 가슴으로 만나야 한다 2/25/2012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남”이다. 사람이 태어나면 먼저 “숙명적 만남”을 갖는다. 그것이 가족이고 집안이다. 나의 어머니, 아버지는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보니 그런 분들이 나의 부모님이셨다. ...
    Views97192
    Read More
  19. 나는 엄마다 2/25/2012

    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1년 만에 예쁜 딸이 태어났다. 얼마나 착하고 말을 잘 듣는지 가정에는 항상 웃음꽃이 피었다. 몇 년 만에 다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아이가 자라며 놀이방에 맡겼는데 얼마 되지 않아 원장에게 &ldquo...
    Views95290
    Read More
  20.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860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