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89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박_2일2320_2M.mp4_004394957.jpg

 

 

세상의 모든 것은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다. 그것을 알고는 있지만 막상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을 때에 밀려오는 서운함은 감당하기 어려운 과정이다. 나는 초등학교를 5군데나 다녔다. 순경아버지를 둔 덕분(?)에 일어났던 일이다. 가장 오래 다녔던 학교가 2년 반 정도였다. 어린나이에 개구지게 지내던 친구들을 멀리하고 떠나야 하는 아픔은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짐작을 못한다. 전학을 간 학교에서 외톨이가 되어 지내야 했던 시간 속에서 나를 무척이나 챙겨주었던 친구들의 얼굴이 그리워 견디기 힘들었다. 그 아픔을 달래기 위해 노래를 부르고 그리움을 담아 편지를 보내던 나의 모습이 지금 생각해도 가련하다.

한주간의 피로를 날려주던 “1박 2일”(KBS)이 막을 내린다. 무려 5년이나 최고의 인기를 누리며 국민들에게 웃음을 주던 “1박 2일”이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것이다. 사연도 많고 사건도 많았다. 내가 너무도 좋아했던 강호동이 낙마하는 비극을 겪으며 종착역을 향해 달려가더니 2월을 끝으로 종지부를 찍는 모양이다. “마지막 여행 1탄”을 보며 만감이 교차했다. 2007년 8월부터 시작했다는 “1박 2일”을 시청하기 시작한 것은 2008년부터로 기억한다.

2008년 연초부터 6개월 동안 아틀란타(조지아 주)에 있는 새한장로교회(송상철 목사 시무)에 날아가 “부부행복학교”를 인도하게 되었다. 격주로 금요일에 내려가 매일 저녁마다 부부웍샵을 인도하고 주일 오후에 필라로 돌아오는 여정이었다. 공항에 나가고 비행기를 타고 이동하는 지루함을 달래줄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다. 그때 만난 것이 “1박 2일”이다. ‘리얼 버라이어티’라는 것이 눈길을 끌었고 매번 달라지는 컨셉이 흥미로울 뿐 아니라 한국곳곳을 카메라 앵글에 담아내기에 고국에 대한 향수를 달래주는 직효약이 되어주었다. 알게 모르게 “1박 2일”의 열혈팬이 되어갔고 이런 저런 사건에 연루되어 탈락하는 멤버들을 보며 “인생무상”을 실감하기도 했다.

마지막 촬영에서 흘리는 5명 남자의 눈물을 보았다. 나도 모르게 내 뺨에는 주체할 수 없는 눈물이 타고 내렸다. 나이가 들면 눈물이 많아진다던가. 그러고보니 나도 정말 많은 이별을 했다. 어린 시절을 몽땅 보냈던 경기도 “양평땅”을 떠나 서울로 향하는 중앙선 열차난간에 앉아 울었다. 9년이나 부교역자 생활을 했던 교회를 떠나면서 서운해 하던 학생들을 위로하던 나는 끝내 참지 못하고 주저앉아 울기 시작했다. 울음의 강도가 깊어지며 좌중은 통곡의 장이 되어버렸던 것을 기억한다.

무엇보다 한국에서 목회를 접고 미국으로 향하던 때는 내 생애 가장 잊을 수 없는 이별의 순간이었다. 함께 사랑을 나누던 교회성도들과 이별을 하는 것은 견디기 힘든 아픔이었다. 그때 청년들이 불러주던 복음성가 “파송의 노래”는 지금도 들으면 가슴이 떨려온다. “너의 가는 길에 주의 평강있으리 영광의 왕 함께 가시니(중략) 주님 나라 위하여 길 떠나는 나의 형제여. 너는 가라 주의 이름으로. 거칠은 광야위에 꽃은 피어나고 세상은 네 안에서 주님의 영광보리라” 진정 그들의 축복대로 미국 땅에서 장애인들의 가슴에 꽃을 피우고 미주전역과 세계를 다니며 복음을 전하는 자리에 섰으니 고마울 뿐이다.

정들었던 남가주(Los Angeles) 밀알선교단을 떠나 낯설은 필라델피아로 오던 순간에도 아픈 이별의 시간이 있었다. 지금도 L.A.에 가면 미국에 와서 처음 살았던 코리아타운 노르만디 11가에 위치한 그 집을 한바퀴 돌아볼 정도로 그 정은 깊디깊다. 누군가와 헤어진다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정들었던 곳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간다는 것도 힘든 과정이다. 하지만 인생은 어차피 나그네임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영원히 머무를 곳은 없다. 영원히 함께할 인생도 없다.

이별은 아프지만 이별은 사람을 성숙하게 만든다. 이별을 경험하며 사람은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저만치 기다리는 미래를 준비하는 지혜로운 사람이 되어가는 것이다. 언제 떠나더라도 모든 사람들과 좋은 감정을 가지고 헤어질 수 있는 사람이 진정한 성공자이다.


  1.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8/4/2012

    칼럼 제목만 보고는 그 옛날에 보았던 영화를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듯싶다. ‘비비안리’와 ‘마론 브란도’가 스타덤에 올라섰던 그 영화 말이다. 영화에는 뉴올리언즈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서로 다른 세인물의 인생철학이 뚜렷하게 드...
    Views77437
    Read More
  2.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7463
    Read More
  3. 혹시 고집불통 아니세요?<2월 27일>

    사람들은 말한다. “나는 고집이 별로 없어!” 그런데 그를 아는 사람들은 “그 사람 고집이 쇠 힘줄이야!”라고 한다. 하도 오래되어서 이젠 우리 부부가 ‘가정사역자’라고 말하기도 민망하지만 부부들에게 물어보면 &ldquo...
    Views77609
    Read More
  4. 남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4/10/15

    가정의 전권을 쥐고 살던 남편들이 힘을 잃어가면서 희한한 유모어가 나돌기 시작했다. “간 큰 남자 시리즈, 고개 숙인 남자”는 옛이야기이고 급기야 “맞사모”(맞고 사는 남편들의 모임)가 결성되기에 이르른다. 요사이 드라마를 보...
    Views77693
    Read More
  5. 가을 그림 11/22/2012

    태풍이 할퀴고 지나간 상처는 너무도 깊은 것 같다. 불행 중 다행히도 필라델피아는 극한 상황을 넘기며 전기사정이 회복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미주 동부지역은 상상을 초월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부 뉴저지 지역은 전기는 고사하고 주유소에 기름이 없...
    Views77747
    Read More
  6. 아내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나이가 들어가는 부부가 행복해 질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간단하다. 감정과 대화가 통할 때에 행복지수는 높아진다. 여자는 나이가 들수록 에너지가 입으로 간다. 나이가 들수록 말이 많아진다는 말이다. 문제는 할 말과 안할 말의 경계가 나이가 들수록 ...
    Views77788
    Read More
  7. 길은 여기에 3/6/15

    삶의 깊은 고독과 번민이 밀려오던 젊은 날이 있었다. 고통이 심해지다 보니 신앙의 회의마저 밀려오고 장애의 무게는 내 청춘을 짓눌러댔다. 그때 누군가가 내어민 책이 “길은 여기에”였다. 미우라 아야꼬(三浦綾子)의 자전적 소설인 “길...
    Views77979
    Read More
  8.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8096
    Read More
  9. 독일제 백금 샤프 3/25/2013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미제> 학용품 하나만 가지면 아이들의 시선을 독차지 할 수 있었다. 진노오랑 색깔의 미제연필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질이 좋아 선망의 대상이었다. 연필에 선명하게 드러나는 <U.S.A>는 아이들의 탄성...
    Views78155
    Read More
  10. 겨울 낭만 2/18/2013

    우리는 지금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겨울은 춥다. 눈이 많이 온다. 사람뿐 아니라 생물세계에서도 활동이 무뎌지는 계절이다.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작년에 이어 폭설이 내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서부에서 살다가 처음 필라델피아에 와서...
    Views78250
    Read More
  11. 가슴으로 만나야 한다 2/25/2012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남”이다. 사람이 태어나면 먼저 “숙명적 만남”을 갖는다. 그것이 가족이고 집안이다. 나의 어머니, 아버지는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보니 그런 분들이 나의 부모님이셨다. ...
    Views78510
    Read More
  12. 천원식당 6/23/2013

    세상이 많이 삭막해졌다고들 한다. 과거보다 살기가 풍요로워졌다면 당연히 사람들의 마음도 넉넉해져야 할 텐데 민심은 점점 싸늘해져만 간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여기 가슴 훈훈한 식당이 있다. “해 뜨는 식당”(광주 대인시장). 이름만 들어...
    Views78577
    Read More
  13.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8608
    Read More
  14. 누군들 자장가가 그립지 않으리 3/18/2013

    그는 시인이다. 필체가 날카롭고 예리하다. 서른이 훨씬 넘어 사랑하는 여인을 만나 결혼을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는 태중에 아이를 갖게 된다. 아내가 임신 6주차에 접어들었을 때에 ‘양귀비 씨앗만하다’는 태아의 심장 소리를 듣게 된다....
    Views78643
    Read More
  15. 향수병(鄕愁病) 12/6/2010

    사람은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많은 곳을 떠돌며 인생을 엮어간다. 우리는 모두 한국 사람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외국에 나가 살게 될 줄을 예측한 사람이 있을까?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오신 분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 어쩌다가 미국에 ...
    Views78645
    Read More
  16. 젊은날의 푸르름 12/31/2011

    또 한해가 떠나려고 손을 흔들고 있다. “2011년”이라는 어색한 이름을 부르며 시작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정든 한해가 내 곁을 떠나려 하고 있다. 세월을 흘려보내는 일에 이골이 날만한 나이가 되었음에도 이맘때 찾아오는 서운함은 감출길이 없...
    Views78677
    Read More
  17. 캠프에서 만난 사람 8/31/2011

    장애인들이 매년 손꼽아 기다리는 “사랑의 캠프”가 막을 올렸다. 동부에 있는 밀알선교단이 연합하여 개최하는 사랑의 캠프는 금년으로 19회 째를 맞이한다. 필라델피아 밀알 단장으로 와서 어느새 아홉 번째 참석하고 있으니 실로 세월이 유수이...
    Views78695
    Read More
  18. 깊은 물 7/29/2013

    무더운 여름, 집 앞 시냇가에 발을 담그고 더위를 피해 살던 때가 있었다. 아이들을 따라 다리 밑으로 향하고 물에 뛰어들며 수영을 배웠다. 물먹기를 반복하고 아이들의 놀림을 받으며 수영실력은 늘어갔다. 수영을 익히면서 물과 친근해 졌다. 물에 몸을 맡...
    Views78746
    Read More
  19. “1박 2일” 마지막 여행 3/7/2012

    세상의 모든 것은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다. 그것을 알고는 있지만 막상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을 때에 밀려오는 서운함은 감당하기 어려운 과정이다. 나는 초등학교를 5군데나 다녔다. 순경아버지를 둔 덕분(?)에 일어났던 일이다. 가장 오래 다녔던 ...
    Views78903
    Read More
  20. 얄미운 12월의 손짓 12/18/2012

    12월이다. 세월이 왜 이리 빠른지 정신을 못 차릴 정도이다. 스무 살이 되던 해에 우연히 집에 들른 사촌형이 “지금은 세월이 안가지? 나이 들어봐라. 세월이 점점 빨라진단다.”고 말할때에 나는 코웃음을 쳤다. 무료한 날들이 많았기에 어서 세...
    Views793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