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06.21 10:06

삶은 위대한 선물

조회 수 147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구나 그렇듯이 젊은 날에는 정신없이 달려 나간다. 그만큼 자신감도 충만한 시기이다. 밤을 새워도 좋고, 어디서든 굴러도 좋다. 낭만과 열정이 섞여 휘몰아 칠 때이니 말이다. 그때는 언제까지나 젊음이 내 곁에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세월이 달리기 시작한다. 날씨의 변화처럼 인생도 시시각각 갖가지 일들과 부딪히며 엮어져 나아간다.

 

 누구나 평탄한 삶을 꿈꾸지만 생을 이어간다는 것은 그리 녹록치 않다. 후회없는 인생이 있을까? 때로는 주저앉아 울기도 하고, 넘어져 한숨을 쉬어본 사람이 더 깊은 인생의 맛을 느끼게 된다. 그런 사람만이 아파하고 실망해 쓰러진 사람을 일으켜 세워 줄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싶은 일들이 많은 젊은 날에 처절하게 자신과의 싸움을 경험한 사람에게 타인의 심정을 헤아리게 되는 능력이 주어진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나는 20대 초반 신학대학에 입학했다. 싱그런 젊음을 추구하며 살던 내가 성직의 길을 택한 후 훈련해야 할 것은 절제였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이 있다. 사람이 하고 싶은 욕망을 따라가면 영혼이 피폐해 지지만, 절제하며 영혼의 울림에 집중할 때에 새로운 만족과 행복이 주어진다는 것을 말이다. 돈, 명예, 지위, 부귀 그런 것들은 가지면 가질수록 갈증이 날 뿐이다. 욕망은 채워질 수 없는 무서운 함정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이 길을 가며 묻는 질문이 있었다.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견디기 힘든 순간에도 나는 내 포지션을 늘 점검했다. 일반 교회 목회를 거쳐 장애인 선교 23년에 접어든 내가 스스로 던지는 질문이 있다. “나는 어떠한 삶을 살고 싶은가?” 그래서 나이가 들면 누구나 철학자가 되고 시인이 되는가 보다.

 

 힘들지만 살아있다는 것은 분명한 은총이다. ‘삶’이라는 선물, ‘삶’이라는 은총, ‘삶’이라는 기적, 삶의 순간순간은 더없이 소중하고 위대하다. 따라서 삶은 낭비할 수 없다. 바다와 물고기가 한번도 떨어져 본적이 없듯이 삶과 나 역시 한 번도 떨어져 본 적이 없다. 나는 삶에서 왔고 현재도 삶이고 삶 속으로 녹아져 갈 것이다. 아니, 삶과 나는 하나이다. 내가 삶이고 삶이 나인 것이다.

 

 삶이 ‘Desire’이고, ‘Desire’가 나이다. 살아있기에 시행착오도 좋은 약이 된다. 이곳 나 되어감의 기회, 이 얼마나 신나는 세계이며, 축복의 기회인가? 이때 터져 나오는 고백이 있다. ‘어떻게 태어난 인생인데, 어떻게 맞이한 삶의 기회인데’ 주제 없이 산만하게 낙서하듯 인생을 ‘끄적’거리며 살 수는 없지 않은가?

 

 이 세상에 모든 것은 다 안과 밖이 있다. 나무가 그렇고 동물이 그렇다. 사람도 겉에 보이는 외모만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음이 있다. 다시 말하면 내면세계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진정한 아름다움은 내면 탐구에서 나오는 멋과 맛, 향기로움이다. 바깥 물건이나 직함, 상표, 자리에 취하고 매여 살다가 가는 것은 진정한 삶이 아니다. 겉치장만 하다가 내면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고 가는 것은 반쯤 시야가 가리워진 시각장애의 삶을 사는 것이다. 들어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의 삶이다.

 

 나이가 들수록 사람 냄새가 났으면 좋겠다. 사람 냄새란 무엇인가? “삶에 대한 감사, 삶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것”을 뜻한다. 그동안 삶이 내게 준 것들을 헤아려 보라. 걸음걸음마다 놀라운 선물들로 가득 채워주었다. 더운 여름 소낙비로, 배가 고플 때는 온갖 곡식과 열매로, 목이 마를 때는 마실 물로, 답답할 때는 시원한 바람으로 나를 살려주었다.

 

 산을 만나게 해 주었고 들판을 뛰게 해 주었고, 피곤할 때에는 누워서 잠을 자게 해 주었다. 어머니 아버지를 주셨고 동생들과 형들을 주었다. 여자를 만나게 해 주었고 남자를 경험케 했다. 말을 하게 해 주었고 글을 배우게 하여 문화를 누리게 해 주었다. ‘삶’의 안과 밖을 살필수록 이래저래 고맙고 감사할 따름이다.

 

 삶의 신비여! 삶의 놀라움이여! 내가 이런 삶을 만나다니! 삶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회이고 선물이다.


  1. No Image

    결혼은 예술이다

    세상에서 가장 신비롭고 아름다운 곳은 가정이다. 젊은이들은 ‘저절로 이성을 만나고 저절로 하는 것이 결혼이라’는 기대감 속에 산다. 드라마의 주인공처럼 어느날 우연히 마주친 이성에 반해서 사랑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상상하지만 그런 일은 ...
    Views15022
    Read More
  2. 밀알 캠프의 감흥(感興)

    29번째 밀알 캠프가 막을 내렸다. 29년, 사실은 32회가 맞다. 코로나 사태로 꼬박 3년을 엄두도 못내고 기다려야 했다. 항상 7월 중순에 캠프가 개최되는데 준비는 거의 1년이 걸린다. 캠프가 마치는 날, 호텔 측과 차기 장소 계약을 맺어야 한다. 600명을 한...
    Views15658
    Read More
  3. No Image

    순수야, 푼수야?

    나는 순수한 사람이 좋다. 순수한 사람을 만나면 살맛이 나고 삶의 도전을 받는다. ‘순진’과 ‘순수’는 다르다. ‘순진’은 사실 경험하지 않음에서 오는 풋풋함이다. 세상 물정에 어두워 어수룩하다고 표현해야 할까? 어린...
    Views15334
    Read More
  4. No Image

    세월이 너무 빨라!

    나이가 들어가며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있다. “세월이 왜 이렇게 빨라!” 진정 숨을 고르기 힘들 정도로 세월이 빠르게 가고 있다. 2024년을 맞이한 것이 언제던가? 벌써 상반기를 지나 7월 하순에 와 있다. 다들 “덥다”고...
    Views15981
    Read More
  5. No Image

    “아내”라는 이름

    나이가 들어가며 결혼은 당연한 것으로 알았다. 주위에 친구들이 하나둘 짝을 찾아 결혼식을 올리는 와중에 ‘내 짝은 도대체 어디 있는 것일까?’ 고심하며 주위를 두리번거리기 시작했다. 대학 동창 절친이 결혼식을 올리고 김포공항에서 에스컬...
    Views14309
    Read More
  6. No Image

    손발 없는 치어리더

    ‘치어리더’하면 건강미가 넘치고 균형 잡힌 몸매, 그리고 현란한 춤사위를 연상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 손발이 전혀 없는 치어리더가 있다. 일본 대지진이 일어나고 1년을 맞이할 때에 좌절과 불안의 일본 열도에 웃음과 용기를 전한 희망의 아이...
    Views13754
    Read More
  7. No Image

    숭구리 당당 숭당당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많은 것이 있겠지만 웃음이 아닐까? 웃음처럼 삶을 부드럽게 해 주는 윤활유도 드물다. 웃는 사람을 보면 기분이 좋아진다. 웃는 얼굴은 아름답다. 인간은 일생동안 50만번 정도를 웃으며 산다고 한다. 어린아이는 하루 ...
    Views16490
    Read More
  8. No Image

    삶은 위대한 선물

    누구나 그렇듯이 젊은 날에는 정신없이 달려 나간다. 그만큼 자신감도 충만한 시기이다. 밤을 새워도 좋고, 어디서든 굴러도 좋다. 낭만과 열정이 섞여 휘몰아 칠 때이니 말이다. 그때는 언제까지나 젊음이 내 곁에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
    Views14765
    Read More
  9. No Image

    ADHD

    밀알선교단은 매주 화요일 저녁 정기모임을 가진다. 장애인들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이 자리를 함께한다. 그들의 도움이 없이는 모임이 성사될 수 없다. 라이드, 식사, 부축해 주는 일까지. 따라서 젊은 봉사자들의 자녀들이 동반 참석하게 된다....
    Views15306
    Read More
  10. No Image

    소나무야, 소나무야

    작년 봄의 일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을 방문하였다. 처음 행선지는 경기도 용인이었다. 운전하는 친구 곁에서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봄의 정취에 빠져들고 있었다. 길목을 돌아서는 순간, 탄성을 자아내는 풍경이 다가왔다. 마치 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꽃...
    Views14421
    Read More
  11. No Image

    뭐가 그리 서러워?

    사람마다 세대별로 서운함을 안고 인생을 엮어간다. 아이 때는 갖고 싶은 장난감을 가지지 못한 것부터, 형제가 많은 가정에서 자라난 까닭에 새 옷은 꿈도 꾸어보지 못하고 항상 맨 위부터 물려주는 것을 입어야 했던 서러움까지. 이성에 눈을 뜨는 시기에 ...
    Views15647
    Read More
  12. No Image

    나비 효과

    “브라질 아마존강에 살고 있는 나비가 날개를 흔드는 것이 미국 텍사스 주 토네이도(tornado) 태풍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렇다”이다. 미국 MIT 대학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이런 의문...
    Views16798
    Read More
  13. No Image

    누구나 생각나는 스승이 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스승의 노래는 이렇게 시작된다.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가네♬” 홀로 선 인생이 어디 있으랴! 기억에서는 희미 해 가지만 어리디 어린 나이로부터 겹겹이 쌓여진 세월과 함께 나를 가르치고...
    Views20421
    Read More
  14. No Image

    부부의 날

    어느 강좌 시간에 교수가 한 여성을 불러낸다. 그리고는 “앞에 나와서 칠판에 아주 절친한 사람 20명의 이름을 적어보세요.” 요구를 했다. 여성은 잠시 고개를 갸웃하더니 교수가 주문한대로 ‘가족, 이웃, 친구, 친척’등 20명의 이름...
    Views16360
    Read More
  15.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19772
    Read More
  16. No Image

    숨겨져 있는 것에 소중함

    모든 것이 빨리 드러나기를 바라는 조급증이 사람들 마음에 도사리고 있다. 애를 쓴 만큼 열매가 맺어지기를 기대하며 인생은 달리고 있다. 학생들은 공부한 만큼 좋은 성적이 오르기를 애타게 갈망한다. 부모는 어린 자녀들이 속히 성장하여 앞가름하며 살기...
    Views17097
    Read More
  17. No Image

    상처는 스승이다

    인생은 철모르는 어린아이 때 기대했던 것처럼 그리 녹록지 않았다. 굽이굽이 고비를 넘어야 했고, ‘이제 편한 세상이 되었나보다!’하면 어느새 무엇인가 꿈틀거리며 다가와 찔러 댔다. 생존은 마치 전쟁터 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우리는 이민...
    Views17380
    Read More
  18. No Image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그의 아버지는 항상 완고했다. 때로는 가정폭력을 행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가 싫었다. 나이가 들어가며 아들로 기본예의는 갖추었지만 누구처럼 아버지에게 살갑게 다가가지 못했다. 결국 그는 상담을 받게 되었고, 조언을 받아들여 아버지와의 ...
    Views18017
    Read More
  19. 아, 정겨운 봄날이여!

    “어느 계절을 가장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면 취향은 다양하다. 하지만 춥고 지루하고 변덕스러운 겨울을 지나 맞이하는 봄은 누구나에게 포근함을 안겨준다. 봄은 희망이다. 봄은 말 그대로 봄(view)이다. 죽은 듯 보이던 대지에서 파아란 새싹이...
    Views18633
    Read More
  20. No Image

    ‘호꾸’와 ‘모난 돌’

    갑자기 중 · 고 시절 입던 교복이 생각났다. 까만색 교복에 모자까지 눌러쓰고 다녀야 하는 세월이 무려 6년이었다. 하복은 그렇다치고 동복에는 ‘호꾸’라는 것이 있었다. 하얀색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칼라를 목 안쪽에 장착하고 채워야...
    Views178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