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79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untitled.png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직 신랑 신부가 주인공이다. 화려하고 환상적인 결혼식처럼 그런 나날들이 계속되면 얼마나 좋을까? 물론 모든 면이 잘 맞아서 별 갈등 없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부부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부들은 작은 고개로 시작하여 상상하지 못했던 고비를 넘나들며 한 평생을 엮어간다.

지갑 속에 항상 아내의 사진을 넣고 다니는 사나이가 있었다. 주위에서 ‘얼마나 아내를 사랑하면 항상 사진을 지참하고 다닐까?’ 부러워했다. 내막은 그것이 아니었다. 힘든 일이 있을 때마다 사진을 꺼내보며 사나이는 되뇌인다나. “아내보다 더 심각한 일이 있을라구.” 아내 버전도 있다. 아내도 큰일이 닥칠 때마다 남편의 사진을 꺼내본다. “어떤 일이 생긴다고 해도 남편의 사진을 보고 있으면 아무리 고민하고 있던 답답한 일도 모두 괜찮아집니다. 아무려면 어제 카드 긁고 온 남편보다야 더하겠어요. 미우나 고우나 내 남편이 아니겠습니까?” 우스운 이야기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부부는 평생 일곱 고개를 넘어간다고 한다. 첫째 고개는 “환상의 고개”이다. 소위 ‘허니문이’라고 하는 신혼을 거쳐 3년쯤 걸려 넘는 고개로 ‘결혼은 결코 환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절실히 깨닫는 시기이다. 갖가지 어려움을 비몽사몽간에 웃고 울며 넘는 눈물고개이다. 사실 가장 달콤해 보이지만 이때에 이혼율이 가장 높다. 그만큼 현대 젊은이들은 인내심이 부족한 모양이다. 둘째 고개는 “타협의 고개”이다. 신혼의 달콤함이 완전히 끝나고 결혼 3-7년 동안에 넘어가는 고개이다. 상대방의 단점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실망을 하게 되고 그래서 많이도 갈등하고 힘들어하며 넘어가는 고개이다. 싸움을 가장 많이 하고 포기하려고 하다가 다시 삶을 추스르며 타협을 시도하는 시기이다. 위험한 권태기를 넘는 진땀 고개라고나 할까?

셋째 고개는 “투쟁의 고개”이다. 결혼 후 7-10년을 사는 동안 진짜 상대방을 알고 난 다음 아내나 남편이 자기 자신과 투쟁하면서 상대를 포용하는 현기증 나는 비몽 고개이다. 넷째 고개는 “결단의 고개”이다. 결혼 후 10-15년이 지나가면 아이들도 청소년이 되어가고 부부사이와 자녀들과의 관계가 정리되고 굳어가기 시작한다. 서로의 직감이 발달하고 눈짓만 보아도 상대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느낄 수 있는 경지에 다다른다. 따라서 내칠것은 내치고 인정할 것은 인정하면서 보조를 맞춰가는 돌고 도는 헛바퀴 고개이다.

다섯째 고개는 “따로의 고개”이다. 결혼 후 15-20년이 되면 결혼생활은 완전한 패턴을 형성한다. 하나가 되어 다정한 친구처럼 살아가든지 아니면 무늬만 부부가 되어 함께 살지만 정서적으로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부부가 정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자기 삶을 체념하며 넘는 아리랑 고개라고나 할까? 여섯째 고개는 “통일의 고개”이다. 결혼생활 20년이 넘어가면 대부분의 모습에서 교통정리가 끝나고 부부로서의 완숙한 모습을 나타내게 된다. 모든 것을 서로 덮고 새로운 헌신과 책임을 가지고 상대방을 위해 남은 생을 바치며 사는 내리막 고개인 것이다.

일곱째 고개는 “자유의 고개”이다. 원숙의 단계로 노력하지 않아도 그때서야 모든 것이 맞아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의 신혼이 시작되는 시기가 이때부터이다. 부부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고 상대가 자꾸 측은해지기 시작하는 고개이다. 곁에 있어 주는 것만으로도 고맙고 “당신을 만나서 너무 행복해!”라고 고백하게 되는 천당고개인 셈이다.

부부는 신비하다. 신비하기에 풀어야 할 실타래가 많다. 부부가 행복을 경험하는 단계까지 가려면 일곱고개를 넘어가야 한다. 우리 부모님들도 그 고개를 넘어 거기까지 오셨다. 고개를 오르려면 숨이 턱에 차오르고 힘이 든다. 하지만 고갯마루에 서면 그동안 고생한 것이 잊혀지고 새롭게 고개를 오를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지금 어느 고개를 넘고 계신지요?
 


  1. 구름을 품은 하늘

    처음 비행기를 탈 때에 앉고 싶은 좌석은 창문 쪽이었다. 날아오르는 비행기의 진동을 느끼며 저만치 멀어져 가는 땅과 이내 다가오는 하늘을 보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그 작은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창 쪽에 앉은 사람을 부러워하며 목을 빼고 밖을 주...
    Views61175
    Read More
  2. 구름 9/7/2010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아름다운 것은 하늘과 땅,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날마다 땅을 밟으며 우리는 인생 이야기를 엮어간다. 어쩌다가 만나는 지평선을 보며 저 땅 너머에 있는 세계를 그려본다. 그러다가 찾아가는 바다는 “지구의 ...
    Views81515
    Read More
  3.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7319
    Read More
  4.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9664
    Read More
  5. 광화문 연가

    나는 아이돌 노래를 좋아한다. 노래에서 풍기는 젊음의 활력, 에너지 넘치는 춤사위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사람의 몸이 저렇게도 유연할 수 있을까?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 시대의 가요는 정적이었다. 뭔가 생각하며 들을 수 있는, 듣다보면 젖...
    Views50281
    Read More
  6. 관중 없는 올림픽

    모두의 염려 속에 개막한 올림픽이 연일 드라마를 연출하며 막을 내렸다. 승리하여 메달을 딴 선수는 인생 최고 환희의 순간을 만끽했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선수는 눈물을 흘리며 일찌감치 짐을 싸야만 했다. 스포츠 매니아라 할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시...
    Views17172
    Read More
  7. 관상 1/16/2015

    요사이 “왕의 얼굴”이란 드라마가 잔잔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작년에는 “관상”이란 한국영화가 9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결국 영화는“관상은 없다.”는 허무한 결론으로 끝이 난다. 과연 그럴까? ...
    Views85252
    Read More
  8.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8419
    Read More
  9.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32710
    Read More
  10.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6045
    Read More
  11.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77127
    Read More
  12. 고독은 가을을 닮았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만 되면 이상하리만큼 가슴 한켠이 비어있는 듯 한 허전함을 느낀다. 가을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마력이 있다. 젊은 날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을 곰곰이 되새기게 된다. 운전을 하며 지나치는 숲속을 주시하고, 우연히 마주친 장애인...
    Views63775
    Read More
  13. 고난의 종착역

    고난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가가 울며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삶 자체가 고난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감지했기 때문이리라. 고난이 없는 인생은 없다. 날마다 크고작은 고난을 감내하며 인생이야기는 흘러가고 있다. 고난을 통과하지 않고는 보배를 ...
    Views12477
    Read More
  14. 경동시장 1/24/2015

    나는 청소년기부터 대학시절을 “제기동”에서 살았다. 가까이는 청량리 역이 위치해 있었고 조금 더 가면 홍릉과 세종대왕 기념관, 그리고 당시 KIST가 자리한 사통팔달의 동리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흥미진진한 곳은 ‘시장통’이었다...
    Views80915
    Read More
  15. No Image

    결혼하고는 완전 다른 사람이예요!

    결혼 3년 차에 접어든 새댁이라면 새댁이 내뱉은 말이다. 연애할 때는 그렇게 친절하고 매너가 좋았는데. 그래서 ‘이 남자하고 살면 마냥 행복할 줄 알았는데’ 결혼해 살아보니 “말짱 꽝”이다. 연애 할 때는 이벤트로 깜짝깜짝 놀라...
    Views6957
    Read More
  16. 결혼의 신기루

    연거푸 토요일마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바야흐로 결혼 시즌이다. 코발트색 가을하늘. 멋진 턱시도와 눈부신 웨딩드레스를 입고 서 있는 신랑 신부의 모습은 진정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영롱하다. 필라에는 정말 멋진 야외 ...
    Views10018
    Read More
  17. 결혼 일곱고개 6/17/2012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
    Views67946
    Read More
  18. 결혼 상대자로 장애인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인생의 3분지 1은 혼자서 산다. 3분지 2는 둘이서 살아야 한다. 혼자 살 때는 가끔 외로울 때가 있긴 하지만 자유로워서 좋다. 그러나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실 때 혼자서는 잘 살아가지 못하도록 창조하셨다. 반드시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Life Story를 엮...
    Views64270
    Read More
  19.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30130
    Read More
  20.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98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