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31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꾸미기-1.jpg

 

 

사람들은 누구나 좋은 것을 찾는다. 더 좋은 물건, 더 좋은 사람, 더 좋은 음악부터 더 좋은 생각, 더 좋은 마음을 찾으며 살고 있다. 그런 마음과 욕망들이 인류의 역사를 발전하게 했다는 생각을 한다. 사람이라면 좋은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좋은 마음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성경을 읽다가 눈에 들어오는 구절이 있었다. “바나바는 착한 사람이라”(행11:24) 오늘따라 새삼스럽게 가슴에 다가왔다. 착한사람으로 사는 것은 우리 모두가 추구해야할 마음가짐이어야 하지 않을까?

인생은 언제 행복할까? 몰입할 때이다. 아이들을 보라! 아이들은 재미있게 놀 때에 잘 듣지도 못하고 눈에 보이는 것이 없을 정도로 열중을 한다. 우리는 그런 모습을 “신나게 논다.”라고 표현한다. 이것이 몰입이다. “그래, 그때 정말 좋았어. 얼마나 좋았는지 시간가는 줄을 몰랐어.” 이런 고백을 하던 순간 말이다. 우리는 그것을 “몰입경험”이라고 한다. 긍정심리학자 칙센트 미하이 박사는 그것을 “Flow”라고 명명했다. “Flow”는 동사로는 “흐르다.”이다. 그러니까 멈추지 않고 흐를 때, 몰입이 깊이 흘러가는 그 순간에 “인간은 행복하다”는 것이다.

‘좋은 마음’이란 ‘건성건성’해서는 절대로 생기지 않는다. 좋은 마음은 누가 주는 것이 아니다. 몰입해야 한다. 하나님은 “살라!”고 지구별에 보내셨다. 따라서 온힘을 다해 살아야 한다. 전심전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좋은 마음은 몰입할 때 주어진다. 좋은 마음에서 좋은 생각이 나오고 좋은 생각이 좋은 일을 만들어 낸다. 결국 좋은 일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 이 세상에 문명과 문화를 새롭게 개척해 나가는 것이다. 그것이 곧, “삶의 연금술”이다.

댓가를 바라고 월급을 받기위해서 일하는 사람의 뇌는 절대 몰입에서 오는 행복감을 느낄 수가 없다고 한다. 사람들은 행복을 느낄 때에 ‘엔돌핀’이 나온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결코 오랜 시간을 지속하지 못한다는 것은 알지 못한다. 사람이 욕구를 실현해 나아가는 단계에서 ‘엔돌핀’이 짧은 순간 나올 뿐이다. 일시적이다. 당연히 품질도 고품질일수가 없다. 그래서 사람들은 잘못된 방법으로라도 그 기쁨을 맛보려한다. 술을 자주 찾게 되고 나중에는 마약과 도박 따위에 빠져들게 된다. 결국은 중독이 되어 자기뿐 아니라 가족과 이웃들까지 망하게 한다.

건강한 몰입이어야 한다. 그래야 자기만 좋은 것이 아니라 가족, 이웃, 나라와 세계에도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건강한 몰입을 경험하게 되면 사람은 뇌구조가 바뀌기 시작한다. 주의력과 집중력이 생긴다. 내공이 쌓인다. 마음이 밝아지며 환하고 순하게 된다. 잘 듣게 되고 잘 보게 된다. 주의 깊게 듣고 말하게 된다. 몰입상태에 사람은 정말 다르다. 얼굴표정, 걸음걸이, 목소리가 다르다. 얼굴이 밝고 환하게 빛이 난다.

그러면 변화는 언제 일어날까? 평소와는 다른 환경을 맞이할 때이다. 변화의 핵심은 압력을 받는 시간이다. 사람들은 언제나 느슨하고 편안한 삶을 원한다. 하지만 그런 상태가 지속되면 사람은 창의적인 기능을 상실해 버리고 만다. 사람은 때로 극한 긴장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압력을 받아야만 한다. 그것으로 인해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힘들지만 그런 순간들을 통해 사람은 창조의 역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몰입! 그것은 흐르는 것이다. 그 어디에도 막히지 않고 자기가 하는 일에, 관계의 삶과 같이 흐르는 것이다. 생각이나 느낌에 걸리지 않고 그런 생각들을 보면서 흐르게 두고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것에 몸과 마음을 바치는 것이다. 사람이 최고의 환희를 느낄 때는 한계를 넘어갈 때이다. 자신의 능력 밖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성취되어지는 순간에 이 세상 어느 곳에서도 맛볼 수 없는 환희와 행복을 경험하게 된다. 대충해서는 안 된다. 몰입해야 한다. 지금 내가 최선을 다할 것은 무엇인가? 내가 목숨을 걸어야할 것은 과연 무엇일까? 그 목표가 정해졌다면 주어진 것에 몰입하라! 그것이 삶의 진정한 연금술이다.


  1. 생각하는 갈대

    인간은 약하다. 하지만 생각하는 존재이기에 위대하다. 성장하며 질풍노도의 시기를 지날 때에 부모에게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왜 너는 생각이 없냐?”였을 것이다. 그 시기에는 몸이 생각보다 먼저 반응하기 때문이다. 생각을 하면 멈출수 있다. ...
    Views13336
    Read More
  2.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9822
    Read More
  3. 생각의 힘 10/29/2012

    사람이 미물보다 우월한 것은 생각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일찍이 파스칼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고 했다. 흔들리고 휘청거리는 나약한 존재지만 ‘생각’을 하기에 위대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사람은 생각을 통해 꿈을 이루고 ...
    Views66014
    Read More
  4.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31945
    Read More
  5.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7931
    Read More
  6. 생각, 아니면 느낌?

    사람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 동물들도 때로는 화를 내며 달려드는 것을 보면 감정이 없지는 않나보다. 우리는 순간마다 엄청난 생각을 흘려보내며 살고 있다. 발명왕 에디슨이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만들어진다.”고 했는데 사실 그...
    Views62221
    Read More
  7.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6801
    Read More
  8. No Image

    새벽송을 그리워하며

    어느새 성탄을 지나 2018년의 끝이 보인다. 기대감을 안고 출발한 금년이 이제는 과거로 돌아갈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지난 토요일(22일) 첼튼햄 한아름마트 앞에서 구세군남비 모금을 위한 자그마한 단독콘서트를 가졌다. 내가 가진 기타는 12줄이다...
    Views39154
    Read More
  9. 새로운 것에 대하여

    오늘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분기점이다. 여전히 팬데믹은 그 기세를 누그러뜨리지 않고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 실로 평범이 그리워지는 시점이다. 마스크 없이 누구와도 아무 거리낌 없이 만나고 활보하던 일상이 그립다. 그런때가 언제나 올...
    Views11370
    Read More
  10. 상큼한 백수 명예퇴직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
    Views32966
    Read More
  11. No Image

    상처는 스승이다

    인생은 철모르는 어린아이 때 기대했던 것처럼 그리 녹록지 않았다. 굽이굽이 고비를 넘어야 했고, ‘이제 편한 세상이 되었나보다!’하면 어느새 무엇인가 꿈틀거리며 다가와 찔러 댔다. 생존은 마치 전쟁터 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우리는 이민...
    Views3109
    Read More
  12. 삼소 7/27/2010

    방송을 보다가 기가 막힌 말을 듣고 메모를 했다. 바로 “삼소”에 대한 이야기였다. 여성들의 권위가 신장되고 아내들의 말발이 거세졌다는 것을 한마디로 표현한 것이 “삼소”이다. 삼소란? 1. 부인의 말씀은 “옳소!” 2. ...
    Views68587
    Read More
  13. 삶의 연금술 몰입 7/10/2012

    사람들은 누구나 좋은 것을 찾는다. 더 좋은 물건, 더 좋은 사람, 더 좋은 음악부터 더 좋은 생각, 더 좋은 마음을 찾으며 살고 있다. 그런 마음과 욕망들이 인류의 역사를 발전하게 했다는 생각을 한다. 사람이라면 좋은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인생을 살아감...
    Views63133
    Read More
  14. 삶의 마침표는 내가 찍는 것이 아니다 2/5/2013

    신년벽두부터 유명 야구선수 조성민씨의 자살 소식이 날아들었다. 충격이었다. 2008년 그의 전 부인이었던 유명 탤런트 최진실씨의 자살, 2년 뒤 동생 최진영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안타까움을 더하더니 이번에는 조성민씨 마저 그들과 같은 길을 택한 것이...
    Views70247
    Read More
  15. 삶은 소중한 선물

    신년벽두 아가 ‘정인’의 죽음이 많은 사람들을 충격에 몰아넣었다. 천진난만한 미소로 재롱을 부리는 아가의 모습, 겨우 18개월밖에 살지 못하고 떠나간 생명을 보며 세상이 얼마나 악해졌는가를 실감했고 그렇게 태어나 떠나가는 아이들이 더 있...
    Views18614
    Read More
  16.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9722
    Read More
  17. 살아있는 비너스 “앨리슨 래퍼” 5/16/2012

    앨리슨 래퍼는 두 팔은 아예 없고 다리는 자라다 만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런 악조건에서도 그녀는 발과 입으로 그림을 그린다. 사진을 찍는 일에 도전하여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며 ‘세계 여성 성취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모성(母性) 및 장애...
    Views78163
    Read More
  18. 살아있는 날 동안 7/10/2012

    모임이 있어 뉴저지(북부)에 올라갔다. 일행이 함께 움직이다가 Broad Ave에서 익숙한 상점이 눈에 들어왔다. 지나가는 차에서 바라본 상점은 이미 상호와 주인이 바뀌어져 있었다. 불현듯 친구의 얼굴이 스쳐갔다. 친구를 향한 그리움이 밀려왔다. 총신대학...
    Views62659
    Read More
  19.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50925
    Read More
  20. 살맛나십니까? 3/3/2014

    인생은 무엇인가? 맛을 보는 것이다. 입맛이 있고 살맛이 있다. 입맛에는 단맛, 쓴맛, 매운맛, 짠맛, 신맛, 아린 맛등 다양하고 미묘하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사람에게 어떤 한 가지 맛만 누리라고 하지 않으시고 달고, 쓰고, 시고, 짜고, 맵고, 싱겁고, 떫고...
    Views620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