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56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amp.jpg

 

 

 29번째 밀알 캠프가 막을 내렸다. 29, 사실은 32회가 맞다. 코로나 사태로 꼬박 3년을 엄두도 못내고 기다려야 했다. 항상 7월 중순에 캠프가 개최되는데 준비는 거의 1년이 걸린다. 캠프가 마치는 날, 호텔 측과 차기 장소 계약을 맺어야 한다. 600명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는 장소를 구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북미에 16개 밀알 지단이 사역을 하고 있다. 서부는 일찌감치 6월에 캠프를 연다. 주로 장애아동 중심에 캠프이다.

 

  동부 캠프는 성인 장애인과 장애아동 캠프가 별도로 열린다. 아동 캠프는 영어로, 성인 캠프는 한국어로 진행된다. 캐나다 토론토, 뉴욕, 뉴저지, 시카고, 필라델피아, 워싱턴, 캐롤라이나, 리치몬드, 아틀란타, 마이애미까지 모여오는데 시카고는 15시간, 아틀란타는 무려 25시간이 걸려 당도한다. 결국 캠프 전날 출발해야 하고, 갈 때도 오전 중에는 떠나야 다음날 주일예배를 드릴 수가 있다.

 

  29번 캠프를 감당하면서 인간의 힘이 아닌 하나님의 구체적인 인도하심을 절실하게 깨닫는다. 그 많은 인원들이 매년 한자리에 모여 아무 사고 없이 물흐르듯 진행되는 모습이 신기하다. 단장들의 노심초사는 말로 표현이 안 된다. 장애인들이 얼마나 캠프를 좋아하는가 하면 캠프가 끝나는 그날 내년 캠프를 기다릴 정도이다. 몇 년전인가? 밀알선교센터 지하에 걸려있는 달력이 다 찢겨나가 덜렁거리고 있었다. 그런 일을 할만한 사람이 없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자폐장애를 가진 아동()이 캠프가 가고싶어 그런 일을 저지른 것이다. 가만히 보니 달력은 7월에 가있었다. 그때가 5월이라고 기억한다.

 

  캠프는 자원해서 참석하는 분들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주위에 권유에 의해, 혹은 단장 목사들의 간청으로 참석한 분들이 있다. 특히 장애아를 둔 학부모들은 귀찮고, 아이가 캠프에 가면 조금은 휴식 시간을 가질 수 있기에 망설이다가 참석을 한다. 마지막 날, “은혜의 한마디시간이 대미를 장식한다. 둥그렇게 둘러앉아 캠프에서 경험하고 받은 은혜를 나누는 시간이다. 아틀란타 밀알 장애아 어머니가 이렇게 좋은 곳인 줄 모르고 괜히 버팅겼다면서 캠프에 참석하여 인생관도 신앙의 차원도 달라졌다는 말로 모두의 눈시울을 적셨다.

 

  박종훈 형제. 30년전 교통사고로 오직 전동 휠체어에 의지해야만 하는 중증 장애인이다. 그는 어머니와 29년 동안 캠프 개근을 했다. 아들의 애처로운 모습을 바라보는 90 노모의 간증에 분위기는 달아올랐고 우레와 같은 박수로 모자를 격려했다. 힘겹지만 매년 캠프에 참석하는 이유는 오기만 하면 삶의 힘을 얻고 타주의 장애인들을 만나면 즐겁기 때문이라고 했다.

 

  금년 캠프에는 오랜만에 나의 큰 딸이 함께 했다. 사위와 함께 궂은일을 도맡아 하면서 힘이되어 주었다. “은혜의 한마디시간에 딸이 마이크를 잡았다. “밀알이 좋은 것은 세상에 편견과 차별의 시선에서 벗어나 한 형제, 자매인 것을 느끼는 자리여서입니다. 우리 아버지는 어릴 때 소아마비를 앓은 지체장애인입니다. 아버지는 살아오면서 남들과는 다른 걸음걸이 때문에 많은 벽에 부딪히며 살아오셨지만 밀알에서는 지극히 평범합니다. 저희 아버지를 사람들은 장애인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아버지는 가끔 나도 장애인이야할 때가 있습니다.(웃음) 밀알에 오면 약하고 불편하고 아팠던 것이 자랑스러워집니다

 

  아무 생각 없이 앉아 있다가 갑자기 울컥하고 무엇인가가 목구멍까지 치고 올라왔다. 딸이 우리 아버지는 장애인입니다라는 말을 할 때에 만감이 교차했기 때문이다.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슬그머니 일어나 저만치서 고개를 돌리고 뺨을 타고 흘러내리는 눈물을 닦았다. 가까스로 침착성을 유지하며 다시 자리를 잡았다.

 

  자녀는 나이를 먹어도 부모 눈에는 어린아이로 보인다. 딸의 고백 속에서 아빠의 아픔을 헤아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대견하고 고마운 마음이 밀려왔다. 그렇게 온 가족이 하나되는 곳이 밀알 캠프이다. 그렇게 캠프는 끝나고 시간은 또 흐르고 있다. 진정 금번 캠프는 바로 나를 위한 시간이었다.

 

 


  1. No Image

    결혼은 예술이다

    세상에서 가장 신비롭고 아름다운 곳은 가정이다. 젊은이들은 ‘저절로 이성을 만나고 저절로 하는 것이 결혼이라’는 기대감 속에 산다. 드라마의 주인공처럼 어느날 우연히 마주친 이성에 반해서 사랑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상상하지만 그런 일은 ...
    Views15022
    Read More
  2. 밀알 캠프의 감흥(感興)

    29번째 밀알 캠프가 막을 내렸다. 29년, 사실은 32회가 맞다. 코로나 사태로 꼬박 3년을 엄두도 못내고 기다려야 했다. 항상 7월 중순에 캠프가 개최되는데 준비는 거의 1년이 걸린다. 캠프가 마치는 날, 호텔 측과 차기 장소 계약을 맺어야 한다. 600명을 한...
    Views15658
    Read More
  3. No Image

    순수야, 푼수야?

    나는 순수한 사람이 좋다. 순수한 사람을 만나면 살맛이 나고 삶의 도전을 받는다. ‘순진’과 ‘순수’는 다르다. ‘순진’은 사실 경험하지 않음에서 오는 풋풋함이다. 세상 물정에 어두워 어수룩하다고 표현해야 할까? 어린...
    Views15334
    Read More
  4. No Image

    세월이 너무 빨라!

    나이가 들어가며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있다. “세월이 왜 이렇게 빨라!” 진정 숨을 고르기 힘들 정도로 세월이 빠르게 가고 있다. 2024년을 맞이한 것이 언제던가? 벌써 상반기를 지나 7월 하순에 와 있다. 다들 “덥다”고...
    Views15981
    Read More
  5. No Image

    “아내”라는 이름

    나이가 들어가며 결혼은 당연한 것으로 알았다. 주위에 친구들이 하나둘 짝을 찾아 결혼식을 올리는 와중에 ‘내 짝은 도대체 어디 있는 것일까?’ 고심하며 주위를 두리번거리기 시작했다. 대학 동창 절친이 결혼식을 올리고 김포공항에서 에스컬...
    Views14309
    Read More
  6. No Image

    손발 없는 치어리더

    ‘치어리더’하면 건강미가 넘치고 균형 잡힌 몸매, 그리고 현란한 춤사위를 연상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 손발이 전혀 없는 치어리더가 있다. 일본 대지진이 일어나고 1년을 맞이할 때에 좌절과 불안의 일본 열도에 웃음과 용기를 전한 희망의 아이...
    Views13752
    Read More
  7. No Image

    숭구리 당당 숭당당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많은 것이 있겠지만 웃음이 아닐까? 웃음처럼 삶을 부드럽게 해 주는 윤활유도 드물다. 웃는 사람을 보면 기분이 좋아진다. 웃는 얼굴은 아름답다. 인간은 일생동안 50만번 정도를 웃으며 산다고 한다. 어린아이는 하루 ...
    Views16490
    Read More
  8. No Image

    삶은 위대한 선물

    누구나 그렇듯이 젊은 날에는 정신없이 달려 나간다. 그만큼 자신감도 충만한 시기이다. 밤을 새워도 좋고, 어디서든 굴러도 좋다. 낭만과 열정이 섞여 휘몰아 칠 때이니 말이다. 그때는 언제까지나 젊음이 내 곁에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
    Views14764
    Read More
  9. No Image

    ADHD

    밀알선교단은 매주 화요일 저녁 정기모임을 가진다. 장애인들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이 자리를 함께한다. 그들의 도움이 없이는 모임이 성사될 수 없다. 라이드, 식사, 부축해 주는 일까지. 따라서 젊은 봉사자들의 자녀들이 동반 참석하게 된다....
    Views15306
    Read More
  10. No Image

    소나무야, 소나무야

    작년 봄의 일이다. 집회 인도 차 한국을 방문하였다. 처음 행선지는 경기도 용인이었다. 운전하는 친구 곁에서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봄의 정취에 빠져들고 있었다. 길목을 돌아서는 순간, 탄성을 자아내는 풍경이 다가왔다. 마치 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꽃...
    Views14421
    Read More
  11. No Image

    뭐가 그리 서러워?

    사람마다 세대별로 서운함을 안고 인생을 엮어간다. 아이 때는 갖고 싶은 장난감을 가지지 못한 것부터, 형제가 많은 가정에서 자라난 까닭에 새 옷은 꿈도 꾸어보지 못하고 항상 맨 위부터 물려주는 것을 입어야 했던 서러움까지. 이성에 눈을 뜨는 시기에 ...
    Views15647
    Read More
  12. No Image

    나비 효과

    “브라질 아마존강에 살고 있는 나비가 날개를 흔드는 것이 미국 텍사스 주 토네이도(tornado) 태풍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렇다”이다. 미국 MIT 대학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이런 의문...
    Views16798
    Read More
  13. No Image

    누구나 생각나는 스승이 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스승의 노래는 이렇게 시작된다.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가네♬” 홀로 선 인생이 어디 있으랴! 기억에서는 희미 해 가지만 어리디 어린 나이로부터 겹겹이 쌓여진 세월과 함께 나를 가르치고...
    Views20421
    Read More
  14. No Image

    부부의 날

    어느 강좌 시간에 교수가 한 여성을 불러낸다. 그리고는 “앞에 나와서 칠판에 아주 절친한 사람 20명의 이름을 적어보세요.” 요구를 했다. 여성은 잠시 고개를 갸웃하더니 교수가 주문한대로 ‘가족, 이웃, 친구, 친척’등 20명의 이름...
    Views16360
    Read More
  15.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19772
    Read More
  16. No Image

    숨겨져 있는 것에 소중함

    모든 것이 빨리 드러나기를 바라는 조급증이 사람들 마음에 도사리고 있다. 애를 쓴 만큼 열매가 맺어지기를 기대하며 인생은 달리고 있다. 학생들은 공부한 만큼 좋은 성적이 오르기를 애타게 갈망한다. 부모는 어린 자녀들이 속히 성장하여 앞가름하며 살기...
    Views17097
    Read More
  17. No Image

    상처는 스승이다

    인생은 철모르는 어린아이 때 기대했던 것처럼 그리 녹록지 않았다. 굽이굽이 고비를 넘어야 했고, ‘이제 편한 세상이 되었나보다!’하면 어느새 무엇인가 꿈틀거리며 다가와 찔러 댔다. 생존은 마치 전쟁터 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우리는 이민...
    Views17380
    Read More
  18. No Image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

    그의 아버지는 항상 완고했다. 때로는 가정폭력을 행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가 싫었다. 나이가 들어가며 아들로 기본예의는 갖추었지만 누구처럼 아버지에게 살갑게 다가가지 못했다. 결국 그는 상담을 받게 되었고, 조언을 받아들여 아버지와의 ...
    Views18017
    Read More
  19. 아, 정겨운 봄날이여!

    “어느 계절을 가장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면 취향은 다양하다. 하지만 춥고 지루하고 변덕스러운 겨울을 지나 맞이하는 봄은 누구나에게 포근함을 안겨준다. 봄은 희망이다. 봄은 말 그대로 봄(view)이다. 죽은 듯 보이던 대지에서 파아란 새싹이...
    Views18633
    Read More
  20. No Image

    ‘호꾸’와 ‘모난 돌’

    갑자기 중 · 고 시절 입던 교복이 생각났다. 까만색 교복에 모자까지 눌러쓰고 다녀야 하는 세월이 무려 6년이었다. 하복은 그렇다치고 동복에는 ‘호꾸’라는 것이 있었다. 하얀색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칼라를 목 안쪽에 장착하고 채워야...
    Views178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