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44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을이다. 나이도 그렇고 세월을 반추하게 되는 계절이 온 것 같다. 절친이 한국에서 어머니 장례를 치르고 들어와 위로차 만났다. “이 목사, 나 이제 고아야?” “응?” 헛웃음이 나왔다. 그렇게치면 나는 고아가 된 지 수십년이 되었다. 지난 3월 뉴욕에서 목회하는 친구 목사의 아버님(목사님)이 90세에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사모님이 5월에 그 뒤를 따르셨다. 

 

  두 분이 널싱홈에 나란히 지내셨는데 말이다. 기가 막혔다. 두 달 사이로 두 분이 유명을 달리한 것이다. 효자였던 친구의 가슴속에서 터져 나오는 울음소리는 내 가슴을 저미게 했다. 몇주 후 마주 앉아 위로랍시고 얼마 전 들은 말을 던졌다. “이제 너도 고아네” 창문 너머로 고개를 돌리며 친구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고보면 우리는 다 같은 병을 앓고 있다. 우리는 언젠가 고아가 될 운명을 가졌다. 부모의 죽음은 불가피해서 모든 부모는 자신의 죽음을 예고한다. 원하는 장례 절차를 구체적으로 밝히거나, 유산 분배도 일찌감치 알리는 일이 흔하다. ‘나 죽고 나서 후회하지 말고, 있을 때 잘해라’는 말처럼, 농담인 듯 진담인 듯 협박 투로 말할 때도 있다.

 

좀 더 적나라한 경우도 적지 않다. 죽음에 직면한 부모의 두려움이 자식에게 고스란히 전해지는 말도 분명 있다. 하지만 자신의 죽음에 대한 부모의 전언은 대부분 훗날 자식이 겪을 경악과 슬픔을 덜어주기 위한 배려에서 비롯된다. 한 사람의 죽음을 생생한 상실로 체험하는 당사자는 결국 망자의 가족뿐이기 때문이다.

 

 우리 부모 역시 부모의 죽음을 경험했으며, 자식 역시 우리의 죽음을 겪는다. 우리는 그들의 사인(死因)을 잊을 수 없다. 남녀평등시대라고 하지만 남녀의 삶은 태어날때부터 이미 전해져 있는지도 모른다. 함께 직장을 다녀도 남자보다는 여자들이 훨씬 불이익을 당하고 어려운 여건에 직면해야 한다.

 

한 작가는 직장에서 마주치는 이상한 남자의 유형을 4가지로 짚었다. 열등감이 깊은 유형과 여자를 연애 상대로만 보는 유형, 여직원을 질투하는 유형, 사이코패스 유형 등이다. 문제는 그런 남자들이 전체의 70%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남자의 입장에서 좀 억울한(?) 감도 없지 않지만 완전 부정할 수 없을 정도로 현실은 냉혹하다.

 

 이처럼 ‘별스런 남자’들의 틈 속에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지치고, 상처받으며 때론 심한 우울증을 겪기도 한다. 그런 여성들의 상황을 더욱 극단으로 몰고 가는 것은 소위 ‘성공한 여성 리더’라 불리는 예외적 상황의 여성들이다. 전혀 호응해 주지 않는 억센 사람을 내편으로 만들고 만 사람이라고나 할까? 결국 자기관리를 하며 당당하게 살다보면 상대가 두려웁기보다 한 공간에서 삶의 이야기를 엮어가는 동지로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 화려하지 않은 학벌, 유부녀, 먹는 것도 잘 먹고 시끄러우니 누구나 호감을 가지고 접근하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어차피 직장은 일로 승부해야 하는 공간이다. 성실과 진정성은 결국 누구에게나 인정을 받는 쉬우면서도 단순한 방책이다.

 

 한 마디로 중심을 잡아야 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것이 순탄하지는 않다. 그 모습을 피곤해하면 이미 지는 것이다. 좀 더 지혜롭고 유연한 방법을 취해야 한다. 남자들은 힘좋고 돈이 많다고 과시한다. 그것을 귀엽고 가련한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쉬운 일은 아니지만 남자들은 몇 번 시도하다 통하지 않는 것을 깨달으면 제 정신을 차리기도 한다.

 

 사람은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성장하고 성숙한다. 관계를 포기하면 인생을 포기한 것과 같다. 결국 생각, 가치관의 차이이다. 관점의 차이기도 하다. 따라서 비교와 자기비하 대신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만의 매력과 개성을 키우기 위한 몰입에 치중해야만 한다.

 

 청년시절부터 머리가 복잡해 지면 찾던 곳이 청계천 헌책방과 황학동 도깨비 시장이었다. 책 냄새를 맡고 왁자지껄한 시장통에서 뿜어져 나오는 생존욕구의 치열함이 연한 미소를 짓게하며 뇌를 정화시켜 주었다. 파랑새는 없다.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우리들이 공히 추구해야 할 것은 주어진 오늘을 기쁨으로 사는 것이다.


  1. No Image

    세월아 너만 가지!

    세월의 흐름은 나이, 인종, 문화를 초월하여 누구나 빠름을 인정한다. 세월의 흐름을 두려워하는 것은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음이 아닐까? 70년대를 풍미한 지성파 포크 가수 박인희. 그녀의 음색은 매우 청아하다. 감정은 극도로 절제되어 있는 듯하나...
    Views6734
    Read More
  2. No Image

    운동한다고 건강해?

    만나는 사람마다 화두가 건강이다. 누구나 건강하고 싶고, 건강을 위해 애쓰며 살고 있다. 나에게는 45년 지기 절친 목사가 있다. 나는 성격이 직선적이고 급한 반면, 그 친구는 수줍고 침착하고 느긋하다. 상반된 성격의 우리가 어떻게 친구가 되었는지 기억...
    Views8055
    Read More
  3. No Image

    보물 지도

    언제부터인가? ‘금수저, 흙수저’란 말이 회자되기 시작했다. 이제는 그 의미가 무엇인지 모두가 안다. ‘어떤 가정 분위기에서 성장하느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는데 바로 “꿈”이다. 이미 ...
    Views7365
    Read More
  4. No Image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어느덧 한해를 마무리해야 하는 12월에 접어들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은 아니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어려운 일을 만나 고뇌하는 순간을 만날 때가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Views8723
    Read More
  5. No Image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

    아름다운 추억이 많은 사람일수록 “행복지수”가 높아진다고 한다. 그중에 편지에 대한 애틋한 추억은 내 인생의 가장 값진 재산이다. 돌아보니 그때 열심히 편지를 쓴 덕분에 문장력과 표현력이 늘어간 것 같다. 무엇이든 세세히 보는 감성도 그...
    Views11129
    Read More
  6. No Image

    동그라미

    아이가 자라면서 제일 먼저 그리는 것이 동그라미이다. 동그라미는 걸리는 것이 없다. 성격이 좋은 사람을 “원만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한다. 여기서 원만이란? 둥글 “員”, 가득찰 “滿”이다. “둥글둥글하면서도 꽉...
    Views10339
    Read More
  7. No Image

    대통령의 무게감

    미국 대선이 막을 내렸다. 한국은 선거를 마치면 바로 결과가 확연하게 드러나는데 미국은 유권자들이 주별로 정당별 선거인단을 선출하는 단계로 진행되기에 시일이 오래 걸린다. 선거인단 제도와 승자독식제라는 특이한 제도로 구성되어 있기에 “미국...
    Views9782
    Read More
  8. No Image

    젖은 낙엽 신세

    결혼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의 일이다. 장인이 한마디 하신다. “나이 먹은 남자 신세가 비에 젖은 낙엽이야!” 무슨 말인가 했다. 세월이 흘러 나이가 늙수구리 해 지면서 그 말이 피부에 와닿는다. 마른 낙엽은 산들바람에도 잘 날아가지만, 젖...
    Views10673
    Read More
  9. No Image

    절대로 포기하지 마!

    인생의 성패는 단순한 것에서 갈라진다. 어떤 악조건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은 결국 성공을 쟁취하고야 만다. 45년 전에 밀알선교단을 창립한 이재서 박사도 그런 인물이다. 그는 건강하게 태어나 여느 아이들처럼 꿈을 꾸며 뛰어 놀았다. 그가 15살이 ...
    Views11021
    Read More
  10. No Image

    20대의 초상

    “대학가요제?” <TV 조선>에서 지난 10일부터 과거와 같은 타이틀로 경연대회가 방영되기 시작했다. 대학생들의 다양한 장르와 다채로운 창법이 놀랍게 펼쳐지고 있다. 그러면서 희미해져 가는 나의 20대가 저만치 투영되어왔다. 실로 고뇌의 세월...
    Views12687
    Read More
  11. 부활 박완규 & 밀알의 밤

    가을이 왔다. 전령사 귀뚜라미 소리가 정겹게 가슴을 적시며 가을이 깊어감을 느낀다. 귀뚜라미에 얽힌 이야기가 신비롭다. ‘귀뚜라미가 울면 게으른 아낙이 놀란다’는 속담이 있다. 여름에 부지런히 길쌈으로 천을 짜 두어야 할 아낙네가 실컷 ...
    Views12983
    Read More
  12. No Image

    무촌(無寸)의 품격

    “이젠 이런 남자와는 도저히 함께 살 수 없다”는 40대 후반의 한 여성이 있다. 이 여성은 남편에 대해서 화가 많이 나 있었다. “왜 그러냐?”고 물었다. 이야기는 아주 단순했다. 화장실에 서 남편이 소변을 보고 나가면 늘 오줌 냄새...
    Views13143
    Read More
  13. No Image

    친구가 있기에

    장애 학생이 학업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친구의 존재는 너무도 소중하다. 장애는 나이가 들수록 그 무게감이 더해간다. 사춘기에 접어들면 장애는 무게가 아니라 수치로 다가선다. 위축되어 가는 그 시기에 힘이되어 주고 장애에서 시선을 떨어지게 하는 존재...
    Views12998
    Read More
  14. No Image

    감사한 죄

    감사는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갖추어야 할 가장 아름다운 덕목이요. 삶을 빛나게 하는 MSG이다. 감사하는 사람은 아름답다. 세계 어디를 가도 미국만큼 풍요롭고 친절한 곳이 없다. 유럽에 가보라! 식당에서 처음 나오는 물도 돈을 내야하고 우리나라 70년대...
    Views13594
    Read More
  15. No Image

    우리는 같은 병을 앓고 있다

    가을이다. 나이도 그렇고 세월을 반추하게 되는 계절이 온 것 같다. 절친이 한국에서 어머니 장례를 치르고 들어와 위로차 만났다. “이 목사, 나 이제 고아야?” “응?” 헛웃음이 나왔다. 그렇게치면 나는 고아가 된 지 수십년이 되었...
    Views14499
    Read More
  16. No Image

    % 세상

    세상은 온통 퍼센트(%)가 지배하고 있다. 시청자들이 즐겨보는 드라마나 예능프로의 시청률부터 크게는 각 나라마다 정치지도자를 선출하기 전에 실시하는 여론조사까지. 맞는 것도 같고 그렇다고 절대적이지 않은 퍼센트에 세상은 요동치고 있다. 모든 것이 ...
    Views14382
    Read More
  17. No Image

    아픈 만큼 성숙해 지고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 결정적인 것은 만남이다. 만남을 통해 사는 맛을 알아가기도 하지만 어떤 만남을 통해서는 상처를 받으며 깎이는 과정을 경험해야만 한다. 빛이 영롱한 도자기를 만난 적이 있는가? 도공들이 하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애쓰는 모습은 ...
    Views14136
    Read More
  18. No Image

    잠시 쉬어 가세요

    2024년을 시작했는가 했는데 어느새 8월의 끝자락에 서있다. 금년 여름은 정말 더웠다. 하지만 입추와 말복을 거쳐 처서(處暑)를 지나며 아침저녁으로 소슬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더니 초가을의 텃텃함이 엄습하고 있다. ‘안 해야지’ 하면서도 ...
    Views14960
    Read More
  19. No Image

    마당

    어린 시절을 마당에서 보냈다. 남자아이들은 비석 치기, 자 치기를 하고 놀았고, 여자애들은 주로 공기놀이, 고무줄 넘기를 하며 한나절을 보냈다. 누가 무어라 하지 않아도 동네 아이들은 마당으로 모여 들었고, 무엇이 그리 재미있었는지 함박 웃음을 지으...
    Views15035
    Read More
  20. No Image

    눈물을 머금은 마음

    눈물은 사람의 몸에서 흐르는 고귀한 액체이다. 극한 감격 속에서도 흐르지만 대부분 고통스러울때에 배출된다. 독일의 철학자이자 시인이었던 괴테는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인생의 참다운 의미를 모른다”라고 했다. 여러 의미가...
    Views141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