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6:04

뒷곁 풍경 9/4/2012

조회 수 666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독대.jpg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어설픈 나무 울타리였다. 따라서 웬만하면 이웃끼리는 무슨 음식을 하고 있는지, 집안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나온 말이 “이웃사촌” 아닐까? 그때는 인심도 후해서 음식을 혼자 먹는 일은 거의 없었다. 무슨 음식이든지 일단 옆집에 보내놓고 가족들만의 식사가 이어졌다.

집집마다 바깥마당이 있고 안마당이 있었다. 바깥마당은 온 동네의 아이들이 모여 드는 장소였다. 여자아이들은 ‘고무줄놀이’부터 ‘공기놀이’등을 즐겨했고, 남자 아이들은 ‘비석치기, 다마(구슬)치기, 딱지치기’등을 하며 놀았다. 그 당시에는 ‘볼거리’가 거의 없었다. 전기도 없는 시절이었으니까 지금 같은 전자제품은 상상도 못한 시대였다. 그래서 아이들은 학교에서 돌아오면 책가방을 마루에 던져버린 채 바깥마당에 모여 들었다. 그렇다고 아무 집 마당에만 모이는 것은 아니었다. 양지바르고 먼지가 덜나는 거기다가 주인의 마음씀씀이가 너그러운 집 마당이 가장 큰 인기였다.

그 마당에서 우리들은 사회를 배우고 친화력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터득해 갔다. 왜냐하면 놀이를 하다보면 ‘얼토당토’ 않게 고집을 부리는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당시에는 ‘얼마나 딱지를, 구슬을 많이 따느냐?’가 아이들의 큰 관심거리였다. 아이들끼리 놀이에 열중하다가도 오지랖 넓은 지나가던 어른의 참견으로 소란스러워지면서 악동들의 꿈은 무르익어갔다. 안마당은 아무나 들어가질 못했다. 따라서 넓은 안마당을 소유한 집 아이들은 세도가 당당했다. “들어와!”라는 소리를 듣는 아이들만 안마당에 들어섰다. 안마당에서 놀다보면 그 집 엄마가 들고 나오는 간식을 먹는 특권(?)도 주어졌다. 여름에는 설탕에 잰 “토마토”가, 다른 때는 옥수수나 감자가 제공되었다.

그러다가 돌아가서 만나는 곳이 뒷곁(뒷마당)이다. 간혹 독특한 집도 있지만 거의 대동소이한 풍경이 드러난다. 뒷곁 중앙에 버티고 있는 것이 <장독대>이다. 그때는 장독이 많기도 많았다. 어마어마한 크기에 장독은 주로 간장을 담그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기다랗게 생긴 장독, 옆으로 퍼진 장독, 아기자기한 모양의 작은 장독들이 이야기를 나누듯이 장독대를 가득 메우고 서있었다. 그리고 장독대를 중심으로 텃밭이 일구어졌다. 고추, 가지, 토마토, 오이부터 깻잎, 도라지, 마늘, 딸기까지 종류는 다양했다. 울타리를 타고 오르는 나팔꽃은 아침이면 활짝 피어나 뒷곁의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 주었다.

뒷곁을 마주보는 텃마루에는 메주가 걸리고 부지런한 주인이 해온 나뭇더미가 습기를 말려가며 겨울을 기다리고 있었다. 특히 소나무는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기분 좋은 향을 뿜어낸다. 그래서 뒷곁에 들어서면 마른 소나무 향기가 코끝에 닿으며 현기증을 일으켰다. 한편으로는 희한한 흙냄새와 곰팡이 향이 올라오기도 하였다. 뒷곁에서 무엇보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투박한 모양의 굴뚝이었다.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굴뚝의 자태는 집의 균형을 잡아주었고 저녁이 되면 뽀얀 연기를 뿜어내며 이곳이 사람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표식을 해 주었다.

굴뚝 옆과 울타리 사이에는 봉숭아, 채송화, 돋나물이 솟아나 작은 화원을 이루어주었다. 그 곳에 지직(돗자리)을 깔고 아이들과 엎드려 숙제를 한다. 사실 공부는 뒷전이고 이야기가 꼬리를 물면 뒷곁은 어느새 아이들의 웃음소리로 가득 차 버렸다. 그러다가 나비가 나타나면 나비의 날개 짓에 넋을 잃었고 눈치 없이 나타난 지렁이 때문에 소스라치게 놀라는 아이들의 비명소리와 표정이 그림을 그려낸다. 눈을 감고 생각해 보면 그 뒷곁이 내 가슴에 샘을 만들어 준 것 같다. 지금도 그 샘에서 한 그릇에 글을 퍼서 나누어 주는 중이다. 아! 그 시골에 뒷곁이 너무도 그립다.


  1.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8533
    Read More
  2. 뒷담화의 달콤함

    갑자기 귀가 가려울 때가 있다. 그러면 이런 말이 저절로 튀어나온다. “누가 내말을 하나?”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사람은 영적 존재이기에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일찍이 나의 장인이 새로운 것을 알려주셨다. “왼쪽 귀가 가려우면 누군가...
    Views59972
    Read More
  3. 뒷곁 풍경 9/4/2012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
    Views66697
    Read More
  4. 두려움을 넘어가는 신비

    사람이 살면서 평생 풀어야 할 문제가 두려움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목을 놓아(?) 운다. 어렵게 태어났는데 나오자마자 웃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아이들은 울면서 인생을 시작한다. 왜 그럴까? 두려움 때문이다. 그 두려움 때문에 인생은 한날도 편안히 ...
    Views57181
    Read More
  5. 두 팔 없는 미인대회 우승자

    각 나라마다 미인대회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1957년부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을 드러내어 뽐내고 싶은 마음은 여성들의 본능인 듯 싶다. 세월이 흘러 이제 그런 대회는 멈추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상업...
    Views26797
    Read More
  6. 동화처럼 살고 싶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동화를 품고 산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평생 가슴에 담고 싶은 나만의 동화가 있다. 아련하고 풋풋한 그 이야기가 있기에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늙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철이 나고 의젓한 인생을 살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Views36501
    Read More
  7. 동정이 아닌 사랑으로! 1/1/2011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맘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자...
    Views78910
    Read More
  8. 동수와 경찰아저씨 5/2/2014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지만 언니 집으로는 절대 가고 싶지 않아요” 장애를 가진 자매의 하소연이다. 자매는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는 마음 편히 머물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뇌성마비 1급 지체 장애를 가지고 ...
    Views70621
    Read More
  9. 동보극장 간판 예술가 12/8/2011

    평생 경찰로 살아오시던 아버지는 퇴직을 하시자마자 모든 것을 정리하여 서울행을 결심하신다. 내 나이 16살에 나는 그렇게 꿈꾸던 서울사람이 되었다. 밤이 되면 거리를 수놓는 현란한 네온사인 불빛이 어린 가슴을 설레이게 하였다. 처음에는 어리버리하던...
    Views79790
    Read More
  10. 동병상련(同病相憐)

    나에게는 소중한 제자들이 많이 있다. 철없던 20살, 반사를 하며 가르쳤던 주일학교 아이들부터, 22살 교육전도사가 되어 지도하던 학생들. 26살부터 지도했던 중 · 고등부 청소년들. 그리고 30이 넘으며 지도하던 청년대학부까지 많기도 많다. 하지만...
    Views16468
    Read More
  11. No Image

    돋는 해의 아침 빛<2023년 첫칼럼>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해돋이를 위해 산이나 바다로 향한다. 따지고 보면 같은 태양이건만 해가 바뀌는 시점에 바라보는 태양의 의미는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목사이기에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은 당연한 모습이요, 삶이 된 것 같다. ...
    Views8782
    Read More
  12. 독일제 백금 샤프 3/25/2013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미제> 학용품 하나만 가지면 아이들의 시선을 독차지 할 수 있었다. 진노오랑 색깔의 미제연필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질이 좋아 선망의 대상이었다. 연필에 선명하게 드러나는 <U.S.A>는 아이들의 탄성...
    Views76969
    Read More
  13. 독방 체험

    죄를 짓지 않고도 스스로 감옥행을 택한 이들이 있다. 감옥은 자유를 구속하는 곳이면서도 누군가에게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기르는 깨달음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쇠창살만 없지 영락없는 교도소다. 5㎡(1.5평) 남짓한 독방 28개가 복도를 마주...
    Views58499
    Read More
  14.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7534
    Read More
  15. No Image

    데이모스의 법칙

    삶은 생각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은 잠에서 깨어나면서 하루 종일 생각하며 산다. 과연 내 삶을 스치는 생각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말에 “오만가지 생각이 다 난다”는 표현이 있다. 그렇다. 묘하게도 사람은 하루에 5만~6만 가지 생각을 한다. ...
    Views5059
    Read More
  16.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66446
    Read More
  17. 대화하고 사십니까? 5/25/2013

    한문으로 사람을 “인간(人間)”이라고 한다. 글자대로 풀면 “사람 사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을 관계로 본 것이다. 혼자는 사람이 안된다는 뜻이다. 그러기에 하나님은 아담을 만드시고,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
    Views67046
    Read More
  18. 당연의 틀을 깨라! 4/17/2015

    사람은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는다. 집안에서부터 자라나며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훈련과 지식을 터득하며 성장한다. 그 모든 교육을 받고나면 의젓한 사회인이 되는 혜택(?)도 있지만 반면 “당연한” 인물이 된다. 지식이 충만해지며 ‘당연...
    Views65494
    Read More
  19. 당신의 운을 점쳐 드립니다!

    “운이 없어서 부도 당했다” “운이 없어 동업자를 잘못 만났다” “운이 없어 시험에 떨어졌다” 사람들은 “운”(運)에 대한 말을 많이도 하고 산다. 결국 “운”은 있는 것일까? 있다고 하더라도 &ldq...
    Views65999
    Read More
  20. No Image

    당신의 성격은?

    사람의 성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외향적이냐? 아니면 내향적이냐?”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에 거리낌이 없고 만나서 에너지를 얻는다면 당신은 ‘외향성이 강한 사람’이다. 반면에 사람을 만나는 것이 버겁고 특별히 새로운 사...
    Views467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