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3.24 21:08

가족 사진

조회 수 653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족.jpg

 

 

 “옥한흠 목사님”(사랑의 교회 원로)이 세상을 떠나 하관예배가 진행되는 중에 갑자기 옥 목사의 차남 ‘승훈’씨가 “아버지의 관 앞에서 가족사진을 찍겠다.”고 말했다. 동석한 1,000여명의 성도들은 저으기 당황했다. 집례하던 담임 목사는 “별난 하관식”이라며 ‘승훈’씨의 요청을 받아들였고, 유족인 “김영순 사모”와 아들 “성호 · 승훈 · 성수”씨가 관 앞에 모여 사진을 찍었다. 다음에는 사모님이 관 곁에서 ‘부부 사진’까지 찍었다. 어찌하여 가족사진을 장례가 진행되는 중에 찍어야 했을까?

 

 ‘승훈’씨는 조문객들에게 아버지의 관 곁에서 ‘가족사진’을 찍게 된 연유를 설명했다. 그는 “‘왜 하필 아버지의 관을 뒤로 하고 사진을 찍느냐?’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평소 교회 일에 바쁘셨던 아버지였기에 우리에겐 가족사진이 없습니다. 이제라도 가족사진 한 장은 남겨야 할 것 같았습니다.” 그러면서 중요한 한마디를 던졌다. “목사님들이 목양도 귀하지만 아내와 자녀들의 아픔을 알고, 교우뿐만 아니라 가족도 품어야 합니다.” ‘제자훈련’과 “사랑의 교회”를 굴지의 교회로 성장시켰지만 세상을 떠날 때까지 한 장의 가족사진도 남기지 못했다는 사실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사진이 참 귀했다. 카메라를 갖는 것은 상상을 못했고 어쩌다 가족사진을 남기려면 사진관을 찾아야만 했다. 그것도 보통 가정에서는 상상조차 힘들었다. 그래서인지 우리 세대는 변변한 가족사진조차 없는 것 같다. 우리 집은 경제적으로 중류는 되었음에도 아주 어린 모습을 담은 사진은 많이 있는데 나이가 들어서는 가족사진이 전혀 없음이 아쉽기만 하다. 다행히도 색 바랜 흑백사진 속에 담겨있는 아버지, 엄마의 모습이 간간히 일어나는 그리움을 달래준다.

 

 나는 아들이다. 경찰이신 아버지가 전근을 갈 때마다 새로운 환경을 만나고 적응해야했다. 그때마다 자라가는 내 사진을 아버지는 카메라에 담아주셨다. 그래서인지 누이와 나만 찍은 사진만 있다. 그러다가 여동생이 태어났다. 그런데 동생사진은 아예 없다. ‘남아선호사상’때문일까? 성인이 되고 결혼을 했다. 결혼과 신혼여행 사진이 익숙해질 무렵. 첫아이가 태어났다. 산부인과에 카메라를 들고 가서 연신 갓 태어난 아가를 향해 셔터를 눌러댔다. 그런데 둘째 아이는 태어났을 때에 사진이 없다. 그런데 물어보면 어느 가정이나 거의 그렇단다.

 

 두 아이의 아빠가 되었다.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4살, 1살) 담임목회를 시작했다. 내게 가정은 안보였다. 내 머리에는 오직 교회와 성도들만 있었다. 부활절, 여름성경학교, 교인수련회, 추수감사 찬양제등, 교회 이벤트가 있을 때 곁다리로 가족사진을 찍었다. 그러다가 상담학 졸업을 하면서 앨범에 가족사진을 싣게 되어 모처럼 사진관에서 자취를 남겼다. 풋풋한 초등학생의 모습으로 아이들이 책상맞은편 사진액자에 전설처럼(?) 웃고 있다. ‘저런 때가 있었던가?’

 

 20년 전, 절친 목사님 댁에 초대를 받았다. 눈에 띄는 것은 식탁받침 유리판에 끼워 넣은 가족사진들이었다. 이유를 물으니 식사 중에 사진을 보며 그때 추억을 되새긴단다.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다. 아이들이 귀엽고 예쁜 어린 모습으로 그냥 있었으면 좋으련만 무섭게 성장을 한다. 그래서 우리 가족은 3년마다 가족사진을 찍기로 하였다. 사진 속에 추억이 있다. 사연, 감사, 감격이 숨어있다. 더 늦기 전에 폼 나는 가족사진 한 장은 남겨둬야 하지 않을까?

 

 ♬ “바쁘게 살아온 당신의 젊음에 의미를 더해줄 아이가 생기고 그날에 찍었던 가족 사진속에 설레는 웃음은 빛바래 가지만/ 어른이 되어서 현실에 던져진 나는 철이 없는 아들이 되어서 이곳저곳에서 깨지고 또일어서다 외로운 어느날 꺼내본 사진속 아빠를 닮아있네/ 내 젊음 어느새 기울어 갈때쯤 그제야 보이는 당신의 날들이 가족사진속에 미소띈 젊은 아가씨에 꽃피던 시절은 나에게 다시 돌아와서 나를 꽃피우기 위해 거름이 되어버렸던 그을린 그 시간들을 내가 깨끗이 모아서 당신의 웃음 꽃 피우길”♪“김진호”(SG워너비)의 노래 <가족사진> 중에서.


  1. 결혼 상대자로 장애인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인생의 3분지 1은 혼자서 산다. 3분지 2는 둘이서 살아야 한다. 혼자 살 때는 가끔 외로울 때가 있긴 하지만 자유로워서 좋다. 그러나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실 때 혼자서는 잘 살아가지 못하도록 창조하셨다. 반드시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Life Story를 엮...
    Views63388
    Read More
  2. 만남이 인생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것이 있다면 “만남”이다. 다른 말로 하면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잘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관계를 잘한다.”는 것이다. 가진 것이 많아도, 지식과 교양이 높아도 관계를 ...
    Views56519
    Read More
  3. 가족 사진

    “옥한흠 목사님”(사랑의 교회 원로)이 세상을 떠나 하관예배가 진행되는 중에 갑자기 옥 목사의 차남 ‘승훈’씨가 “아버지의 관 앞에서 가족사진을 찍겠다.”고 말했다. 동석한 1,000여명의 성도들은 저으기 당황했다. 집...
    Views65393
    Read More
  4. 행복을 주는 사람

    사람이 살면서 사람을 통해 감동을 받는 것처럼 행복하고 흥분되는 일은 없다. 신학대학에 들어가서 처음 나를 감동시킨 분은 “박윤선 박사님”이셨다. 풋풋한 인상의 교수님은 웃으시면 약간 입이 비뚤어지셨다. 그 옛날 “웨스트민스터&rdq...
    Views59864
    Read More
  5. 까까 사먹어라!

    어린 시절. 방학만 하면 나는 포천 고향집으로 향했다. 지금은 너무도 쉽게 가는 길이지만 그때만 해도 비포장 자갈길을 ‘덜컹’거리며 버스로 2시간은 족히 달려야했다. 때문에 승객들은 거의 차멀미에 시달렸다. 버스에는 항상 차멀미하는 사람...
    Views69068
    Read More
  6. 아, 밀알 30년!

    참으로 감격스러운 순간이었다. 자그마한 밀알 하나가 심기어져 모진 비바람 속에서도 자라나 30년을 맞이하는 날이었기 때문이다. 밀밭의 꿈이 세월의 한 Term을 돌아가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는 사실이 정말 행복했다. 그것도 화려한 사역이 아니라 가...
    Views59872
    Read More
  7. 뒷담화의 달콤함

    갑자기 귀가 가려울 때가 있다. 그러면 이런 말이 저절로 튀어나온다. “누가 내말을 하나?”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사람은 영적 존재이기에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일찍이 나의 장인이 새로운 것을 알려주셨다. “왼쪽 귀가 가려우면 누군가...
    Views60119
    Read More
  8. 깨어나십시오!

    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깨어난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지 않은 인생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길을 가는 사람과 같다. 그러니까 평생을 헤매 일 수밖에 없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면 눈이 떠진다. 인생이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을...
    Views61951
    Read More
  9. 남편만이 아니다, 아내도 변했다

    신혼이 행복하지 않은 부부가 있을까? 얼마나 달콤하면 “허니문”이라고 할까?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날 이후이다. “깨가 쏟아지는” 신혼의 단꿈에서 깨어나며 부부간의 전쟁은 시작된다. 그때 부부가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속...
    Views61895
    Read More
  10. 애타는 “엘렌”의 편지

    엘렌은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 한국명은 “김광숙”이다. 그녀의 생모는 시각장애를 가진 딸을 키우기가 버거웠던지 어느 날 마켓에 버려두고 사라져 버렸다. 엘렌은 고아원으로 인도되어 살게 되었고, 4살 때 미국 볼티모어에...
    Views62071
    Read More
  11. 조금 천천히 가더라도

    꿈을 갖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우리가 어릴 때 아이들의 꿈은 단순하면서도 어마어마했다. 남자애들은 보통 “대통령, 장군” 여자애들은 “공주, 미스코리아”였으니까. 그것에 비하면 지금 아이들의 꿈은 영어로 ‘버라이어티&rs...
    Views61258
    Read More
  12. 스쳐 지나간 사람들 속에 내 모습이 있다

    인생을 길게 살아왔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는 이야기가 된다. 어린 시절에 만나 긴 세월을 여전히 만나는 사람들.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만나는 사람들. 그립고 사랑해서 만나는 사람들. 그냥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만남의 형태는 다양하다...
    Views60291
    Read More
  13. 행복을 원하십니까?

    새해가 밝자마자 시카고 집회를 다녀와 보니 어느새 1월 중순이다. 시카고의 겨울이 그렇게 매서울지 몰랐다. 집회를 인도하는 동안 온몸을 움츠리고 이동을 해야만 하였다. 5일 만에 돌아오는 비행기 상공에서 바라본 필라는 온통 하얀색이었다. 내가 없는 ...
    Views63932
    Read More
  14. 2017년 첫 칼럼 "미지의 세계로"

    새해가 밝았다. 60년 만에 찾아온 ‘붉은 닭띠 해’라며 사람들은 호들갑을 떤다. “띠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통계학으로 보면 혈액형, 고향, 인종, 띠는 전혀 근거 없는 낭설은 아니다. ‘그런 유형...
    Views63923
    Read More
  15. 아름다운 매듭

    실로 격동의 2016년이 마무리되어 가고 있다. 미국은 대선을 치르느라 분주했고, 한국은 말을 꺼내기조차 두려운 현실이 이어지고 있다. “다사다난!”이란 사자성어가 적합한 한해였던 것 같다. 또한 성경 잠언 16:9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
    Views59873
    Read More
  16. 초심(初心) 지키기

    이제 막 입학한 신학생들의 모습을 꼬집는 ‘조크’가 있다. 처음 입학하면 목사처럼 산다. 처음 신학대학에 입학하던 때가 생각난다. 신기하고 두렵고 희한하고 기분이 묘했다. ‘와우, 내가 신학생이 되다니!’ 걸음걸이도, 말씨도, 마...
    Views62500
    Read More
  17. 흘러가는 세월을 붙잡고

    세월은 흐르는 물처럼 빨리도 지나간다. ‘그런 말은 결코 다시 쓰지 않으리라!’ 다짐을 하건만 이맘때가 되면 또다시 되뇌이게 된다. 젊음이 오랜 줄 알고 그냥 저냥 지내던 20살 때에 고향 ‘포천’에서 사촌 형님이 오셨다. 우리 집...
    Views65207
    Read More
  18. 비바람 너머 별들은 빛나고 있으니

    부르기만 해도 설레이는 단어가 “결혼”이다. 사랑해서 만나고 영원히 헤어지기 싫어 결혼을 한다. 신혼에 행복하지 않은 부부가 어디 있으랴! 환상을 꿈꾸며 가정을 꾸미지만 신혼의 단꿈이 사라지고 결혼이 차디찬 현실로 다가 올 때에 부부는 ...
    Views58420
    Read More
  19. 인생을 3D로 살라!

    바야흐로 3D 시대가 열렸다. 3D란 “Three Dimensions, Three Dimensional”의 약자로 수학에서 공간 내에 있는 점 등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축의 개수를 말한다. 평면에 포함된 한 점의 위치를 지정하는 데에는 두 개의 숫자가 필요하다....
    Views62914
    Read More
  20. 내 목소리가 들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각자의 지문이 다르듯이 사람들은 독특한 목소리를 소유하며 살고 있다. 나는 20대 초반, 교회 ‘어린이 성가대’를 지휘한 경험이 있다. 음악적인 재능은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지휘는 ‘문외...
    Views615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