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6:06

강남 스타일 9/23/2012

조회 수 832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춤.jpg

 

 

요사이 한국에서뿐 아니라 한류의 흐름을 따라 해외로 번지고 있는 노래가 있다. 바로 가수 ‘싸이’가 부른 “강남스타일”이다. 전자 악기가 분위기를 주도하고 비트를 강하게 넣고 같은 멜로디가 반복되는 노래이다. 가사도 중간 중간 “오빤 강남스타일!”만 외쳐댈 뿐 단조롭다. 노래뿐이 아니다. 싸이가 흔들어대며 추는 “말춤”이 엄청난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 대통령 후보인 “롬니”까지 “말춤”을 출 정도니 그 인기가 가늠이 안 될 정도이다.

“말춤”은 안무가 “이주선”(39)이 개발했다. 노래에 맞는 안무를 찾기위해 곡을 200번 이상 들어보았다는 말에 충격을 받았다. 그는 “말들이 힘차게 달리는 모양을 무릎과 골반을 흐느적거리는 듯 힘차게 돌리는 것으로 표현하고, 두 팔을 겹치거나 한쪽 팔로 동그라미를 그리는 식으로 채찍질하는 동작 등을 고안해냈다”고 했다.” 단조로울 수 있었던 춤새가 썬그라스를 착용한 “싸이”의 엄거주춤 동작을 입으며 신드롬을 일으키는 작품이 된 것이다.

요사이 한국 연예인들의 흐름은 곱상하거나 미성을 가진 아이돌들이 주도하고 있다. 그런데 전혀 엉뚱한 컨셉으로 “싸이”가 치고 나오면서 새로운 양상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인물이 뛰어난 것도 아니고 몸매가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싸이가 대중들에게 보란 듯이 자신을 내 던지고 있다. 그의 몸짓 하나 하나에 흥분하며 실신까지 하고 있다니 실로 가관이다.

한국에서 “강남”은 무슨 의미일까? 나는 서울에서 꼬박 30년을 살았다. 사실 고교시절에 강남은 한적한 시골이었다. “말죽거리”로 대표되는 한적한 동네였다. 70년대에 잠실 주공아파트가 들어서며 개발이 시작되었다. 놀라우리만큼 강남은 날마다 옷을 갈아입으며 변화되어 갔다. 교회들도 목숨을 걸고 강남 이전을 서둘렀다. 80년대 가요에 아파트가 등장하고 강남은 고독한 도시로 그려진다. 90년대는 어땠을까? 시인 유하는 “압구정동은 체제가 만들어낸 욕망의 통조림이다. 가는 곳마다 모델, 탤런트 아닌 사람 없고 술과 고기가 넘쳐나니 무릉도원이 따로 없구나.”라고 표현했다.

“오렌지족과 야타족”이라는 신조어의 등장에서 엿보듯이 90년대 강남은 실로 욕망의 용광로였다. 상류층만의 특권 지역으로 자리 잡은 강남이 2000년대 들어서 다양한 이미지가 혼재되기 시작한다. ‘명품’이 나오기 무섭게 팔려 나가는 곳이 강남이다. 나의 절친한 친구인 장 목사는 로데오 거리 근처 교회에서 목회를 하고 있다. 한국에 가면 친구는 그 한복판에서 나에게 식사를 대접한다. 분위기 좋은 곳에서 차를 마신다. 성형수술을 한 채 아직 아물지 않은 얼굴을 드러내고 로데오 거리를 활보하는 수많은 외국인과 마주친다. 친구가 목회하는 교회에 근처에는 “연예 기획사”들이 즐비해서 금요 예배에는 연예인들이 대거 참석을 하고 그들을 보기위해 중 · 고딩들이 들끓는다고 한다. 희한하기 이를데가 없는 이야기다.

통상 강남은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이렇게 3개 자치구를 일컫는다. 이 강남 3구는 우리나라의 부가 집중된 곳이다. 학군으로 으뜸이며 생활환경이나 재정 자립도가 최고이니 과연 대단한 동네이다. 가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평소 대중이 강남에 대해 갖고 있는 허위의식을 풍자해 인기를 끌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대치동 학원가로 상징되는 교육 특구가 되기도 하고 환락과 욕망의 공간으로 동시에 엄청난 부가 집중된 ‘강남공화국’이라 불리우고 있다. 의료 혜택이나 복지 시설도 강남에 집중돼 있다. 이 때문인지 강남의 10만명당 사망률은 강북과 비교해 최대 134명 차이가 날 정도라고 한다.

압구정동에서 다리 하나를 건너 강북에 이르면 비탈길을 따라 주택이 늘어서 있다. 강남과 강북이 거리는 가깝지만, 마음은 멀기만 하다. 노래 “강남스타일”에 가사는 두려울 정도로 감각적이다. “오빤 강남스타일!” 외쳐대는 싸이의 목소리에 거부감이 느껴지는 것은 내가 촌스러워서일까? 오로지 즐기고 물질 만능을 누리는 것만이 인간최고의 목적이라면 너무 서글프지 않은가! 나는 강남스타일 보다 “예수 스타일”로 멋지게 인생을 살고 싶다.


  1.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6895
    Read More
  2.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7862
    Read More
  3. 겨울 친구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그래도 실내에 들어서면 온기가 충만하고 차에 올라 히터를 켜면 금방 따스해 지니 다행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겨울은 너무도 추웠다. 지금보다 날씨가 더 추웠는지 아니면 입은 옷이 시원치 않아서 그랬는지 그때는 ...
    Views9624
    Read More
  4. 겨울 낭만 2/18/2013

    우리는 지금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겨울은 춥다. 눈이 많이 온다. 사람뿐 아니라 생물세계에서도 활동이 무뎌지는 계절이다.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작년에 이어 폭설이 내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서부에서 살다가 처음 필라델피아에 와서...
    Views78012
    Read More
  5. 건빵 1/28/2014

    나는 간식을 즐겨하는 편이 아니다. 어릴 때부터 우직하게 세끼 식사에 집착하는 편이다. 그런데 가끔은 입이 궁금할 때가 있다. 오늘이 그런 날이었다. 시장기가 돌았고 불현듯 생각 난 것이 건빵이었다. 60년대만 해도 간식은 고사하고 양식이 없어 굶주리...
    Views76596
    Read More
  6. 거울 보고 가위 · 바위 · 보

    거울을 보고 가위, 바위, 보를 해보라! 수백 번을 해도 승부가 나질 않는다. 계속 비길 수밖에. 그런데 평생 이런 모습으로 살아가는 부류가 있다. 바로 부부이다. 갈등없이 살아가는 부부가 있다. 모든 것이 너무 잘 맞아서 만족하며 살아가는 부부말이다. ...
    Views10187
    Read More
  7.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8790
    Read More
  8. 개똥 같은 인생?

    요즈음 아이들은 스타가 되고 싶어한다. 마침 불어닥친 한류열풍으로 한낮 꿈이 아닌 인기와 돈이 동시에 보장된 그 길을 가려고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예술을 하면 배가 고팠다. 하지만 진정성은 그런 열악한 환경에서 표출되었다. 가슴을 파고드는 노래, ...
    Views135650
    Read More
  9. 개나리 꽃이 피었습니다! 4/5/2011

    금년 겨울은 몹시도 추웠다. 눈도 엄청나게 쏟아졌다. 그 지리한 겨울의 한복판에서 “언젠가는 봄이 오겠지. 아마 금년에는 봄이 다른 때보다 더 빨리 올거야!”하는 기대감에 살았다. ‘썸머 타임’이 시행된 지 일주일 만에 정확히 지...
    Views94795
    Read More
  10. No Image

    개 팔자의 격상

    동물 중에 사람과 가장 가까운 존재가 개일 것이다. 개는 어디에나 있다. 내가 어릴때에도 동네 곳곳에 개가 있었다. 그 시절에 개는 정말 개 취급을 당했다. 개집도 허술했고, 있다고해도 지저분하기 이를데 없었다. 개가 먹는 것은 밥상에서 남은 음식찌꺼...
    Views6815
    Read More
  11.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 5/7/2013

    사람은 물과 함께 태어나 평생 물을 먹고 물에서 살다가 간다. 그래서인지 물에 들어가면 누구나 어린아이가 된다. 물놀이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다. 물과 접촉하는 순간부터 사람은 원초적인 행동을 시작한다. 헤엄을 치고 궨시리 물을 때려보고 다른 사람을 ...
    Views84363
    Read More
  12. 강남 스타일 9/23/2012

    요사이 한국에서뿐 아니라 한류의 흐름을 따라 해외로 번지고 있는 노래가 있다. 바로 가수 ‘싸이’가 부른 “강남스타일”이다. 전자 악기가 분위기를 주도하고 비트를 강하게 넣고 같은 멜로디가 반복되는 노래이다. 가사도 중간 중간...
    Views83246
    Read More
  13. 감탄은 사람을 행복하게 한다 10/8/2011

    한국에서 한창 뜨고 있는 김정운 교수가 쓴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라는 책이 있다. 처음에는 ‘간이 바깥으로 나온 사나이구먼’하며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그런데 책의 내용이 매우 감각적이었다. 그 중에 “한국 ...
    Views74104
    Read More
  14. 감성 고뇌

    가을이 왔는가보다 했는데 한낮에 내리쬐는 햇살의 농도는 아직도 여름을 닮았다. 금년은 윤달이 끼어서인지 가을이 더디 오는 듯하다. 따스한 기온이 고맙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가을 정취에 흠뻑 취하고 싶어 하는 감성적인 사람들에게는 은근히 방해가 되는...
    Views60190
    Read More
  15. 감동의 우물 사랑의 캠프 8/20/2012

    장애인들은 일 년 동안 이날을 기다린다. 미주 동부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은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나듯이 캠프에서 만나 사랑을 나눈다. 언제나 그렇듯이 친근한 인사가 오가고 가족처럼 포근한 대화가 우물을 감동으로 일렁이게 하면 ...
    Views75889
    Read More
  16. 감나무와 밤나무 9/12/2014

    부부들은 말한다. “저 사람과 나는 달라도 너무 달라요!” 아주 멋져 보이는 부부를 보고 누군가 부러운 듯이 말을 건넨다. “참 좋으시겠어요. 저런 분과 함께 살아서” 그런데 정색을 하며 대답하는 아내의 말이 걸작이다. “그...
    Views85946
    Read More
  17. 가족 사진

    “옥한흠 목사님”(사랑의 교회 원로)이 세상을 떠나 하관예배가 진행되는 중에 갑자기 옥 목사의 차남 ‘승훈’씨가 “아버지의 관 앞에서 가족사진을 찍겠다.”고 말했다. 동석한 1,000여명의 성도들은 저으기 당황했다. 집...
    Views66041
    Read More
  1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3912
    Read More
  19.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8373
    Read More
  20. 가을이 간다 12/1/2012

    아침 저녁 일교차가 심해지더니 이내 차가운 가을의 입김이 매섭다. 어느새 가을이 가고 있다. 다행히도 태풍에 다 날아가 버린 줄 알았던 색깔바랜 단풍들이 가녀린 손짓을 하며 아직도 가을이 머물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가을은 습도가 없어 좋다. 상쾌한 ...
    Views750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