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4.28 17:14

버려진 아이들

조회 수 539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Resized_20150122003959_0.jpg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해 손가락 네 개를 잃었다. 한 몸 챙기기도 어려웠던 아버지는 경호를 고아원에 보낼 생각도 했지만 차마 그러지는 못했다. 어렸을 때부터 경호는 아버지와 얼굴 볼 시간이 적었다. 경호의 집은 서울이었고 아버지는 지방에 있는 공장에 다녔다. 무슨 일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늘 피곤에 절고 술에 취해 밤늦게야 들어왔다. 집세는 항상 밀려 있었고 아버지는 ‘툭’하면 경호에게 폭력을 행사했다.

 

 성장한 경호에게서도 폭력성이 나타났다. 학교에서 늘 친구들을 때리고 괴롭혔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처음 가출을 해봤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엔 진학을 못한 채 2년을 놀았다. 후에 입학한 중학교에 들어가서도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 친구들을 꼬드겨 학교 수업을 빼먹는 일이 잦았다. 출석일수 중 73일을 빠질 정도였다. 무면허로 오토바이를 타다 경찰서에 잡혀가기도 했다. 학교에 다니는 의미도 못 찾고 아버지한테 잔소리 듣고 얻어맞는 것도 지겨워진 경호는 올해 본격적으로 가출을 했다.

 

 거리에서 만만한 아이들을 골라 돈을 빼앗거나 지하도에서 앵벌이를 했다. 돈이 조금 생기면 PC방에 가서 밤을 지냈고, 돈이 많으면 찜질방에서 잤다. 밤 10시 이후에는 미성년자들의 출입이 통제되는 곳이지만 소주를 마시고 들어가면 아무도 잡지 않았다. 돈이 없으면 지하 주차장에서 밤을 지새워야 했다. 밥은 앵벌이 한 돈으로 사먹거나 식당에서 사정을 해 얻어먹었다. 그것보다는 편의점에서 사 먹은 컵라면이 더 많았다. 거리에서 오가다 만난 5명이 이렇게 몰려다녔다. 지난 4월말 <청소년 쉼터>를 찾았지만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혜미”(女)는 19살이다. 지난 겨울, “혜미” 친구 “정현”이와 공원 화장실에서 덜덜 떨고 있었다. 밤을 넘기긴 해야겠는데, 갈 곳도 없고 바깥 날씨는 추웠다. 한 달 가량의 거리 생활 끝에 혜미는 청소년 상담전화인 ‘1388 전화’에 도움을 청했다. 혜미의 부모는 혜미가 산부인과 신생아실에 있던 일주일 사이 이혼했다. 이후 외가 집에서 자라던 혜미가 어머니를 처음 본 것은 아홉 살 때. 그때부터 어머니와 함께 살았지만, 혜미를 가졌을 때 아버지한테 많이 맞았다는 어머니는 그 화풀이를 고스란히 혜미에게 해댔다.

 

 “넌 어쩔 수 없이 낳은 거야”라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 16시간 동안 쉬지 않고 때린 적도 있다. 혜미가 뇌수막염을 앓아 자리에 누웠을 때는 집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혜미는 ‘이대로 살다가는 죽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5년 전부터 가출을 시작했다. 몇 차례 가출과 보육원 생활을 반복하다, 지난해부터는 낮엔 거리를 헤매고 밤엔 친구 집에서 잠만 자는 생활을 했다. 이를 못 마땅히 여기는 친구 어머니 때문에 결국 지난해 말 친구 집에서도 나올 수밖에 없었다.

 

 한겨울, 본격적인 거리 생활이 시작됐다. 공원 같은 곳에서 밤을 새우고 찜질방이나 PC방에 가기도 했다. 돈이 떨어지면 앵벌이를 하거나 어린 아이들 돈을 빼앗았다. 공원에서 밤을 새우게 되면 온 신경이 곤두섰다. 친구인 정현이와 밤늦게 공원에 앉아 있는데 어떤 아저씨가 다가와 몸을 더듬어 황급히 도망친 적도 있었다. 그렇지만 집에 들어가겠다는 생각은 단 한 번도 들지 않았다. 무엇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지 알기 때문이다. 설사 어머니가 때리지 않고 천사처럼 잘 해주더라도 과거의 일은 결코 지워질 수 없을 것만 같았다.

 

 서울 ㄱ쉼터로 옮겨진 혜미는 정신과 진료에서 정서불안과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6달 가량 쉼터 생활을 한 혜미는 곧 성인이 되고 퇴소 날짜가 다가올수록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지 막막한 심정뿐이다. 검정고시 공부를 시작했다는 혜미는 스스로 다짐하듯 말했다. “검정고시 통과하면 취직은 되지 않겠어요?” 이렇듯 버려진 아이들이 곳곳에서 자라나고 있다.

 그들의 상처, 아픔은 분노와 증오로 분출되고 있다. 이 땅에 버려진 아이들을 위해 기도하자.

 

 


  1.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3943
    Read More
  2.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39670
    Read More
  3.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5869
    Read More
  4. 벼락치기 5/29/2013

    학창시절에 벼락치기를 안 해 본 사람이 있을까? 줄곧 수석을 달리거나 공부에 절대적 취미(?)를 가진 친구 아니고는 누구나 벼락치기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우리세대는 시험세대이다. 중학교 입학시험부터 학기 중에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며 학업...
    Views62814
    Read More
  5. 베이비부머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년~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
    Views14060
    Read More
  6.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3997
    Read More
  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1824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0398
    Read More
  9.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7112
    Read More
  10.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21149
    Read More
  11.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7671
    Read More
  12.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21410
    Read More
  13.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0682
    Read More
  1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6248
    Read More
  1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4831
    Read More
  16.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2400
    Read More
  17.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6264
    Read More
  18. 받으면 입장이 달라진다

    사람이 이 땅에 산다는 것은 “관계”를 의미한다. 숙명적인 “가족 관계”로부터 자라나며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장성하여 가정을 꾸미면 “부부관계”가 형성된다. “인생은 곧 관계”...
    Views8143
    Read More
  19.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9382
    Read More
  20.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03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