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6:10

생각의 힘 10/29/2012

조회 수 668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1336107542.jpg

 

사람이 미물보다 우월한 것은 생각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일찍이 파스칼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고 했다. 흔들리고 휘청거리는 나약한 존재지만 ‘생각’을 하기에 위대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사람은 생각을 통해 꿈을 이루고 생각을 통해 찬란한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친한 사이나 자녀들과의 관계 속에서 가끔 외치는 소리가 있다. “생각 좀 하고 살아라!” 실로 생각 없이 살아가는 듯한 사람들이 있다. 왜 그럴까? 현대 문명이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조련(?)해 놓았기 때문이다. 편리함에 익숙해 지다보니 굳이 생각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며 살아간다.

어린 시절 ‘구구단’을 처음 외우던 때가 생각이 난다. 머리가 터질 정도로 리듬을 타며 “이일은 이, 이이는 삼, 이삼은 육…”을 외쳐댔다. 그러다가 또 놓쳐버리고 며칠, 몇 날을 중얼거리며 ‘구구단’을 외웠다. 그러면서 함께 해야 하는 것이 있었다. “주산”이었다. 이상하게 나는 주산 놓는 실력이 없었다. 차라리 암산이 빨랐다. 내 친구는 주산의 달인일 정도로 ‘주판알’을 잘 튕겼다. 셈을 하다가 얻는 유익은 자신도 모르게 생각하는 훈련에 돌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은 계산기가 다 해준다. 누구든지 이제는 계산할일이 있으면 계산기(휴대폰)부터 꺼내든다. 그러다보니 사람들은 이제 ‘생각 게으름 병’에 걸린 것 같다. 생각하는 것 자체를 피곤해 한다. 대화를 할 때에도 깊은 이야기가 거의 없다. 생각이 깊지 못하니 관계도 진지해지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서로의 마음이 통하는 것처럼 삶의 행복도 드물다. 그런데 생각 없이 살다보니 대화가 헛돌게 되는 안타까움이 반복된다.

나의 상담 멘토이신 정태기 박사님은 항상 그런 말씀을 하셨다. “사람이 행복하려면 과거의 아름다웠던 장면을 자주 떠올려야 한다.”고. 그래서 나는 사역이 힘들고 지칠때면 조용히 앉아 눈을 감고 추억여행을 떠난다. 내가 자라나던 동리 뒷동산의 정겨움. 개울을 막아 깊은 물웅덩이가 된 산기슭 구정배의 자태. 그렇게 높지 않은 구릉에 자리를 잡고 바라보던 철길과 그 위를 달리는 기차의 숨가뿐 달음질. “하나, 둘, 셋” 그렇게 차량을 세며 꿈을 키우던 때를 기억해 낸다. 그리고 처음 먹던 ‘짜장면’. 처음 보던 백열등의 밝은 광채, 처음 만졌던 키타, 처음 보던 영화, 처음 만났던 추억의 얼굴, 얼굴들. 그러다보면 절로 행복해 진다.

그럼 행복을 주는 생각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저녁노을’ ‘산들바람’ ‘동산’ ‘따스한 햇빛’ 추운 겨울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아이들은 따스한 햇볕이 내리쬐는 양지 녘에 옹기종기 모여앉아 이야기꽃을 피웠다. 두툼한 외투도 없던 시절에 따스한 햇볕은 우리의 꿈이었고 동화였다. ‘달콤한 음악, 꽃향기, 파란하늘, 뭉게구름.’ 여행에서 만나는 장면들이 사람에게 행복을 준다.

힘을 주는 생각들이 있다. “사랑, 평화, 자발성, 화해, 용서, 용기, 희망, 기쁨, 시작, 끝내기, 합창, 정상.” 재미있는 생각들은 무엇일까? “웃음, 달리기, 영화, 오디오 만지기, 자전거 타기, 산책하기, 정원 가꾸기, 책읽기, 건축하기.” 신나는 생각들이 있다. “인간변화, 열정, 욕망실현, 새출발, 깨달음, 성공, 아름다움, 빨강 양말, 삶의 예술.” 우리는 지금도 생각을 하며 살고 있다. 성경은 말한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즉”(잠언 23:7) 그렇다. 생각이 곧 그 사람이다.

생각의 힘은 위대하다. 목사의 가정에서 태어난 라이트 형제는 ‘새처럼 사람도 날수 없을까?’라는 생각을 하다가 비행기를 발명해 냈다. 급작스럽게 어머니를 여읜 포드는 ‘좀 더 빠른 이동수단이 없을까?’하다가 자동차를 발명했다. 에디슨은 생각의 생각을 거듭한 끝에 천개 이상의 기가 막힌 문명들을 발명해내어 인류 발전에 공헌했다. 생각해야 한다. 좀 더 밝고 긍정적인 생각에 빠져들어야 한다. 그러다보면 나도 행복해 지고 주위 사람들과 세상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복된 인생을 살 수 있다.


  1. 부부는 거울이다 8/31/2011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관계가 부부이다. 전혀 다른 집안과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두 사람이 어느 날 부부라는 이름으로 한 이불을 덮는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처음에는 한눈에 반해서, 서로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이어서 부부가 되...
    Views66973
    Read More
  2. 장애인은 아름답습니다 3/8/2014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
    Views66940
    Read More
  3.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6918
    Read More
  4. 뒷곁 풍경 9/4/2012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
    Views66876
    Read More
  5. 요령의 미학 6/13/201

    내가 할 수 있는 음식은 전무하다. 라면이야 누구나 끓이는 것이고 요리라 이름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나는 없다. 단, 밥은 잘한다. 이것은 내 아내와 아이들도 인정을 하는 면이다. 아마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자취를 한 이력 ...
    Views66865
    Read More
  6. 생각의 힘 10/29/2012

    사람이 미물보다 우월한 것은 생각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일찍이 파스칼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고 했다. 흔들리고 휘청거리는 나약한 존재지만 ‘생각’을 하기에 위대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사람은 생각을 통해 꿈을 이루고 ...
    Views66841
    Read More
  7. 기분 좋은 상상 12/9/2013

    평생 건강하게 사는 사람은 장애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한다. 장애인에게는 모든 것이 꿈이요, 기적이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지극히 평범한 일들을 장애인들은 평생 꿈으로 바라보며 산다. 삼중고(시각, 청각, 언어장애)의 고통을 끌어안고 살았던 헬렌켈러의 ...
    Views66815
    Read More
  8. 45분 아빠

    최근 해외의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아빠의 마지막 45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진 속에는 위독해 보이는 한 남성이 산소마스크를 낀 채 신생아를 안고 있다. 무슨 사연일까? 52세의 “Mark”라는 환자가 있었다. 생...
    Views66806
    Read More
  9.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66667
    Read More
  10. 실수가 아니란다! 11/4/2013

    임마누엘교회(김태권 목사 시무)에서 개최하는 “새생명축제”의 강사로 시각장애를 가진 분이 오신다는 소식을 접하고 은혜의 자리에 동참하게 되었다. 시각장애인인 부모님 밑에서 시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그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심히 어려웠...
    Views66623
    Read More
  11. 시각 장애 골퍼의 희망샷 8/5/2013

    캘리포니아 “우들랜드”에서 태어난 초등학교 2학년 남자 아이가 발렌타인스데이를 맞아 엄마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기위해 플라스틱 파이프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었다. “‘테디 베어’가 그려진 작은 펜스를 엄마에게 선물로 주...
    Views66620
    Read More
  12. 아내가 대들면 나는 돌아요 9/16/2013

    한국에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만난 한 가정의 이야기이다. 잔뜩 화가 난 것일까? 아니면 술을 한 잔 걸친 것도 같다. 나이는 얼핏 40대 후반은 된 것 같은 남자가 찾아왔다. 우선 “과거 탐사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는 질문을 던진다. “나...
    Views66614
    Read More
  13. 내 심장을 쏴라! 9/9/2013

    한 소설가가 있었다. 그녀는 갑자기 정신병원에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은 영감에 사로잡힌다. 아무리 상상력이 풍부하다 할지라도 정신병원 이야기를 추측으로만 쓸 수는 없었다. 그녀는 정신병원에 직접 들어갈 획기적인 발상을 하게 된다. 작가는 선...
    Views66532
    Read More
  14. 아내의 빈자리 8/20/2012

    항상 곁에만 있던 아내가 한국에 갔다. 10년 만에 고국방문이다. 무려 한 달간의 일정을 잡고 둘째와 함께 떠난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아내와 아이가 떠나는 날에 한국에서 네 명의 손님들이 우리 집에 당도했다. 한국 밀알의 단장들이었다. 적적해 질 수 밖...
    Views66452
    Read More
  15. 어느 장애인의 넋두리

    나는 지체장애인이다. 어릴 때부터 온몸을 흔들고 다니는 것이 수치스러워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왔다. 이제 내 나이 스무살. 모든 것이 예민해지는 세대를 살고 있다. 요사이 아는 누나와 ‘썸’아닌 ‘썸’을 타고 있다. 누나는 청...
    Views66440
    Read More
  16.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6428
    Read More
  17. 남자를 위하여 4/12/2014

    이 지구상에 반은 남자이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남자들이 지구의 반을 디디고 살고 있다. 도대체 남자는 누구인가? 내가 어릴 때만해도 한국은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아버지가 가정의 축이었다. 새 학기에 작성하는 생활조사서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
    Views66404
    Read More
  18.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6278
    Read More
  19. 당신의 운을 점쳐 드립니다!

    “운이 없어서 부도 당했다” “운이 없어 동업자를 잘못 만났다” “운이 없어 시험에 떨어졌다” 사람들은 “운”(運)에 대한 말을 많이도 하고 산다. 결국 “운”은 있는 것일까? 있다고 하더라도 &ldq...
    Views66168
    Read More
  20. 부부싸움은 진정 '필요악'인가?

    부부는 대체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만난다. 비슷한 성격의 부부가 만나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밋밋한 삶을 살거나, 극단적으로 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은 힘들어 보이지만 역동성이 있고, 몇 번의 고비를 넘어가고 나면 환상의 콤비가 되는...
    Views660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