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6.25 14:57

마음의 빗장을 열고

조회 수 564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310302637_IMG_1992.jpg

 

 한국 사람의 언어 중에 독특한 단어가 “우리”이다. ‘우리나라, 우리 학교, 우리 동네’로부터 심지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이라고 한다. 외국사람들이 처음 들으면 기절초풍을 한다. ‘아니 아내(남편)가 저리도 많고, 그것에 대해 전혀 어색함 없이 드러내다니?’ 설명을 듣고 나서야 고개를 ‘끄덕’인다. 사실 “우리”라는 단어는 “울”에서 왔다. ‘울타리’ 할 때에 그 ‘울’이다. ‘울’은 줄어들기도 하지만 늘어나기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때와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영역인 것이다. 옛날 세 들어 살던 방이 생각난다. 좁디좁은 방인데 손님이 오면 ‘꾸역꾸역’ 다 들어찼다. 해서 ‘고무줄 방’이라 불렸다.

 

 작년 초에 신드롬을 일으켰던 드라마가 있다. “응답하라 1988” 사람들이 열광했던 이유는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그 시간으로 돌아간 듯한 향수 때문이었다. 그 시절에는 그랬다. 이웃이 친근했고, 매일 얼굴을 맞대고 ‘미주알고주알’ 일상을 나누며 살았다. 슬픔을 당한 이웃의 짐을 자연스럽게 나눠지려했고, 기쁜 일이 있으면 내 일처럼 환호했다. 가난했지만 소박했고 풍성하지 않았지만 마음은 넉넉했다. 부침개라도 부치면 서로 나눠먹고, 집 앞에 평상은 동네소식을 나누는 기지였다.

 

 그런데 세상이 변하면서 “우리” 개념은 희석되기 시작했다. 1988년 올림픽의 여파가 그리 큰지 몰랐다. 올림픽을 통해 “KOREA”는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관광객들이 몰려들고 세계 오퍼상들이 입국하며 한국 경제는 솟구치기 시작했다. 급속한 경제성장은 결국 핵가족화와 개인주의를 확산시키기에 이른다. ‘정’(情)과 ‘우리’를 강조하던 한국사회의 가치관은 빠른 속도로 와해되어 버렸다. 이제는 옆집에 “누가 사는지?” 관심도 없고 알 필요도 느끼지 못한다. 점점 고립된 공간에 익숙해지며 철저히 “나”를 중심으로 살아가는 건강하지 못한 세상이 되어버렸다.

 

 연이어 터져 나오는 아동학대 사건을 보면 옆집아이가 수개월 보이지 않아도 이웃은 “전혀 몰랐다”고 한다. 게다가 독거노인이 죽어가도 상당한 시간이 지나간 후에야 발견되는 삭막한 세상이 되어버렸다. 홀로 외롭게 살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가 지난해 1,200여명이 넘었다는 통계청의 발표가 별로 놀랍지도 않다. 사람은 ‘관계’하지 않으면 사람이 아니다. “人間”이란 단어가 이미 삶의 정체성을 가르쳐주고 있다. 삶은 “관계”이다. 따라서 “공부 잘하는 아이, 똑똑하고 우수한 아이, 대단한 능력이 있는 아이”로 키우기보다 “더불어” 살아갈 줄 아는 아이로 양육해야만 한다.

 

 사람들은 처음에 다 ‘정’(情)과 ‘우리’ 개념으로 이웃과의 관계를 시작한다. 그런데 실타래가 얽히듯이 사람에게 실망을 하고나면 ‘사람 만나는 것이 무서워지는 병’을 앓게 된다. 전화벨이 울리면 설레이던 마음은 이제 ‘두려움’이 엄습해 오는 단계로 악화된다. 그토록 정을 주었건만 돌아온 것은 배신과 상처뿐이다. 그때부터 마음 문에 빗장을 닫아 걸어버린다. 아무하고도 소통을 하려 하지 않는다. 그런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사랑의 상처는 새로운 사랑으로 치유해야 한다.” 맞다. 관계에서 받은 상처를 덮으려고만 하면 상태는 점점 악화된다.

 

 힘들지만 새로운 이웃을 만나야 한다. 이 세상에는 아직도 착하고 다가가고 싶은 따스한 가슴을 가진 사람들이 훨씬 많다. 그런데 그 직면하는 것이 생각처럼 안 된다. 죽기보다 싫다. 누가 수술대에 오르기를 바랄까? 누가 고통스러운 수술을 즐겨할까? 하지만 수술이 아니면 죽을 수밖에 없기에 환자는 그 과정을 싫어도 거쳐야 한다.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힘들지만, 아프지만 또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추억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거치며 온전한 나를 발견하게 된다.

 

 자, 둘러보면 다 상처받은 사람들이다. 그 사람의 인생스토리, 지금 처한 환경을 들어보면 내 상처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래서 사람은 사람을 통해 ‘힐링’을 받게 된다. 문을 열어야 한다. 그리고 만나야 한다. 입을 열어 말해야 한다. 그것이 삶이요. 행복해 지는 유일한 비결이다.


  1. 명품

    누군가는 명품 스포츠용품만 애호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흔히 신는 운동화 하나가 그렇게 고가인 줄은 전혀 몰랐다. 20년 전, 로스앤젤레스에 살고 있을 때이다. 한국에서 절친이 찾아왔는데 갑자기 “‘로데오거리’를 구경하고 싶다&rdquo...
    Views7833
    Read More
  2.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7170
    Read More
  3. 멕시코 땅 “엔세나다” 2/11/2011

    지난 1월 12일(수) 폭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나는 L.A.행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 밀알선교단 행사와 집회인도를 위해서였다. 혹한의 겨울날씨가 맹위를 떨치는 필라델피아와는 달리 L.A.는 코발트색깔의 하늘과 매일 75˚를 유지하는 쾌적한 날씨가 이어...
    Views66642
    Read More
  4. No Image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고교 시절에 가장 많이 읽었던 책은 박계형의 소설이었다. 그녀의 소설은 우선 단순하다. 그러면서도 책을 읽다가 실눈을 뜨고 ‘뜨락’을 바라보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간혹 야한 장면이 여과 없이 표현되어 당황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사춘기 ...
    Views4430
    Read More
  5. 맥도날드 할머니

    인생은 참으로 짧다. 하지만 그 세월을 견디는 순간은 길고도 지루하다. ‘희희락락’하며 평탄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은 드물다. 반면 ‘기구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험난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일명 ‘맥도...
    Views62350
    Read More
  6.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21530
    Read More
  7. 만남이 인생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것이 있다면 “만남”이다. 다른 말로 하면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잘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관계를 잘한다.”는 것이다. 가진 것이 많아도, 지식과 교양이 높아도 관계를 ...
    Views55535
    Read More
  8. 마음이 고프다 4/1/2013

    사춘기에 접어들며 나는 식탐하는 습관이 생겼다. 음식을 보면 도가 지나칠 정도로 집착을 했다. 우리 집안 내력이 대식가라는 것을 차치하고라도 정말 음식을 잘도 먹었다. 어머니는 항상 “福”자가 그려진 ‘대밥그릇’에 고봉으로 밥...
    Views73587
    Read More
  9. 마음의 빗장을 열고

    한국 사람의 언어 중에 독특한 단어가 “우리”이다. ‘우리나라, 우리 학교, 우리 동네’로부터 심지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이라고 한다. 외국사람들이 처음 들으면 기절초풍을 한다. ‘아니 아내(남편)가 저리도 ...
    Views56467
    Read More
  10. No Image

    마음 속 어린아이

    사람은 누구나 궁금함에서 삶을 시작한다. 그것을 호기심이라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다. 사람의 즐거움은 다양하다. 우선 오감을 자극시켜 주는 즐거움이 있다. 사람의 인지능력은 시력을 통해 가동되는 경향이 높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고 싶...
    Views6034
    Read More
  11. 로봇다리; 세진 엄마

    내가 배 아파 낳은 자식을 키우기도 힘이 드는데 아무 연고도 없는 아이를 입양하여 멋지게 사는 분이 있다. “양정숙”씨(47)는 장애인 시설 자원봉사를 갔다가 운명처럼 만난 “세진”이를 아들로 입양한다. 그것도 두 다리와 오른손 ...
    Views73008
    Read More
  12.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19801
    Read More
  13. 또 다른 “우영우”

    지난 23일. 대구에서 30대 엄마가 자폐 증세가 있는 자신의 아이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했다. 2살 아들을 흉기로 살해한 뒤 아파트 베란다 아래로 뛰어내려 숨진 것이다. 집 안에서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라는 내용을 담은 유서가 발견되...
    Views7653
    Read More
  14. 떠나가는 분을 그리며 12/26/2011

    9년 전 필라델피아에 와서 밀알사역을 감당하면서 눈에 들어온 후원자의 이름이 있었다. 특이하게 이름이 네 자였다. “남궁” “독고” “황보”성을 가지신 분들은 자연스럽게 이름이 네자가 나올 수 있지만 그분은 나처럼 &...
    Views67024
    Read More
  15. 떠나가는 배  9/20/2010

    나는 어린 시절부터 강가에서 살았다. 태어난 곳은 전혀 강이 없는 “포천”이지만 8살 때부터는 경기도 “양평”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을 오가며 많은 것을 가슴에 담았다. 나중에는 서울 “한강”을 바라...
    Views67599
    Read More
  16.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6219
    Read More
  17.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39436
    Read More
  18. No Image

    등대

    항구마다 바다를 마주한 아름다운 등대가 있다. 등대는 가야 할 길을 몰라 방황하는 배와 비행기에 큰 도움을 주며, 때로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등대 빛을 알아볼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광달거리’라 한다. 한국에서 광달거리가 큰...
    Views4614
    Read More
  19.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5265
    Read More
  20.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75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