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6:23

변산공동체 1/28/2013

조회 수 685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8217427_orig.jpg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부철학자” ‘윤구병’씨이다. 1995년 대학 교수직을 접고 전북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에 만든 공동체 마을이다. 20여 가구 50여명이 모여 살며 논, 밭농사를 짓고, 젓갈, 효소 등을 만들어 <대안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은 전통 재래식 화장실을 이용하고, 아궁이에 불을 때며 화장실에 왕겨나 재를 뿌려 만든 퇴비로 각종 작물을 길러 자급자족하는 삶을 직접 체험하며 살고 있다.

윤 씨는 “오로지 시골만이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곳이라.”고 주장한다. “식구란 밥상에 둘러앉는 사람들”이라는 그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나는 시골출신이다. 그렇다고 우리 가정이 농사를 지으며 산 이력은 없다. 시골에서 태어나 흙냄새를 맡으며 16년을 살았다. 어쩌다 서울에 가보면 화려한 분위기가 너무 부러웠다. 무엇보다 수세식 화장실은 정말 천국이었다. 나는 전기를 초등학교 5학년 때에 처음 만났다. 몇 년 전에 미국인 한분과 대화중에 “나는 어릴 때 전기 없이 살았다.”고 말하자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으로 나를 쳐다보았다. 실로 해가 뜨면 낮이고 해가 지면 밤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어떻게 살았을까?’하지만 그때는 그러고도 행복했다. 이제는 편리해 질대로 편리해 진 세상이 되었다. 하지만 삶은 점점 더 삭막해 져 가는 것 같다. 나이가 들면서 ‘삶은 단순해야 행복하다.’는 진리를 깨닫는다. 변상공동체 대표인 “윤구병”씨는 전남 함평에서 9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구병’이가 됐다. 위로 여섯 아들을 잃은 아버지는 남은 자식들을 농사꾼으로 만들겠다고 결심하고 학교를 보내지 않았다. 열두살이 되어서야 사촌형이 부친을 설득하여 학교에 다닐 수 있었고 고교시절에는 잠시 출가를 꿈꾸기도 했다.

서울대에서 철학을 공부하고는 한국 ‘브리태니커’社에 들어갔다. ‘뿌리 깊은 나무’ 초대 편집장을 거쳐 충북대에서 철학을 가르치면서 틈틈이 어린이 그림책을 만들었다. 인세는 사회변혁을 꿈꾸는 젊은이들의 활동자금이 되기도 했다. 그런데 50이 넘어서며 갑자기 “농사꾼이 되겠다.”며 변산으로 향한다. 대안학교를 설립하고 공부에 취미도 소질도 없는 아이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처음 입학을 하려면 학교지침에 따를 것에 대한 서약서를 부모에게 받는다. 핸드폰은 물론 TV나 컴퓨터 등 일체 매스컴을 접촉할 수 없는 삶이 시작된다. 처음에는 힘들어하지만 두주만 지나면 적응이 되고 자유로운 아이들의 표정을 만난다.

어느새 초등 10명, 중등 19명, 고등학생이 13명이다. 교육부에서 인정하는 학교가 아니기에 검정고시를 쳐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는 진정한 교육은 “아이들이 머리를 쓰게 만들면 안 된다.”고 역설한다. 공부는 세 시간만 하고 땅을 일구게 해야 한다나. 조금은 너무 극단적이다 싶지만 학교가 끝나면 별별 학원을 전전하며 살아가는 요즘 아이들을 생각하면 획기적인 전환교육이 필요한 것도 같다. 변산에는 가을이 되면 곳곳에 익어가는 감의 향연이 볼만하다. 유난히 감나무가 많은 변산에는 늦가을 감을 깎아 곶감을 만드는 것이 큰일이다. 윤구병씨는 “일손이 줄어들면서 관리하기 쉽다는 이유로 감나무 밭만 늘고 있다.”며 점점 사람 구경하기 힘든 농촌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내가 시골에서 살아온 때를 돌아보면 공부보다는 자연과 접하는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다. 나무, 시냇가, 하늘, 구름, 비, 눈. 그리고 온갖 곤충과 생물들. 그런 것들과 어우러지며 꿈을 키웠다. 그때는 시골에서 사는 것이 그냥 그랬는데 나이가 들어보니 그 모든 것이 추억이고 글을 토해내는 자산인 것을 깨닫는다. 삶이 풍족해 지려면 “심심”해야 한다. 그리고 “단순”해야 한다. 그런데 지금은 초스피드 시대이다. 심심할 여가가 없다. 복잡다단하다. 잡은 것 같은데 손을 펴보면 공허하다. 있는 것 같은데 아무것도 없다. 흙을 일구고 흙과 더불어 살아가는 “윤구병”씨가 그래서 한없이 부럽다. 공동체가 좋은 것은 “정”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새해를 맞은 변산공동체는 “정”이 있어 겨울이 오히려 따뜻하다.


  1. No Image

    <2019년 첫 칼럼> 예쁜 마음, 그래서 고운 소녀

    새해가 밝았다. 2019년 서서히 항해를 시작한다. 짙은 안개 속에 감취어진 미지의 세계를 향해 인생의 노를 젓는다. 돌아보면 그 노를 저어 온지도 꽤나 오랜 세월이 지나간 것 같다. 어리디 어린 시절에는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만큼 어른들은 할 수 ...
    Views48627
    Read More
  2. No Image

    '무’(無)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ls...
    Views6884
    Read More
  3. '쉼'의 참다운 의미

    어느 무더운 여름, 한 목사님께서 하와이 소재 교포 교회에서 부흥회를 인도하는 중에 잠시 해변을 거닐게 되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담임하는 교회에 노 장로님 부부를 그곳에서 마주치게 되었다. 목사님은 너무도 반가워 두 손을 잡았더니 장로님 부부...
    Views76007
    Read More
  4. 0시의 다이얼 6/19/2015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아니 너무도 사랑한다. 집에 있을 때나 차를 운전할 때에도 항상 음악을 즐겨 들으며 산다. 목사라고 찬송이나 복음성가만 듣지 않는다.즐겨 듣는 음악의 장르는 다양하다. 클래식부터 발라드, 락(Rock)까지 비오는 날에는 7080 가요를...
    Views83875
    Read More
  5. 113Cm 엄지공주 “박찬미” 8/3/2014

    이 땅에는 “저신장증”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분들이 있다. 다른 말로 그 분들을 “난장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신데렐라와 일곱난장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등의 동화에서 혹은 서커스 공연을 하...
    Views85371
    Read More
  6. 15분 늦게 들어선 영화관

    이미 영화가 시작된 극장에 들어서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더듬거리며 자기가 예약한 자리를 찾아가는 것은 고역이다. 그런데 이미 극장 안에 앉아 있는 사람이 볼 때는 그런 사람의 모습이 ‘우스꽝’스럽기 그지없다. 환히 보이는 극장 안을 ...
    Views88506
    Read More
  7. 1회용

    바야흐로 1회용품이 상용화된 시대이다. 컵부터 시작하여 세면용품, 밴드, 도시락, 가운, 렌즈, 면도기, 카메라, 기저귀, 주사기, 다양한 모양의 그릇까지 요즘에는 일회용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실로 1회용품 홍수시대이다. 1회용품 중에는 한번 쓰고 ...
    Views22887
    Read More
  8. 2013년 첫 칼럼 새롭게 하소서! 1/10/2013

    새해가 밝았다. 그동안 친근하게 지내오던 2012년을 떠나보내니 신선한 새해가 목덜미를 내어민다. 새로운 것을 접촉하는 것은 행복한 경험이다. 어린 시절 설빔을 입고 온 동네를 뽐내며 걸어 다니던 경험들을 모두가 가지고 있다. 엄마가 장에서 사 오신 새...
    Views74692
    Read More
  9. 2014 첫 칼럼 행복을 이야기합시다! 1/4/2014

    새해가 밝았다. 처음 시작하는 시점은 사람들에게 뜻 모를 설레임을 준다. 해가 바뀌면 영어로 ‘Reset’하는 기분이 들어 좋다. ‘Reset’이 무엇인가? “장치의 일부 또는 시스템 전체를 미리 정해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Views71948
    Read More
  10. 2015 첫 칼럼 (새해에는 예쁜 꿈 꾸세요!) 1/2/2015

    새해가 밝았다. 금년은 양띠 ‘을미년’이다. 이상하다. 띠를 무시하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는 것 같다. 그렇게 보아서 그런지 그래서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띠”에 따라 성격이 나타나는 것을 본다. ‘양띠’들은 대개 온순...
    Views80289
    Read More
  11. 2016년 첫 칼럼 나를 찾는 여행

    새해가 밝았다. 2016년이 시작되는 날이다. 사람마다 저마다의 소망을 품고 그 꿈이 이루어질 것을 간절히 바라며 신년호에 올랐다. 사람들은 만나면 서로를 알기위해 애를 쓴다. 고향부터, 가족과 친구관계. 그리고 그 사람의 취향과 재능까지 속속들이 알아...
    Views70968
    Read More
  12. 2017년 첫 칼럼 "미지의 세계로"

    새해가 밝았다. 60년 만에 찾아온 ‘붉은 닭띠 해’라며 사람들은 호들갑을 떤다. “띠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통계학으로 보면 혈액형, 고향, 인종, 띠는 전혀 근거 없는 낭설은 아니다. ‘그런 유형...
    Views65249
    Read More
  13.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8675
    Read More
  14. 2021년 첫칼럼 / 마라에서 엘림으로!

    새해가 밝았다. 듣도 보도 못한 역병이 창궐하며 지난해는 암흑으로 물들여졌었다. 사람들은 물론이요, 어느 장소, 물건을 가까이 할 수 없는 희한한 세월을 보냈다. 문제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언제 끝나게 될지 모를 절박한 상황이 새해라는 희망...
    Views21975
    Read More
  15. 2022년 새해 첫칼럼 / 인생열차

    ​ 2022호 인생열차가 다가왔다. 사명을 다한 2021호 기차를 손 흔들어 보내고 이제 막 당도한 기차에 오른다. 어떤 일들이 다가올지 알 수 없지만 오로지 기대감을 가지고 좌석을 찾아 앉는다. 교회에 나가 신년예배를 드림이 감격스러워 성찬을 받는 손길에 ...
    Views14072
    Read More
  16. 34살, 여자들의 사춘기 10/29/2012

    ‘30대’하면 20대의 어설픔을 넘어서서 완숙을 향해가는 아픔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남성에게 30대는 군대를 다녀오고 갓 결혼을 하는 시기라 할 수 있지만 여성은 이미 아이 둘 정도는 키우면서 엄마와 아내라는 이름에 익숙해져 가는 때이다...
    Views82933
    Read More
  17. 35m 다리에 올라간 사나이 10/24/2011

    지난 달 19일. 밤 8시경 부산 영도구 봉래동에 위치한 부산대교 위에서 한 남성이 “집 나간 아내를 찾아오지 않으면 뛰어내리겠다.”며 투신자살 소동을 벌였다. 다행히 급히 출동한 119 구조대원의 설득 끝에 3시간 만에 스스로 내려와 큰 화는 ...
    Views76775
    Read More
  18. 36.5°12/23/2013

    사람의 정상 체온은 36.5°이다. 기분이 좋아지면 체온도 함께 올라가며 몸이 더워진다. 더운 여름날에는 체온이 최고조에 이른다. 몸은 살기위해 땀을 분비함으로 체온을 조절하려 애를 쓴다. 반면 날씨가 추워지면 온몸에 소름을 일으켜 최대한 체온이 ...
    Views74820
    Read More
  19. 3월의 산은 수다스럽다

    경칩을 지나며 봄기운이 서서히 동장군의 기세를 몰아내고 있다. 그렇게 사계절의 입김을 쐬이며 나이는 숫자를 더해간다. 봄이 무척이나 기다려지던 때가 있었다. 산천초목이 흰눈에 뒤덮여 세상이 움추러들기만 하다가 꽁꽁 얼어붙었던 시냇물이 서서히 드...
    Views12877
    Read More
  20. 45분 아빠

    최근 해외의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아빠의 마지막 45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진 속에는 위독해 보이는 한 남성이 산소마스크를 낀 채 신생아를 안고 있다. 무슨 사연일까? 52세의 “Mark”라는 환자가 있었다. 생...
    Views680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