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8.04 23:51

밀알 캠프의 감흥

조회 수 565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사감동.jpeg

 

 매년 일관되게 모여 사랑을 확인하고 받는 현장이 있다. 바로 <밀알 사랑의 캠프>이다. 그것도 건강한 사람들의 모임이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 세월이 어느새 25년이다. 1992년 미주 동부에 위치한 밀알선교단(당시는 필라델피아, 워싱톤, 뉴저지, 뉴욕)이 연합하여 첫 캠프를 열었다. 참석인원은 50. 25년이 지난 지금 참석인원은 600명을 선회하고 있다. 처음 단장으로 캠프에 참가하며 이 많은 인원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염려와 의구심은 일사불란하면서도 역동적으로 진행되는 광경을 보면 입이 저절로 벌어졌다.

 

 그룹 홈에서 생활을 하거나 마음처럼 몸이 움직여지지 않는 장애인들에게는 사랑의 캠프가 천국을 경험하는 듯한 행복감과 성취감을 준다. 하기에 캠프가 끝나고 나면 장애인들은 다음 캠프를 손꼽아 기다린다. 그것은 같은 사람들끼리 만나는 것에 대한 편안함 때문이리라. 나도 불편하지만 저 사람은 더 불편하다. 그 아픔을 공유하며 함께 어울리다보면 그동안 나를 힘들게 했던 무거운 짐에서 자유 함을 얻는 희열을 경험한다. 어느 순간 위로받으러 왔던 내가 다른 사람을 위로하며 용기를 주고 있는 모습을 보며 스스로 놀라게 된다.

 

 캠프는 두 분야로 나뉘어 진행이 된다. “믿음(성인) 캠프사랑(아동) 캠프이다. 믿음캠프는 전통적인 예배를 드리며, 사랑 캠프는 오로지 영어로 진행된다. 25년을 한결 같이 참석한 분들은 흰머리가 하얗게 내려앉았다. 1년에 한번 만나는 사이지만 살갑기 그지없다. 금년 믿음캠프 강사는 서울에서 모셔왔다. 나이지리아에서 오랫동안 선교를 하시다가 지금은 사당동 삼광교회를 섬기시는 성남용 목사님은 시종 차분하면서도 심오한 말씀으로 장애인들의 가슴을 적셔주었다. 내게 남겨진 메시지는 사랑은 아픈 것이다.”였다. 사랑하기에 아파하고 사랑 때문에 희생하게 되는 원리를 새삼 깨달았다.

 

 아동 캠프는 3년 연속 김은예 전도사님이 말씀을 전해주셨다. 영어에 능통한 강사는 시종파워풀한 메시지로 장애 아동들과 발렌티어들에게 도전했다. 1세와는 전혀 다른 의식과 가치관을 가지고 사는 그들에게 영적충격을 주며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전도사님이 커보였다. 우리 필라 밀알에도 돌보기 힘든 아동들이 없진 않지만 다른 지단을 보며 위로를 받는다. 캠프와는 관계없이 한시도 앉아있지 못하고 움직이는 덩치 큰 청년 아닌 청년을 마치 경호원처럼 따라붙는 봉사자. 휠체어에 앉아 전혀 의사표시를 하지 못하는 장애인을 사랑으로 돌보는 봉사자. 그들이 있기에 캠프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유독 금년 캠프에 눈에 띄었던 친구는 휠체어에 앉아 미소 짓고 있는 뉴저지 밀알에 한 청년이었다. 말쑥한 얼굴에 스마트한 안경이 전혀 장애인 같지 않은 외모였기 때문이다. 캠프 마지막 날 그에 대해 확연히 알게 되었다. 그것도 그의 어머니의 간증을 통해서 말이다. 청년은 유수한 대학을 졸업하고 회사에 들어갔다. 워낙 여행을 즐겨해서 세계 곳곳을 다니며 견문을 넓혔고 부모님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효자였다. 그런데 꼭 1년 전에 몸에 문제가 왔고 의료사고로 하반신마비가 찾아왔다. 게다가 시력까지 잃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중증 장애인이 된 것이다. 그 사연을 듣다가 모두가 눈물바다를 이루었다. 앞을 내다 볼 수 없는 것이 인생사다.

 

 식사 때마다 어린 유스 그룹 학생들이 장애아동들을 달래며 식사를 먹이는 모습은 감동을 넘어 천국을 보게 한다. 필라 밀알 디렉터가 밤에 아이들 방을 점검하러 가보니 진정하지 못하는 장애아동에게 자장가를 불러주며 재우고 있는 모습을 발견했다는 말에 대견함을 느꼈다. 그렇다. 밀알선교단은 장애인 하나를 귀하게 여기는 소중한 곳이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낮은 곳에 계시는 하나님을 순간순간 만나게 하는 곳이 밀알이다. 흩어져 사역하던 밀알들이 더운 여름 한자리에 모여 주님의 사랑을 나누는 곳,

 

바로 사랑의 캠프이다. “내년에 또 만나요!” 가로 젓는 손에는 애절함이 배어있다.


  1. 고독은 가을을 닮았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만 되면 이상하리만큼 가슴 한켠이 비어있는 듯 한 허전함을 느낀다. 가을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마력이 있다. 젊은 날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을 곰곰이 되새기게 된다. 운전을 하며 지나치는 숲속을 주시하고, 우연히 마주친 장애인...
    Views64134
    Read More
  2. 밀알의 밤을 열며

    “목사님, 금년 밀알의 밤에는 누가 오나요?” 가을녘에 나를 만나는 사람들의 물음이다. 그렇다. 필라델피아의 가을은 밀알이 연다. 15년 전, 맨땅에 헤딩하듯 시작된 밀알의 밤이 어느새 15돌을 맞이한다. 단장으로 오자마자 무턱대고 기획했던 ...
    Views56610
    Read More
  3. 넌 날 사랑하기는 하니?

    “넌 나를 사랑하니?” 아이가 태어난 이후 남편은 가끔 섭섭함을 이렇게 토로했다. “사랑하지. 아니면 왜 같이 살겠어?” 남편은 찝찝한 표정을 지으며 혼잣말을 했다. “같이 산다고 사랑하는 건가?” 나도 남편에게 섭섭함...
    Views60033
    Read More
  4. YOLO의 불편한 진실

    바야흐로 웰빙을 넘어 ‘YOLO 시대’이다. ‘YOLO’란 ‘You only live once’의 약자이다. 한마디로 “인생은 한번 뿐이다.”라는 뜻인데 굳이 죽어라고 애쓰며 살지 말고 “오늘을 즐기라”는 것이다. ...
    Views66303
    Read More
  5. 슬럼프(Slump)

    어느 주일 아침, 한 집에서 어머니와 아들이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 아들이 하는 말 “어머니 오늘은 교회에 가고 싶지 않아요?” 깜짝 놀란 어머니가 외친다. “교회를 안가겠다니 그게 무슨 소리냐?” 아들이 대답한다. “첫째, ...
    Views59956
    Read More
  6. 밀알 캠프의 감흥

    매년 일관되게 모여 사랑을 확인하고 받는 현장이 있다. 바로 <밀알 사랑의 캠프>이다. 그것도 건강한 사람들의 모임이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 세월이 어느새 25년이다. 1992년 미주 동부에 위치한 밀알선교단(당시는 필라델피아, 워...
    Views56528
    Read More
  7. 구름을 품은 하늘

    처음 비행기를 탈 때에 앉고 싶은 좌석은 창문 쪽이었다. 날아오르는 비행기의 진동을 느끼며 저만치 멀어져 가는 땅과 이내 다가오는 하늘을 보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그 작은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창 쪽에 앉은 사람을 부러워하며 목을 빼고 밖을 주...
    Views61589
    Read More
  8. 아내 말을 들으면…

    결혼을 하고 처음부터 아내 말에 귀를 기울여 듣는 남편은 거의 없다. 가부장적 배경 속에 서 성장한 남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여자에 대해 급을 낮춰보는 경향이 있다. “어디 여자가? 여자가 뭘?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해요!”등 흔히 들었던 소리...
    Views57784
    Read More
  9. 그렇고 그런 얘기

    핸드폰을 들여다보던 딸이 소리친다. “아빠, 송중기, 송혜교가 결혼한대요. 그것도 10월이라네.” “그래? 와!” 온 가족이 갑자기 두 사람 결혼소식에 수선을 떤다. 아니, 두 사람과 인연은커녕 실제로 얼굴을 마주한 적도 없는데 말이...
    Views60613
    Read More
  10. 장애인인 것도 안타까운데

    사람들이 아주 평범하게 여기는 것을 기적처럼 바라며 사는 존재가 있다. 바로 장애인들이다. 이 땅에는 장애를 가지고 힘겹게 삶을 꾸려가는 사람들이 참으로 많다. 통계에 의하면 인류의 10%가 장애인이라고 한다. ‘10명중에 한명’은 장애인이...
    Views61585
    Read More
  11. 바람이 보여주는 빛을 볼 수 있다면

    바람이 분다. 얼굴에 머물 것 같던 바람은 이내 머리칼을 흔들고 가슴에 파고든다. 나는 계절을 후각으로 느낀다. 봄은 뒷곁에 쌓아놓은 솔가지를 말리며 흘러들었다. 향긋하게 파고드는 솔 향이 짙어지면 기분 좋은 현기증이 봄이 가까이 왔음을 알게 했다. ...
    Views57770
    Read More
  12. 마음의 빗장을 열고

    한국 사람의 언어 중에 독특한 단어가 “우리”이다. ‘우리나라, 우리 학교, 우리 동네’로부터 심지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이라고 한다. 외국사람들이 처음 들으면 기절초풍을 한다. ‘아니 아내(남편)가 저리도 ...
    Views58427
    Read More
  13. 아이를 깨우는 엄마의 소리

    새날이 밝았다. 창가로 눈부시게 쏟아지는 아침햇살이 싱그럽다. 단잠으로 쉼을 누리고 맞이하는 새아침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축복의 시간이다. 그런데 많은 가정들이 상쾌한 아침을 맞이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등교해야 할 아이를 잠자리에서 깨...
    Views59057
    Read More
  14. 노인의 3苦

    나이가 들어가니 어르신들을 만나면 묻는 것이 연세이다. 어떤 분은 “얼마 안 먹었습니다.”하고는 고령의 나이를 드러낸다. 분명히 나이를 물었는데 대답은 태어난 연도를 대답하는 분도 계시다. 머리로 계산을 하려면 복잡한데 말이다. 어제도 9...
    Views59867
    Read More
  15. 미라클 벨리에

    이 영화의 스크린이 열리면 주인공인 “폴라 벨리에”(루안 에머라 扮)가 자전거를 타고 한적한 프랑스 시골마을을 달린다. 분홍색 헤드폰이 인상적이다. 16세 소녀의 모습이 마냥 싱그럽다. 젊음의 강점은 바로 “건강함과 아름다움”이...
    Views57137
    Read More
  16. 신부 입장!

    “신부가 입장합니다. 하객들은 모두 일어서서 맞이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례자의 멘트에 따라 저만치 다가오는 사랑하는 딸의 모습이 눈부시도록 아름답다. 딸의 오른손을 잡고 예식장을 걸어 들어간다. “신랑 입장”의 구호에 따라 ...
    Views58038
    Read More
  17. 약한자여, 그대 이름은 목사라!

    이런 이야기가 있다. 미국에서 한인 목회를 하는 어느 목사님이 선교지 방문차 태국에 가게 되었다. 현지에서 선교사님을 따라 시내 관광을 하는 중에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을 발견한다. 가까이 가보니 코끼리가 쇼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코...
    Views58496
    Read More
  18. 독방 체험

    죄를 짓지 않고도 스스로 감옥행을 택한 이들이 있다. 감옥은 자유를 구속하는 곳이면서도 누군가에게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기르는 깨달음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쇠창살만 없지 영락없는 교도소다. 5㎡(1.5평) 남짓한 독방 28개가 복도를 마주...
    Views59661
    Read More
  19. 신실한 봉사자를 기다립니다!

    한국의 입시제도가 변화하고 있다. 수능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야만 유수한 대학에 진학할 수 있기에 한국의 고교는 보이지 않는 전쟁터이다. 따라서 인격이나 인간관계, 감성은 뒷전이다. 오로지 ‘성적지상주의’가 한국교육의 현주소이다. 그...
    Views57833
    Read More
  20.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58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