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75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신뢰.jpg

 

 

삶의 목적을 성공에 두는 사람들이 있다. 솔직히 그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본성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성공의 척도가 무엇인가를 깨닫는 사람은 드물다. 그러기에 어느 정도 성취를 하고나면 “곤고함”에 허덕인다. 즉 ‘내가 이것을 위해 오늘까지 달려왔던가?’하는 회한이다. 나이가 들며 깨닫는 것은 “사람은 그릇이라.”는 것이다. 단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사람을 만나보면 그릇의 모양과 크기가 드러난다. 그릇의 분수를 알고 그 그릇만큼만 살다 가면 된다. 그런데 도를 넘어서다가 화를 당하는 사람들을 본다.

신학의 길을 가려는 사람을 만나면 나는 일단 말리고 본다. 목회가 무엇인가? 사람의 영혼을 다루는 것이다. 의사도 실수하면 사람을 죽인다. 하물며 목회는 어떠랴! 결코 경솔히 가서는 안 될 길이다. 그런데 그릇이 안 되는 사람이 야망을 가지고 목회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심심찮게 일반매스컴에서 그들의 오만한 태도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안타깝다. 나도 목사가 된지 금년으로 26년차에 접어든다. 처음 목사안수를 받고 “와! 앞으로 40년을 목회해야하네.”라며 유유자적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말이다.

36살에 꿈꿔왔던 담임목회의 길이 열렸다. 성도의 수는 적었지만 열정을 불사르며 달렸다. 힘쓰고 애를 쓰는 만큼 교회는 성장을 계속했다. 그런데 이상했다. 교회는 커 가는데 마음 한켠은 점점 공허해갔다. 어느 순간, 발걸음을 멈추고 기도원에 올라 금식을 하다가 나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했다. 목회가 아니라 야망이었다. 그런 번민을 거듭하는 시점에 미국길이 열렸다. 장애인선교로 목회의 대전환을 시도했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평강이 찾아왔다. 장애인으로 장애인들을 만나는 것이 이렇게 편안할 줄이야! 이질감을 느꼈던 장애인들이 예뻐지기 시작했고 그들의 마음을 보듬어주며 행복한 목회를 하고 있다.

그렇게 11년의 세월을 달려오면서 새삼 깨닫는 것은 사람이 먼저라는 것이다. 사람은 다 귀하다. 잘나고 똑똑한 사람만이 아니다. 볼품없고 어눌하고 아무 능력이 없는 사람도 귀하다. 성공이 아니다. 나 때문에 저 사람이 행복해야 한다. 약자 편에 서서 힘들어하는 한 영혼의 아픔을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분이 진짜 목회자이다. 우연히 “글로벌 성공시대”라는 영상물을 보게 되었다. 놀랍게도 주인공은 필라델피아에 살고 있는 분이었다.

필라에 오자마자 몇 번 만나긴 했었지만 그렇게 귀한 분인 줄은 미처 알지 못했다. 그는 한센병 환자촌에서 목회를 하시던 목사님의 아들로 성장한다. 초등시절. 학교로 통하던 길목에서 “문둥이 대장”이라고 놀리는 아이들의 돌멩이에 맞아 머리가 깨진 적도 있었다. 그는 그곳이 너무도 싫었지만 아버지의 등 뒤에서 무엇보다 사람이 먼저라는 소중한 사실을 깨닫는다. 한센병 환자들과 악수를 나누던 아버지의 모습을 되뇌이며 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소통의 미학을 추구하는 미국 파킹(주차 복합빌딩) 디자인의 혁명가로 우뚝 섰다.

시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30대에 접어들며 그는 심장이 다 망가져 시한부생명의 긴박한 시간을 감내해야만 했다. 기적적인 두 번의 심장이식 수술을 통해 그는 새로운 인생을 선물로 받게 된다. 영상물에 나타난 따뜻한 가정 분위기에 미소가 피어올랐다. 누구를 만나든 친절한 미소와 상대방을 배려하는 그의 세심한 태도가 인상적이었다. 그는 “파킹은 첫 인상이자 마지막 인상이다.” “꿈이나 성공을 먼 데서 찾지 말라. 가까운 사람에게 최선의 것을 주라.”고 말한다. “진정한 성공은 어려움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을때에 찾아오는 것이다.”라고 덧붙인다.

그런 분이 필라델피아에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다. 그런 살아있는 가슴을 가진 분이 있다는 것이 다행이다. 사람이 먼저이다. 지금 내가 만나는 사람, 나와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이 내가 투자해야 할 첫 번째 대상이다. 목회를 해도, 사업을 해도, 음식을 만들어도 사람을 우선으로 두는 사람이 진정한 성공자이다. 이런 분들이 필라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면 좋겠다.


  1. 그대 곁에 있는 사람 3/11/2013

    가정은 모든 행복의 근원이 되는 곳이다. 사업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 꿈을 이루고 세상적인 지위를 높여가는 것도 인생에 있어서 놓쳐서는 안 되는 귀한 일일 수 있다. 하지만 가정은 놓치면 안 된다. 굉장한 일을 이루었다 할지라도 가정을 잃으면 모든 ...
    Views97088
    Read More
  2. 사람이 우선이다 3/4/2013

    삶의 목적을 성공에 두는 사람들이 있다. 솔직히 그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본성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성공의 척도가 무엇인가를 깨닫는 사람은 드물다. 그러기에 어느 정도 성취를 하고나면 “곤고함”에 허덕인다. 즉 ‘내가 ...
    Views87529
    Read More
  3. 커피향의 설레임 2/25/2013

    나는 커피를 좋아는 하지만 즐기지는 못한다. 카페인에 지나칠 정도로 민감하기 때문이다. 어떤 분은 오전에 커피를 마시면 괜찮다는데 나는 시간과 관계없이 커피를 마시면 밤잠을 설치기 일쑤이다. 그래서 굳이 마시게 되면 ‘Decaf’를 택한다. ...
    Views102033
    Read More
  4. 겨울 낭만 2/18/2013

    우리는 지금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겨울은 춥다. 눈이 많이 온다. 사람뿐 아니라 생물세계에서도 활동이 무뎌지는 계절이다.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작년에 이어 폭설이 내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서부에서 살다가 처음 필라델피아에 와서...
    Views97913
    Read More
  5. 부부로 산다는 것 2/13/2013

    미래학자인 ‘피터 드러커’는 그의 저서 <미래의 조직>에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이혼율도 점점 높아지고 있어서 지금은 최고 수위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추세로 나간다면 미국 같은 경우에는 결혼한 가정 중에 반 이상이 ...
    Views83450
    Read More
  6. 희망을 쏘아올린 골든벨 2/13/2013

    <도전, 골든벨!>(KBS-1TV)은 사람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무려 50개항에 퀴즈를 풀어가는 동안 벼라별 해프닝이 속출한다. 학생들의 교복과 모자에는 응원자들과 탈락한 친구들의 명찰이 ‘치렁치렁’ 매어달리고 서서히 생존자(?)들이 줄어들기...
    Views112679
    Read More
  7. 삶의 마침표는 내가 찍는 것이 아니다 2/5/2013

    신년벽두부터 유명 야구선수 조성민씨의 자살 소식이 날아들었다. 충격이었다. 2008년 그의 전 부인이었던 유명 탤런트 최진실씨의 자살, 2년 뒤 동생 최진영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안타까움을 더하더니 이번에는 조성민씨 마저 그들과 같은 길을 택한 것이...
    Views93385
    Read More
  8.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86701
    Read More
  9. Voice of Myonggi 명지대학교 초청음악회에 초대합니다! 1/21/2013

    필라 밀알선교단이 어언 설립 26주년을 맞이합니다하나님의 은혜에 감사드리며 한국에서 Voice of Myongji(명지대학교)를 초청하여 음악회를 엽니다. 음악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는 크리스천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청아하고 밝은 하모니로 우리의 지친 영혼을 ...
    Views105132
    Read More
  10. 아버지가 이상하다 1/18/2013

    아버지는 가장이다. 가정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사람이다. 우리 시대의 아버지는 거의 과묵했다. 지금처럼 살가운 아버지는 없었다. 아니 그때는 “아빠”가 없었다. 그냥 “아버지”였다. 얼굴표정이 항상 근엄하여 변동이 없는 분이 ...
    Views95804
    Read More
  11. 2013년 첫 칼럼 새롭게 하소서! 1/10/2013

    새해가 밝았다. 그동안 친근하게 지내오던 2012년을 떠나보내니 신선한 새해가 목덜미를 내어민다. 새로운 것을 접촉하는 것은 행복한 경험이다. 어린 시절 설빔을 입고 온 동네를 뽐내며 걸어 다니던 경험들을 모두가 가지고 있다. 엄마가 장에서 사 오신 새...
    Views93496
    Read More
  12. 서부에서 동부를 바라보며 1/2/2013

    『밀알 송년의 밤』을 마친 후 나는 19일(수) 필라 공항으로 내달았다. 연말에 잡힌 로스엔젤레스(L.A.)와 샌프란시스코 집회 일정을 감당하기 위해서였다. 역시 서부는 따뜻했다. L.A.에 유학을 와있는 딸이 마중을 나왔다. 아이를 보며 마냥 행복해 하는 나...
    Views84325
    Read More
  13. 희망과 추억이 가득한 성탄 12/24/2012

    한해가 조용히 저물어 가고 있다. 식당과 쇼핑몰마다 캐롤송이 울려 퍼지고 구세군 자선냄비와 어우러져 들려오는 종소리를 들으며 성탄이 가까워 옴을 느낀다. 아빠 차에 오른 딸에게 물었다. “너는 캐롤을 들으면 가슴이 설레이니?” “모...
    Views118054
    Read More
  14. 부부 싸움 12/18/2012

    너무나 잘 어울리는 멋진 부부를 만났다. 대화중에 지나가는 말처럼 물었다. “두 분은 부부싸움을 안하시지요?” 두 사람이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부부싸움을 안하는 부부가 있나요? 저희도 가끔은 의견이 안 맞을 때가 있지요.” 그...
    Views95552
    Read More
  15. 얄미운 12월의 손짓 12/18/2012

    12월이다. 세월이 왜 이리 빠른지 정신을 못 차릴 정도이다. 스무 살이 되던 해에 우연히 집에 들른 사촌형이 “지금은 세월이 안가지? 나이 들어봐라. 세월이 점점 빨라진단다.”고 말할때에 나는 코웃음을 쳤다. 무료한 날들이 많았기에 어서 세...
    Views98166
    Read More
  16. 아버지의 마음 12/8/2012

    누구에게나 아버지가 있다. 어머니의 사랑은 살갑지만 아버지의 마음은 가늠하기가 어렵다. 사춘기 때에는 감히 아버지에게 ‘이유 없는 반항’을 해 보기도 하였다. 나이가 들어가며 저만치 내 눈이 닿지 않는 곳에서 아버지는 항상 나를 바라보고...
    Views84128
    Read More
  17. 가을이 간다 12/1/2012

    아침 저녁 일교차가 심해지더니 이내 차가운 가을의 입김이 매섭다. 어느새 가을이 가고 있다. 다행히도 태풍에 다 날아가 버린 줄 알았던 색깔바랜 단풍들이 가녀린 손짓을 하며 아직도 가을이 머물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가을은 습도가 없어 좋다. 상쾌한 ...
    Views93861
    Read More
  18. 가을 미소를 만나다 11/22/2012

    오랜 날 기도하며 준비하던 밀알의 밤이 가까워오는 지난 수요일(7일) 나는 뉴욕을 향해 차를 몰고 있었다. 밀알의 밤에 출연하는 두 자매가 JFK 공항에 도착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전날 뉴욕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박 목사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뉴...
    Views92091
    Read More
  19. 가을 그림 11/22/2012

    태풍이 할퀴고 지나간 상처는 너무도 깊은 것 같다. 불행 중 다행히도 필라델피아는 극한 상황을 넘기며 전기사정이 회복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미주 동부지역은 상상을 초월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부 뉴저지 지역은 전기는 고사하고 주유소에 기름이 없...
    Views98184
    Read More
  20. 밀알의 밤 “가을 미소”에 초대합니다! 11/8/2012

    가을이다. 가을이 되면 사람들은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스산함을 느낀다. 필라델피아가 좋은 이유는 이맘때면 맞이하는 가을이 너무 환상적이라는 것이다. 바람이 불어오면 형형색색의 단풍이 나풀거리며 차창에 내려앉는다. 코발트색깔의 가을 하늘과 때마침...
    Views831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