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11.17 19:21

공항의 두얼굴

조회 수 576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항.jpg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여행을 하던 때라, 공항에 대한 노래를 부르면서 사람들은 신비에 쌓인 세계 여행에 대한 동경을 달랬던 것 같다. 70년대 후반, 내가 자라난 “홍릉교회” 담임 목사님이 미국에 가시게 되었다. ‘때는 이때다’ 싶어 환송도 하고, 공항 구경도 할 겸 성도들 틈에 끼어 공항 가는 교회버스에 자리를 잡았다.

 

 어림잡아 50여명은 되는 듯한 성도들이 둘러서서 예배를 드렸다. 예배를 드리다보니 우리뿐만이 아니었다. 저만치서도 누군가를 가운데 세워놓고 예배를 드리는 광경이 눈에 들어 왔다. 짧게나 할 것이지, 30분 이상을 그렇게 예배를 드렸다. 예배가 끝난 후 목사님은 둘러선 성도들과 악수례를 하고 검색대를 통과 해 들어 가셨다. 지금 생각하면 웃음이 날 일이지만 그때는 누가 외국에 간다하면 다들 공항에 나가 거창한(?) 환송 예식을 거행했다. 버스 대합실, 혹은 기차역에서 오고가는 것과는 색다른 모습이 연출되는 것은 공항은 하늘을 날아 멀리 오고가는 때문인지도 모른다.

 

 장인, 장모님이 미국에 처음 오시던 생각이 떠오른다. 오시기 전날, 아내는 내 귀에 속삭였다. “내일 우리 엄마 온다!” 그날 밤 아내는 잠을 못 이루고 뒤척거렸다. 드디어 당일, 우리는 서둘러 뉴욕 J.F.K. 공항으로 향했다. 공항에 당도 해 보니 많은 사람들이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생각한 것 보다는 시간이 지체되었지만 두 분이 환한 미소를 지으며 나타나셨다. 얼마나 반갑던지. 미국식으로 ‘허그’를 하고 준비해간 꽃다발을 안겨 드렸다.

 

 그렇게 두 분은 필라에 오셨고, 한 달을 머무셨다. 모처럼 미국에 오신 장인, 장모님을 모시고 랭커스터로, 워싱톤으로, 마지막에는 뉴욕까지 관광을 시켜드리느라 분주한 일정을 보냈다. 두 분의 신기 해 하는 모습에 피곤한 줄 모르고 귀한 시간을 함께했다. 몇 개월 머무시기를 원했지만 한국에 경영하시는 농장일 때문에 두 분은 한 달이 채 못 되어 한국으로 가시게 되었다. 공항으로 가는 길, 이제는 두 분을 떠나보내야 한다는 아쉬움에 차안에는 적막감이 흐르고 있었다. 드디어 짐을 부치고, 두 분이 검색대를 향해 들어가신다.

 

 “안녕히 가십시오.” 사위인 내가 인사를 하고, 아내가 장모를 안고 인사를 한다. “엄마! 잘 가요!” 이내 아내의 뺨에 두 줄기 눈물이 흘러내린다. 따라간 막내딸도 두 눈이 붉어져 할아버지, 할머니께 인사를 드린다. 저만치 두 분의 모습이 사라질 때까지 우리는 두 손을 흔들었고,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옮겼다. 공항을 빠져 나와 주차장을 향해 가며 뭔지 모를 서러움에 눈물이 끊이질 않았다. 주차장에 다가갔을 때 옆 차에 타려는 동양인 자매도 울고 있었다. 아마 그녀도 정든 누군가를 떠나보냈으리라!

 

 차가 출발하고 세 사람은 창밖을 응시한 채 흐느끼고 있었다. 사람을 떠나보낸다는 것이 이리도 서러운 것일까? 저만치 떠오르는 비행기를 보며 생각했다. “지금은 미국에서 한국으로 보내 드리지만 언젠가는 천국으로 보내야 하는 시간이 오고야 말겠지?” 지난 주간, 집회 인도 차 서부를 다녀왔다. 두 주간 동안 함께 다니며 말씀을 증거하고 담임 목사와 정을 쌓았다. 간간히 명소도 방문하는 행운을 누렸다. 그리고 헤어지는 순간. 공항에 몰아치는 매서운 바람은 이별의 아쉬움을 아는 듯 옷깃을 파고들었다. 아쉬움에 마주 잡은 손을 쉽게 놓지 못한다. 만남과 헤어짐을 극명하게 나타내는 곳이 공항인 것 같다.

 

 손님을 맞이할 때는 한없이 반갑고 행복하지만 떠나가는 사람을 배웅하는 일은 너무도 아프다. 그래서 인생은 서러운가 보다. 오늘도 공항에는 가는 사람과 오는 사람이 교차하며 분주하게 비행기가 오르내리고 있다. 그러면서도 “와주어 반갑고, 가주어 더 반갑다.”는 미묘한 전설이 교차하는 곳도 공항이다. 오늘도 공항에서는 오는 사람들을 맞이하는 환호와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아쉬움이 범벅이 되어 인생 드라마를 연출하고 있다.


  1. 구름 9/7/2010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아름다운 것은 하늘과 땅,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날마다 땅을 밟으며 우리는 인생 이야기를 엮어간다. 어쩌다가 만나는 지평선을 보며 저 땅 너머에 있는 세계를 그려본다. 그러다가 찾아가는 바다는 “지구의 ...
    Views80201
    Read More
  2.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6208
    Read More
  3.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8494
    Read More
  4. 광화문 연가

    나는 아이돌 노래를 좋아한다. 노래에서 풍기는 젊음의 활력, 에너지 넘치는 춤사위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사람의 몸이 저렇게도 유연할 수 있을까?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 시대의 가요는 정적이었다. 뭔가 생각하며 들을 수 있는, 듣다보면 젖...
    Views49481
    Read More
  5. 관중 없는 올림픽

    모두의 염려 속에 개막한 올림픽이 연일 드라마를 연출하며 막을 내렸다. 승리하여 메달을 딴 선수는 인생 최고 환희의 순간을 만끽했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선수는 눈물을 흘리며 일찌감치 짐을 싸야만 했다. 스포츠 매니아라 할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시...
    Views16059
    Read More
  6. 관상 1/16/2015

    요사이 “왕의 얼굴”이란 드라마가 잔잔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작년에는 “관상”이란 한국영화가 9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결국 영화는“관상은 없다.”는 허무한 결론으로 끝이 난다. 과연 그럴까? ...
    Views84048
    Read More
  7.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7622
    Read More
  8.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31854
    Read More
  9.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5155
    Read More
  10. 고부(姑婦) 사랑 3/15/2012

    고부갈등은 드라마의 단골소재이기도 하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부로 겪는 가족관계이기도 하다. “고부갈등은 사주팔자에도 안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좋은 것 같으면서도 멀기만 하고 먼 것 같으면서도 챙겨야만 하는 묘한 관계이다. 이런 말...
    Views76041
    Read More
  11. 고독은 가을을 닮았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만 되면 이상하리만큼 가슴 한켠이 비어있는 듯 한 허전함을 느낀다. 가을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마력이 있다. 젊은 날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을 곰곰이 되새기게 된다. 운전을 하며 지나치는 숲속을 주시하고, 우연히 마주친 장애인...
    Views62772
    Read More
  12. 고난의 종착역

    고난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가가 울며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삶 자체가 고난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감지했기 때문이리라. 고난이 없는 인생은 없다. 날마다 크고작은 고난을 감내하며 인생이야기는 흘러가고 있다. 고난을 통과하지 않고는 보배를 ...
    Views11227
    Read More
  13. 경동시장 1/24/2015

    나는 청소년기부터 대학시절을 “제기동”에서 살았다. 가까이는 청량리 역이 위치해 있었고 조금 더 가면 홍릉과 세종대왕 기념관, 그리고 당시 KIST가 자리한 사통팔달의 동리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흥미진진한 곳은 ‘시장통’이었다...
    Views79779
    Read More
  14. No Image

    결혼하고는 완전 다른 사람이예요!

    결혼 3년 차에 접어든 새댁이라면 새댁이 내뱉은 말이다. 연애할 때는 그렇게 친절하고 매너가 좋았는데. 그래서 ‘이 남자하고 살면 마냥 행복할 줄 알았는데’ 결혼해 살아보니 “말짱 꽝”이다. 연애 할 때는 이벤트로 깜짝깜짝 놀라...
    Views5666
    Read More
  15. 결혼의 신기루

    연거푸 토요일마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바야흐로 결혼 시즌이다. 코발트색 가을하늘. 멋진 턱시도와 눈부신 웨딩드레스를 입고 서 있는 신랑 신부의 모습은 진정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영롱하다. 필라에는 정말 멋진 야외 ...
    Views9168
    Read More
  16. 결혼 일곱고개 6/17/2012

    봄은 역시 결혼의 계절인가보다. 여기저기서 청첩장이 날아든다. 세상을 살면서 “결혼”처럼 황홀한 일도 드물 것이다. “짝”을 찾아 두리번거리며 살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결혼을 약속한다.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은 오...
    Views67206
    Read More
  17. 결혼 상대자로 장애인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인생의 3분지 1은 혼자서 산다. 3분지 2는 둘이서 살아야 한다. 혼자 살 때는 가끔 외로울 때가 있긴 하지만 자유로워서 좋다. 그러나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실 때 혼자서는 잘 살아가지 못하도록 창조하셨다. 반드시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Life Story를 엮...
    Views63270
    Read More
  18.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9325
    Read More
  19.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8806
    Read More
  20.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3/28/2014

    금년 겨울은 겨울답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지루하다고 해야 할까? 계속되는 영하의 날씨, 며칠이 멀다하고 쏟아지는 폭설, 3월이 되어서도 내리는 눈은 눈치가 없는걸까? 봄을 시샘하는걸까? 특별히 사업을 하는 이민자들이 버텨내기에는 몹시 버거운 겨울이...
    Views6578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