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12.16 10:34

특이한 언어 자존심

조회 수 578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화.jpg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쓰는 한국말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 타국어와 다른 자존심이 숨어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이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강대국의 침범을 많이도 받아왔다. 언어가 순수성을 간직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환경이었다.

 

 급기야 일제 36년의 학정 속에 창씨개명을 해야 하고, 한국말을 써서는 안 되는 지경까지 가게 되었다. 하지만 그런 역경을 이기고 우리말은 고고한 자존심을 지켜왔다. 중국의 예를 들면, 중국은 소수 민족이 합쳐져 거대한 나라가 되었다. 역사학자들의 말을 빌리면 그중에 55개 소수 민족이 흔적 없이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언어가 본토에 살고 있던 한족(漢族)에게 동화되어 버린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런데 유독히 조선족만은 한국말을 쓰며 한국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4년 전, 중국 연변에 가서 상점 간판 곳곳에 한글이 새겨있는 것을 보고 놀랐다.

 

 필자는 한글학자가 아니다.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도 아니다. 이점에 대해 양해를 구하며 평소에 느꼈던 점을 적어보고자 한다. 우리 언어에서 독특한 점은 겹치는 말이 많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일상적으로 자연스럽게 쓰여 지고 있다. 우리는 동해를 이야기 할 때 꼭 동해 바다라고 한다. “태평양 바다를 건너왔다고 한다. “처가(妻家)”하면 될 것을 처갓집한다. “역전(驛前)”하면 되는데 역전 앞한다. 여러분이 좋아하는 족발은 풀어쓰면 발발이 된다. ()이 이미 발 족니까.

 

 “모찌 떡”, “황토 흙” “깡통도 그렇고, 야구 해설을 하는 것을 보면 공이 Line 선상(線上)을 타고 갔다고 한다. ‘박수를 친다.’는 말도 희한하다. 박수의 칠 박()’자이다. 이미 그 안에 뜻이 들어 있음에도 대통령도, 대학교수도, 아나운서도, ‘전국노래자랑의 사회자도 박수를 치자라고 말한다. "박수 칠 때 떠나라는 명언도 있다. 국문학자들은 이것은 틀린 말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그 말을 자연스럽게 쓰고 있다.

 

 더 가까이 접근하자, “철새들이 사는 서식지” “가난한 빈촌” “깊은 산골 오지” “값싸고 저렴한 물건” “부끄러운 치부를 드러낸다.” “알은 곧 어린 치어가 될 것이다” “주어진 조건이나 여건에 맞추어 살자” “지금 새 신부가 입장하고 있습니다.” “뜨거운 열기를 감지하였다” “상호 명을 적어 놓았다” “부엌에서 쓰는 주방용품” “봄의 향기가 나는 채소나 나물” “누누이 여러 번 말씀드렸다” “기쁨과 환희에 넘쳤다” “기쁜 경사를 앞두고” “지나친 과찬입니다” “일목요연하게 한 눈에 훤히 알아볼 수 있다” “만류하거나 말릴 생각은 추호도 없다

 

 우리나라말은 90%가 한자(漢字)라고 한다. 그 한자와 순수한 한글을 함께 쓰려는 눈물 어린 노력이 이런 독특한 언어를 창출 해낸 것이다. 우리 민족은 정적(情的)인 면이 강하다. 밥을 줄때도 절대 한 숟가락만은 안준다. “정 떨어진대!”하며 꼭 한두 숟가락을 더 퍼준다. 헤어질 때 우리 민족처럼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도 드물다. 한번 인사를 했으면 되었건만 같은 인사를 되풀이 하면서 시간이 길어진다. 겹치는 말을 많이 쓰게 된 이유는 그 만큼 상대방을 챙기는 정()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교회에서 대표 기도를 할 때도 문단이 끝날 때마다 원하옵고 바라옵나이다.”하시는 분이 있다. “거룩한 성호(聖呼)를 찬양합시다.”라고 자연스럽게 외친다. 호남 사투리 중에 버려 버려!”하는 말도 있다.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특이하다. 그런데 그 말들을 가만히 되뇌어보면 그 안에 우리 민족 만에 자존심이 깔려 있는 것을 본다. 우리 민족은 언어에 대한 자존심만은 꿋꿋하게 지켜오는 것을 발견한다. 우리는 오늘도 같은 뜻의 말을 반복하면서 민족정기를 이어가고 있다.

 

 서로를 챙겨주는 정감 어린 마음으로 독특한 언어를 구사하며 우리들만의 자존심을 언어로 지켜가고 있는 것이다. 그 우직함이 이민의 삶을 견고히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1.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7013
    Read More
  2.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4750
    Read More
  3.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57860
    Read More
  4.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55297
    Read More
  5.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52976
    Read More
  6.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51029
    Read More
  7.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7007
    Read More
  8.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7962
    Read More
  9. 아미쉬(Amish) 마을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로 말하면 “아미쉬 마을”이다. 아미쉬는 푸르른 초원을 가슴에 안은 채 특유의 삶을 이어간다. 아미쉬의 특징은 전기, 자동차, 텔레비전 같은 문명의 이기를 철저...
    Views59182
    Read More
  10. 기다림(忍耐)

    현대인들은 빠른 것을 좋아한다. 무엇이든지 짧은 시간에 큰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우리가 정작 배워야 할 것은 스피드가 아니라 기다림이다. 왜냐하면 기다림은 하나님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절대 조급하지 않으시다. 하나님의 백성...
    Views162034
    Read More
  11. 감성 고뇌

    가을이 왔는가보다 했는데 한낮에 내리쬐는 햇살의 농도는 아직도 여름을 닮았다. 금년은 윤달이 끼어서인지 가을이 더디 오는 듯하다. 따스한 기온이 고맙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가을 정취에 흠뻑 취하고 싶어 하는 감성적인 사람들에게는 은근히 방해가 되는...
    Views58642
    Read More
  12. 인생을 포기하고 싶었습니다

    유학생 부부 모임에 초대를 받았다. 보기에도 퍽 아름답고 유익한 신앙인들의 모임이었다. 먼 이국땅에서 낮선 언어와 문화에 적응하며 사는 것은 상당한 스트레스를 감내해야 한다. 짧은 언어로 일하면서 공부하는 유학생활은 참으로 버거운 과정이다. 같은 ...
    Views59119
    Read More
  13. Not In My Back Yard

    오래전, 버지니아에 있는 한인교회에서 전도 집회를 인도한 적이 있다. 교회 역사만큼 구성원들은 고학력에 고상한 인품을 가진 분들이었다. 둘째 날이었던가? 설교 중에 ‘어린 시절 장애 때문에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으며 힘든 시간을 보냈음’을...
    Views58036
    Read More
  14. 누나, 가지마!

    KBS가 UHD 다큐멘터리 ‘순례’를 방영했다. 흐르는 강물조차 얼어붙은 영하 30도, 혹독한 추위가 찾아온 인도 라다크 깍아 지른 협곡 사이로 수행자들의 행렬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외줄 하나에 온 몸을 의지한 채 순례 길을 걷는 수행자들의 모습...
    Views57698
    Read More
  15. 글씨 쓰기가 싫다

    한국에서의 일이다. 1984년, 한 모임에서 백인 대학생을 만났다. 남 · 여 두 학생은 백인 특유의 또렷한 이목구비와 훤칠한 키로 눈길을 끌었다. 두 사람이 연인사이였는지, 아니면 그 모임에서 우연히 만난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다정다감하고 ...
    Views74083
    Read More
  16. 청춘과 함께한 행복한 밤

    실로 필라에 새로운 역사를 쓴 뜻 깊은 행사였다. 언제부터인가? 필라에 살고 있는 청춘들을 한자리에 모으고 싶었다. 복음으로 흥분시키고 마음껏 젊음을 발산하는 장(場)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오랜 날 기도하며 준비한 밀알의 밤에 막이 오르고 메인게스...
    Views61307
    Read More
  17. 고독은 가을을 닮았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만 되면 이상하리만큼 가슴 한켠이 비어있는 듯 한 허전함을 느낀다. 가을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마력이 있다. 젊은 날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을 곰곰이 되새기게 된다. 운전을 하며 지나치는 숲속을 주시하고, 우연히 마주친 장애인...
    Views62091
    Read More
  18. 밀알의 밤을 열며

    “목사님, 금년 밀알의 밤에는 누가 오나요?” 가을녘에 나를 만나는 사람들의 물음이다. 그렇다. 필라델피아의 가을은 밀알이 연다. 15년 전, 맨땅에 헤딩하듯 시작된 밀알의 밤이 어느새 15돌을 맞이한다. 단장으로 오자마자 무턱대고 기획했던 ...
    Views55141
    Read More
  19. 넌 날 사랑하기는 하니?

    “넌 나를 사랑하니?” 아이가 태어난 이후 남편은 가끔 섭섭함을 이렇게 토로했다. “사랑하지. 아니면 왜 같이 살겠어?” 남편은 찝찝한 표정을 지으며 혼잣말을 했다. “같이 산다고 사랑하는 건가?” 나도 남편에게 섭섭함...
    Views58047
    Read More
  20. YOLO의 불편한 진실

    바야흐로 웰빙을 넘어 ‘YOLO 시대’이다. ‘YOLO’란 ‘You only live once’의 약자이다. 한마디로 “인생은 한번 뿐이다.”라는 뜻인데 굳이 죽어라고 애쓰며 살지 말고 “오늘을 즐기라”는 것이다. ...
    Views639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