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26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엄마.jpg

 

 

나에게도 어머니가 계셨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13년 전, 그 분의 시신이 땅속에 내려가는 그 순간에도 나는 “엄마”를 목 놓아 불렀다. 성도들이 다 지켜보는데도 말이다. “어머니”하면 너무 거리가 느껴졌기 때문일까? 아니면 철이 안 나서일까? 나는 가끔 아내에게 “엄마”라고 부를 때가 있다. 그때 흘기듯 바라보는 5살 어린 아내의 눈길이 미묘하다.

여자는 이름이 많다. 어릴 때는 ‘소녀’라 불리운다. 조금 더 성장하면 “숙녀”라고 한다. 어느 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을 하면 “아내”가 된다. 아기가 태어나면 드디어 “엄마”가 된다. 새내기 엄마는 풋풋하다. 하지만 그때부터 내 이름이 사라진다. 오로지 “○○엄마!”가 정식(?) 호칭이 된다. 그래서 엄마는 교회를 다녀야 좋다. 교인들이 “○○○ 집사님, 권사님”하며 평생 내 이름을 불러주기 때문이다.

더 사랑하고 싶어서 아내가 되었다. 그리고 더 행복해지고 싶어서 엄마가 되었다. 그런데 엄마가 되고 나서 웃음이 사라졌다. 엄마가 되면 행복할 줄 알았다. 아이가 마냥 사랑스러울 줄 알았다. 그러나 아이 키우기가 이렇게 힘들 줄이야! 아이를 임신하고 더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해 직장도 그만두었다. 세상의 관심을 가질 여유도 없이 아이를 키우다보니 세월은 달렸다. 아이 키우는 것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이제는 엄마의 정체성의 혼란이 온다. 함께 사회생활을 했다가 성공한 친구들을 볼 때면 “나도 저렇게 될 수 있었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찾아온다.

이제 막 아기를 낳은 엄마에게 느낌을 물었다. 대부분 “신비롭다. 걱정된다.”는 반응이다. 산후조리원에서 만난 엄마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눈다. “밖에 맘대로 나갈 수 없는 것이 가장 힘들다.”나. “아이가 생기며 내 인생 자체가 송두리째 없어졌다.”고 고백하는 엄마도 있다. 시대가 변하면서 모성의 빛깔이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출산 후 4/3이상의 여성이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한다. “당신의 어머니 점수를 적어봐라.”하며 종이를 나누어 주었더니 70% 이상이 ‘양’(D)을 적어내었다.

그만큼 시대가 바뀌고 엄마의 의식구조도 첨단을 달리는 듯하다. “엄마”라는 이름에 부담을 느끼며 사는 여성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면 요즈음 30대 엄마들이 가장 신경 쓰는 것은 무엇일까? 아이들의 정서이다. 엄마 “희경”씨는 하루 종일 아이와 놀아주려고 애를 쓴다. 놀이가 정서발달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아이와 대화를 할 때에도 아이 눈높이에서 한다.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서이다. 내가 하는 것에 따라서 아이의 행복이 달라진다고 생각하니 오늘도 엄마는 마음이 무겁다.

‘류시화’님의 “내가 엄마가 되기 전에는”이란 시가 떠올랐다. “내가 엄마가 되기 전에는 언제나 식기 전에 밥을 먹었었다. 얼룩 묻은 옷을 입은 적도 없었고 전화로 조용히 대화를 나눌 시간이 있었다. 내가 엄마가 되기 전에는 원하는 만큼 잠을 잘 수 있었고 늦도록 책을 읽을 수 있었다. 날마다 머리를 빗고 화장을 했다. 장난감에 걸려 넘어진 적도 없었고 자장가는 오래전에 잊었었다. 내가 엄마가 되기 전에는 누가 나한테 토하고, 내 급소를 때리고, 침을 뱉고, 머리카락을 잡아 댕기고. 이빨로 깨물고, 오줌을 싸고 손가락으로 나를 꼬집은 적은 한번도 없었다.(중략)

내가 누군가를 그토록 사랑하게 될 줄 결코 알지 못했었다. 내 자신이 엄마가 되는 것을 그토록 행복하게 여길 줄 미처 알지 못했었다. 내 몸 밖에 또 다른 나의 심장을 갖는 것이 어떤 기분인줄 몰랐었다.”

엄마는 위대하다. 엄마가 흔들리면 가정이 흔들린다. 사회가 어지러워진다. 엄마가 그 자리에 있을때에 가족들은 다 행복하다. 엄마는 완벽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내 아이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것” 이것이 엄마의 진짜 역할이 아닐까? 엄마가 있는 것만으로 아이들은 행복하다. 엄마가 있다는 게 참 다행이다. 엄마는 엄마다. 엄마 짱!


  1. 하늘·단풍 그리고 “소향” 10/28/2013

    하늘이 높다. 한밤중 잠결에 들려오는 귀뚜라미 소리와 더불어 가을의 향취가 후각을 훑는다. 며칠 가을비가 내리더니 가슴이 시원하도록 하늘이 높아만 간다. 하늘은 신비하다. 가슴이 답답할 때에 하늘을 바라보면 잠시라도 시원해지면서 마음씀씀이가 넓어...
    Views81933
    Read More
  2. 바람이 되고싶다 10/21/2013

    40대 초반 가을이었다. 다일 영성수련원(원장:최일도 목사) 경축전 ‘특송’을 부탁받고 경기도 양평 옥천을 거쳐 설악 뒷산을 차로 질주하고 있었다. 산마다 물감을 뿌려 놓은 듯 각양각색의 영롱한 단풍이 가을이 깊어감을 실감케 했다. 차창에 ...
    Views67812
    Read More
  3. 엄마는 엄마다 10/14/2013

    나에게도 어머니가 계셨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13년 전, 그 분의 시신이 땅속에 내려가는 그 순간에도 나는 “엄마”를 목 놓아 불렀다. 성도들이 다 지켜보는데도 말이다. “어머니”하면 너무 거리가 느...
    Views72664
    Read More
  4. 귀성 이별 10/7/2013

    우리나라 최대 명절인 “추석”이 지나갔다. 한국에 있었으면 고향에 가서 친척들을 만나고 끝없는 대화를 나누며 보름달의 장관을 감상했을 것이다. 성큼 커버린 조카들의 머리를 쓰다듬어주기도 하고 고향 곳곳을 거닐며 세월의 흐름 속에 퇴색되...
    Views69475
    Read More
  5. 가을 피아노 9/30/2013

    내 생애에 가장 후회되는 것이 있다면 피아노를 배우지 않았다는 것이다. “배우지 못했다”가 아닌 “배우지 않았다”라는 표현은 얼마든지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거부하였음을 의미한다. 고교 1학년 때였다. 아버지가 차려놓은 ...
    Views75901
    Read More
  6. 세월아 너만 가지 9/23/2013

    가을의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친다. 그렇게도 무덥던 날들이 이렇게 맥없이 꺾일 줄이야. 새벽에 창문을 열면 신선한 바람이 상쾌함을 안겨 준다. 그렇게 영적인 시간을 가지며 하루를 연다. 9월을 기다린 적이 있었다. 아마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젊은 날...
    Views70495
    Read More
  7. 아내가 대들면 나는 돌아요 9/16/2013

    한국에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만난 한 가정의 이야기이다. 잔뜩 화가 난 것일까? 아니면 술을 한 잔 걸친 것도 같다. 나이는 얼핏 40대 후반은 된 것 같은 남자가 찾아왔다. 우선 “과거 탐사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는 질문을 던진다. “나...
    Views67560
    Read More
  8. 내 심장을 쏴라! 9/9/2013

    한 소설가가 있었다. 그녀는 갑자기 정신병원에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은 영감에 사로잡힌다. 아무리 상상력이 풍부하다 할지라도 정신병원 이야기를 추측으로만 쓸 수는 없었다. 그녀는 정신병원에 직접 들어갈 획기적인 발상을 하게 된다. 작가는 선...
    Views67672
    Read More
  9. 기분 좋은 긴장감 8/31/2013

    사람들은 모두 삶의 긴장감에 대해 두려워하며 살고 있다. 좀 더 편안하고 여유로운 삶을 누구나 원한다. 하지만 어디 인생이 ‘호락호락’하던가? 평안이 계속 될 것만 같던 삶에 갑자기 폭풍우가 몰아치고 긴장감 속에 밤잠을 이루지 못하는 시간...
    Views75898
    Read More
  10. 후진을 더 조심해야 한다 8/26/2013

    3년 전 여름, 비가 몹시 쏟아지는 날이었다. 한아름 마트에 들렀다가 차를 후진하면서 승용차 문을 ‘살짝’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뒤에 아무것도 없는 줄 알고 후진 기어를 넣었는데 뭔가 닿는 느낌이 들어 차를 세워보니 그곳에 까만색 승용차가...
    Views73804
    Read More
  11. 흔들바위 부부 8/19/2013

    고교 2학년 때에 설악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났다. 우리세대는 기억한다. 그 당시에 수학여행이 실로 추억덩어리였음을. 떠나는 순간부터 돌아오는 날까지 쉼 없이 몸을 흔들고 노래를 불러댔다. 목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을 때까지 말이다. 그래도 피곤을 모를 ...
    Views81387
    Read More
  12.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 8/12/2013

    스물 한번째 밀알 사랑의 캠프가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필라델피아에서는 한 시간 반이면 도착하는 캠프장을 “아틀란타” “시카고” 밀알은 무려 20시간을 달려 참석을 한다. 그렇게 21년 동안...
    Views70654
    Read More
  13. 시각 장애 골퍼의 희망샷 8/5/2013

    캘리포니아 “우들랜드”에서 태어난 초등학교 2학년 남자 아이가 발렌타인스데이를 맞아 엄마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기위해 플라스틱 파이프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었다. “‘테디 베어’가 그려진 작은 펜스를 엄마에게 선물로 주...
    Views67599
    Read More
  14. 깊은 물 7/29/2013

    무더운 여름, 집 앞 시냇가에 발을 담그고 더위를 피해 살던 때가 있었다. 아이들을 따라 다리 밑으로 향하고 물에 뛰어들며 수영을 배웠다. 물먹기를 반복하고 아이들의 놀림을 받으며 수영실력은 늘어갔다. 수영을 익히면서 물과 친근해 졌다. 물에 몸을 맡...
    Views78685
    Read More
  15. 남자는 외롭다 7/22/2013

    모두가 봉고차를 타고 다닐 때에 한 친구가 르망 승용차를 타고 나타났다. “야! 차 좋다. 차 턱을 내야겠다.”하며 서로 칭찬을 해주고 있는데 그 중에 한 친구가 차로 다가가더니 갑자기 그 새 승용차를 발로 차는 것이었다. 지켜보던 친구들은 ...
    Views79417
    Read More
  16. 비행장이 내려다 보이는 아카시아 숲 7/15/2013

    나는 초등학교를 다섯 곳이나 다녔다. 경찰공무원인 아버지가 전근을 하실 때마다 내 의사와는 관계없이 전학을 가야했다. 그 나이에는 친구가 무엇보다 소중한 때이다. 오랫동안 깊은 정을 나누던 친구들과 억지로 헤어지는 아픔을 나는 일찍이 경험해야만 ...
    Views65810
    Read More
  17. 잃어버린 나의 40년 7/9/2013

    소록도에서 목회활동을 하고 있는 K목사 앞에 일흔이 넘어 보이는 노인이 다가와 섰다. “저를 이 섬에서 살게 해 주실 수 없습니까?” 느닷없는 노인의 요청에 K목사는 당황한 표정을 지었다. “저에게는 모두 열 명의 자녀가 있었지요.&rdqu...
    Views71003
    Read More
  18. 풍요로운 삶 7/3/2013

    최일도 목사가 청량리에서 오갈 데 없는 사람들에게 라면을 끓여주던 때였다. 남루한 옷차림에 술 냄새까지 찌든 사람들이 한창 음식을 먹고 있는데 그중에 한사나이가 젓갈을 쥔 손을 치켜들며 소리를 쳤다. “삶은 무엇인가?” 갑작스럽고도 무게...
    Views76928
    Read More
  19. 천원식당 6/23/2013

    세상이 많이 삭막해졌다고들 한다. 과거보다 살기가 풍요로워졌다면 당연히 사람들의 마음도 넉넉해져야 할 텐데 민심은 점점 싸늘해져만 간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여기 가슴 훈훈한 식당이 있다. “해 뜨는 식당”(광주 대인시장). 이름만 들어...
    Views78488
    Read More
  20. 창호지(窓戶紙)의 정갈함 6/23/2013

    어린 시절 우리는 거의 한옥에서 살았다. 표현 그대로 ‘고래등’ 같은 거창한 한옥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박한 한옥에서 둥지를 틀고 살았다. 항상 드나드는 커다란 방문과 창은 거의 창호지로 빛을 조절해 주었다. 그 시절에는 유리가 ...
    Views895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