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04.20 19:22

사투리 정감(情感)

조회 수 508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투리.jpg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 “아냐, 가만히 들어봐 우리나라말이 아니야호기심을 참지 못한 여성이 사나이들에게 다가간다. 그리고는 조용히 , 조금만 조용히 말씀하시면 안될까요?” 물었다. 그중에 한 사나이가 대답한다. “? 이기다 니끼가?”(이것이 다 당신 것이냐?) 놀란 여성이 친구에게 달려가 말한다. “맞잖아, 외국사람이야

 

  함경도분과 경상도 분이 서로 마주쳤다. 먼저 경상도 분이 말을 건넨다. “니는 뭐꼬?”(당신은 누구십니까?) 함경도분이 뭐꼬라는 말의 뜻을 이해 못한다. 그래서 되묻는다. “뭐꼬가 무시기?”(뭐꼬가 무슨 뜻입니까?) 경상도 분은 무시기라는 말을 생전 처음들은 모양이다. “무시기가 뭐꼬?” “뭐꼬가 무시기?” 그래서 두 분은 하루 종일 똑같은 질문을 계속했다고 한다.

 

  사투리는 표준어의 반대말이다. 나라는 같지만 특정지역에서 쓰는 말(방언)을 사투리라 한다. 나는 태어나서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경기도에서만 자랐다. 그러다가 서울로 고등학교를 진학하게 되었다. 그때부터 지방 사람들을 만나기 시작하였고, 신학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실로 다양하고 색깔이 뚜렷한 각 지방 학우들을 두루 만나며 사투리에 익숙해져 갔다.

 

  급기야 고향이 전라도인 아내를 맞이하면서 말투가 희한하게 변해갔다. 사실 아내는 어릴 때부터 서울에서 자라 사투리를 별로 쓰지 않는다. 반면 장모님은 얼마나 억세게 사투리를 쓰시는지 아내가 통역을 해야 알아들을 정도였다. 장모님의 전라도 사투리가 정겨워 혼자 중얼거리며 흉내를 내기 시작했고, 연습(?)을 하다 보니 이제는 토종 경기도 사람이 전라도 사람이나, 충청도 사람으로 오해 받는 경지(?)에 까지 이르렀다.

 

  전라도 말 중에 쪼까”(조금) “긍게”(그러니까) “겁나게”(많이)라는 말이 재미있지만 팔도 말 중에 짠하다”(가슴이 저려온다, 혹은 마음이 무척 아프다)는 말은 그 어느 지방말로도 표현이 안 되는 압권이다. “징혀!”(못마땅해)라는 말부터 전라도 말의 클라이막스는 거시기이다. “거시기는 어디에 갖다 붙여도 말을 매끄럽게 이어나가게 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야기를 하다가 막히면 거시기로 일단 끌어나가도 되고, 입장이 곤란하거나 표현이 곤란한 것은 일단 거시기"로 대처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

 

  경상도 말의 매력은 터프함이다. 처음 경상도 분을 만났을 때 얼마나 당황을 했는지 모른다. 공연히 억양을 높이는 투가 마치 화난 사람 같았고, 싸우려는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사귀기는 힘들지만 일단 인연을 맺으면 오래가는 것이 경상도 분들의 좋은 점이다. 고등학교 때 옆집에 경상도 가족이 살았는데 자녀의 이름을 부를 때 꼭 끝자를 부르는 것이 새로웠다. “가시나” “머스마” “문디부터 고마 쌔리, ” “우야꼬?”까지 경상도 사투리는 다양하다.

 

  사투리하면 충청도를 빼놓을 수가 없다. 요사이는 많이 빨라졌다고 주장하나, 느린 것에 대한 표현이 많다. 아들이 아버지와 산을 오른다. 그런데 갑자기 저 앞에서 큰 바위가 굴러 내려오는 것이 아닌가? 그때 아들이 외친다. “아부지, 굴러가 유그러나 이미 돌은 아버지를 상해하고 말았다. 왜 충청도 하면 느리다는 선입견을 갖게 하였는가? 말끝에 가 붙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충청도 말을 들으면 얼마나 마음이 넉넉해지는가?

 

  각 지방분들의 언어 약점도 있다. 경상도 분들은 발음이 안 된다. 대표적인 예가 이다. 거기다가 겹모음 발음이 어렵다. 경제를 갱제확실히를 학실히경찰을 갱찰로 부른다. 함경도 말에 특징은 끝에 따라 나오는 말인데 했음둥”(했습니다)이며 그분들도 발음이 안 된다. 그래서 덩거당에 불비티 떰뻑 떰뻑 하누나가 된다. 평안도 분들은 발음이 안 되어 로 말한다. 전화번호가 9656이라면 그분들은 구룩오룩으로 읽는다.

 ‘o' 발음도 안 되어 으로 한다. 그러니까 예배를 네배라고 한다.

 

이렇게 쓰다보면 끝이 없을 듯하다. 사람들은 오늘도 특징 있는 사투리를 안고 정감 어린 인생 이야기를 엮어가고 있다

 

 

 

 

 

 


  1.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53651
    Read More
  2. 사투리 정감(情感)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rd...
    Views50887
    Read More
  3.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53741
    Read More
  4.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54508
    Read More
  5.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9055
    Read More
  6.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9437
    Read More
  7.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7408
    Read More
  8.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60759
    Read More
  9.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58121
    Read More
  10.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55123
    Read More
  11.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53360
    Read More
  12.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9327
    Read More
  13.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60448
    Read More
  14. 아미쉬(Amish) 마을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로 말하면 “아미쉬 마을”이다. 아미쉬는 푸르른 초원을 가슴에 안은 채 특유의 삶을 이어간다. 아미쉬의 특징은 전기, 자동차, 텔레비전 같은 문명의 이기를 철저...
    Views61261
    Read More
  15. 기다림(忍耐)

    현대인들은 빠른 것을 좋아한다. 무엇이든지 짧은 시간에 큰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우리가 정작 배워야 할 것은 스피드가 아니라 기다림이다. 왜냐하면 기다림은 하나님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절대 조급하지 않으시다. 하나님의 백성...
    Views165000
    Read More
  16. 감성 고뇌

    가을이 왔는가보다 했는데 한낮에 내리쬐는 햇살의 농도는 아직도 여름을 닮았다. 금년은 윤달이 끼어서인지 가을이 더디 오는 듯하다. 따스한 기온이 고맙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가을 정취에 흠뻑 취하고 싶어 하는 감성적인 사람들에게는 은근히 방해가 되는...
    Views61252
    Read More
  17. 인생을 포기하고 싶었습니다

    유학생 부부 모임에 초대를 받았다. 보기에도 퍽 아름답고 유익한 신앙인들의 모임이었다. 먼 이국땅에서 낮선 언어와 문화에 적응하며 사는 것은 상당한 스트레스를 감내해야 한다. 짧은 언어로 일하면서 공부하는 유학생활은 참으로 버거운 과정이다. 같은 ...
    Views61837
    Read More
  18. Not In My Back Yard

    오래전, 버지니아에 있는 한인교회에서 전도 집회를 인도한 적이 있다. 교회 역사만큼 구성원들은 고학력에 고상한 인품을 가진 분들이었다. 둘째 날이었던가? 설교 중에 ‘어린 시절 장애 때문에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으며 힘든 시간을 보냈음’을...
    Views60723
    Read More
  19. 누나, 가지마!

    KBS가 UHD 다큐멘터리 ‘순례’를 방영했다. 흐르는 강물조차 얼어붙은 영하 30도, 혹독한 추위가 찾아온 인도 라다크 깍아 지른 협곡 사이로 수행자들의 행렬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외줄 하나에 온 몸을 의지한 채 순례 길을 걷는 수행자들의 모습...
    Views60127
    Read More
  20. 글씨 쓰기가 싫다

    한국에서의 일이다. 1984년, 한 모임에서 백인 대학생을 만났다. 남 · 여 두 학생은 백인 특유의 또렷한 이목구비와 훤칠한 키로 눈길을 끌었다. 두 사람이 연인사이였는지, 아니면 그 모임에서 우연히 만난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다정다감하고 ...
    Views765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