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0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럽여행.jpg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이 된다. 아마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니, 휠체어를 타고 어떻게 여행을 하지?’ 하지만 그녀는 직접 유럽을 여행하고 돌아왔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이유 없는 다리 저림 증상과 마비로 시작된 병은 원인 불명의 척수염이었다. 그 후 3년 만에 바이러스성 척수염이라는 진단을 받는다. 그렇게 휠체어를 타기 시작하면서 서윤은 어떻게 사는 삶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아주 어린 나이부터 나와 다른 사람으로 대하는 시선을 경험하면서, 오히려 당당해지자고 생각했다. 사람은 모두 다른데 그저 나는 그 다름이 잘 보이는 사람일 뿐이라고 스스로 생각한 것이다.

 

  여행길에서 만난 모든 사람들, 여행을 떠나기 전에 만난 모든 사람들에게 대단하다는 말을 들었다. 아마 유럽과 휠체어를 탄 여성 여행가는 낯선 모습이니까. 여러 불편을 참고 감수하는 그녀의 모습이 그렇게 보였을 수 있다. 그런데 막상 세계로 발을 내딛고 나니,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이 여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장애인 이동권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그녀는 이렇게 화두를 던졌다. “왜 장애인들이 여행을 꿈꾸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 누구나 무슨 일이든 하려면 이동해야 하고, 여행은 수많은 종류의 이동이 합해진 행위라고 생각하면 장애인이라고 해서 여행이 불가능하다는 논리는 성립이 안된다는 것이다. 제자리에 가만히 멈춰서 평생을 살아가는 사람은 없다. 그건 장애인이건, 아니건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모두 움직이면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니까.

 

  멀쩡하던 몸이 문제가 생기고 결국 휠체어를 타야만 생활할 수 있는 지경에 처했을 때에 소연은 낙심하지 않고 여행으로 탈출구를 삼았다. 어려운 수술과 힘겨운 재활, 그리고 긴 터널 같던 실의의 시간을 지나 이제는 직업과 일상 그리고 행복을 되찾은 것이다. 한숨을 돌리고 뒤돌아보니 아직 그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친구들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척수장애는 주로 신체의 팔이나 몸통 혹은 다리에 완전 혹은 부분마비를 초래한다. 그런 장애로 여행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하지만 그녀는 그 벽을 넘어 여행가로 자리를 잡았다.

 

  2013년에는 1041의 경쟁을 뚫고 KBS 장애인 앵커 공채에 합격했다. 12시 생활 뉴스를 진행했다. 하지만 체력의 한계를 느끼고 그 자리를 내려놓아야만 하였다. 서윤 씨는 2년간의 장애인 앵커를 끝내고 취업에 대한 생각이 바뀌게 되었다. 인터넷 망이 발달되어 어디서든 일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활용 여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그러다 문득 혼자서도 갈 수 있을까?’ 도전해 보기로 했다.

 

  한 달간 유럽 7개국 25개 도시를 누볐다. 스위스 인터라켄에서 패러글라이딩을 타고 하늘을 날았을 때의 감격은 평생 잊지 못할 장면이다. 나 홀로 휠체어를 타고 트렁크를 밀고 다녀온 여행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성장기가 되어 주었다. 그녀는 장애는 단지 조금 불편함일 뿐이지 비정상은 아니다라는 은사님의 말씀을 가슴에 새기며 살고 있다. “길가에 지나가는 사람처럼, TV 속에 나오는 사람처럼, 우연히 스쳐지나갔던 사람처럼, 저도 남들과 다를 게 하나도 없는 사람인거예요. 그냥 조금 불편한 거거든요. 다른 사람들에게도 저희 은사님의 말씀이 힘이 되었으면 해요.”

 

  그렇다. 장애는 다를 뿐이다. 결코 틀렸거나 잘못된 것은 아니다. 모양이 다르고 사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휠체어를 타고 세계여행을 하는 홍서윤 양은 그래서 더 멋져 보이고 존경스럽기까지하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지금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하는 그녀가 너무도 아름답다.

 


  1. 슬프고 안타까운 병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
    Views64845
    Read More
  2.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71989
    Read More
  3. 손을 보며

    손을 들여다본다. 손등이 눈에 들어오고 뒤집으면 바닥이 매끄럽게 드러난다. 각각 다른 길이의 손가락이 조화를 이룬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쥐면 금새 동그란 주먹이 만들어 진다. 손가락마다 무늬가 새겨있는데 지문이라 부른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
    Views64838
    Read More
  4. 있을 때 잘해!

    한 부부가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어왔다. 주유소 직원은 기름을 넣으면서 차의 앞 유리를 닦아준다. 기름이 다 들어가자 직원은 부부에게 다 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남편이 “유리가 아직 더럽네요. 한 번 더 닦아주세요.”라...
    Views71440
    Read More
  5. 저는 휠체어 탄 여행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
    Views70155
    Read More
  6.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71153
    Read More
  7. 사투리 정감(情感)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rd...
    Views67092
    Read More
  8.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70797
    Read More
  9.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70962
    Read More
  10.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75857
    Read More
  11.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76223
    Read More
  12.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73507
    Read More
  13.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79324
    Read More
  14.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75497
    Read More
  15.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71528
    Read More
  16.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69281
    Read More
  17.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75652
    Read More
  18.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76819
    Read More
  19. 아미쉬(Amish) 마을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로 말하면 “아미쉬 마을”이다. 아미쉬는 푸르른 초원을 가슴에 안은 채 특유의 삶을 이어간다. 아미쉬의 특징은 전기, 자동차, 텔레비전 같은 문명의 이기를 철저...
    Views79200
    Read More
  20. 기다림(忍耐)

    현대인들은 빠른 것을 좋아한다. 무엇이든지 짧은 시간에 큰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우리가 정작 배워야 할 것은 스피드가 아니라 기다림이다. 왜냐하면 기다림은 하나님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절대 조급하지 않으시다. 하나님의 백성...
    Views1845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9 Next
/ 39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