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06.01 16:41

슬프고 안타까운 병

조회 수 453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매.jpg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외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대문까지 나와 맞이해 주셨다. 다정다감한 외할머니의 체취에 어린 마음은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른다. 그런데 어느 해인가? 외가에 갔는데 할머니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있었다. 치매가 온 것이다. 나를 전혀 알아보지 못하고 허공을 응시하는 모습이 너무도 애처로웠다.

 

  나이가 들어가는 분들에게 가장 두려운 병은 무엇일까? 두렵지 않은 병이 어디 있을까 마는 치매처럼 본인도 가족들도 애가 닳게 하는 병도 없을 것이다. 자신의 삶도 피폐해지고 가족들의 마음도 타들어가게 하는 몹쓸 병인 것이다. 이해가 안 가는 것은 그리도 총기가 맑으시던 분이 어느 날 같은 말을 반복하고 엉뚱한 발언을 하며 변해가는 모습이다.

 

  장애를 가진 손녀와 함께 밀알 모임에 나오시던 분이 소식이 뜸해 궁금했는데 양로원에 설교를 하러 가보니 맨 앞자리에 앉아계셨다. 반가워 손을 잡았지만 나를 전혀 기억하지 못했다. 이렇게 저렇게 설명을 해도 전혀 반응이 없었다. 치매는 이리도 잔인하게 노년의 삶을 갉아먹고 있다. 혹자는 화투를 치면 예방이 된다고도 하지만 그렇다고 평생 믿음으로 사시던 분이 갑자기 둘러앉아 화투를 치는 모습이 그리 아름다워 보이지는 않을 듯싶다.

 

  극단적인 표현을 써서 치매는 실로 질병 중에서 가장 무섭고 치사하고 ××같은 병이라고 한다. 전문가들은 치매와 알츠하이머는 엄격히 따지면 다르다고 지적하지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오늘은 같은 표현을 쓰고자 한다. "알츠하이머"(치매)는 인생말년을 쑥밭으로 만들어 버린다. 치매는 노인의 삶을 파멸로 몰아간다. 정말 걸려서는 안 되는 병이 이병이다. 화장실에서 볼일을 본 후 지퍼를 열어둔 채로 나오면 건망증이고, 화장실에 가서 지퍼를 열지도 않고 볼일을 보면 치매라는 말이 있다.

 

  치매에 걸려서 증세가 심해지면 먼저 인격파탄이 되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은 완전 상실되고 만다. 병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다는 말을 우리는 다 알고 있다. 그 예방법이 50가지가 넘는 것을 보고 놀랐다. ‘사람의 노력으로 그 무서운 병도 어느 정도 막아낼 수는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물을 많이 마시고 아침마다 맨손체조를 하는 것이다. 음식이야 요사이 하도 많이 알려져서 일일이 거론하기가 힘들고 마인드 컨트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될 수 있으면 감사하는 말과 기쁨의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무엇보다 치아를 잘 관리해야 한다. 특히 어금니로 음식을 꼭꼭 씹어 먹을 때에 뇌에 올라가는 혈관이 활성화되어 치매가 예방된다고 하니 놀랍다. 박수를 자주 치라는 것도 농담이 아니다. 화가에게는 치매가 없다. 손으로 많이 그려야 한다. 악단 지휘자는 모두 장수한다. 손을 많이 써야 한다. 여성들은 뜨개질이 효능이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 나이가 들수록 뜨겁게 사랑해야 한다니 그것도 숙제이다. 사랑이 뜨거우면 치매는 도망친다나?

 

  나이가 들수록 잔소리가 늘어 가는데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피곤하고 기()가 소진된다. 과거에 집착하는 것은 위험하다.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해야 한다. 스님은 치매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108배의 효능이 두뇌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대화상대가 많아야 한다. 외로움은 가장 큰 형벌이다. 노래와 춤은 치매예방의 최고다. 글쓰기와 읽기를 생활화하라. 뇌 운동에는 그만이다. 결국 치매는 뇌와의 싸움이다. 낙천적인 사람은 치매에 걸리지 않는다.

 

 호기심을 가져라. 호기심은 삶의 윤활유가 된다. 무엇보다 봉사와 베푸는 마음은 뇌를 건강하게 한다. 박장대소 포복절도 요절복통의 달인이 되라. 가장 중요한 것은 신앙을 가져라. 신앙의 힘은 기적을 만든다. 모두 건강하세요!

 


  1. 인생의 고비마다 한 뼘씩 자란다

    어린 시절 나는 시골에서 살았다. 여름 이맘때가 되면 갑자기 천둥번개가 치며 폭우가 쏟아졌다. 밤새 공포에 떨다가 날이 밝고 화창해진 아침, 들녘에 나가보면 곡식들이 내 키만큼 자라나 있는 것을 발견한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번개가 치면 하늘에서 수...
    Views47011
    Read More
  2. No Image

    가을 한복판에서 만나는 밀밤

    밀알의 밤(밀밤)이 막을 내렸다. 구름떼처럼 모여드는 청중에 놀라고 매년 그 시간, 그 자리를 지켜주는 분들의 열정에 감탄한 시간이었다. 밀알의 밤은 온 가족이 편안한 마음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장이요. 가을에 걸 맞는 분위기로 삶을 돌아보게 하는 묘한...
    Views46667
    Read More
  3. 손을 보며

    손을 들여다본다. 손등이 눈에 들어오고 뒤집으면 바닥이 매끄럽게 드러난다. 각각 다른 길이의 손가락이 조화를 이룬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쥐면 금새 동그란 주먹이 만들어 진다. 손가락마다 무늬가 새겨있는데 지문이라 부른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
    Views46328
    Read More
  4. No Image

    당신의 성격은?

    사람의 성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외향적이냐? 아니면 내향적이냐?”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에 거리낌이 없고 만나서 에너지를 얻는다면 당신은 ‘외향성이 강한 사람’이다. 반면에 사람을 만나는 것이 버겁고 특별히 새로운 사...
    Views45886
    Read More
  5. No Image

    <2019년 첫 칼럼> 예쁜 마음, 그래서 고운 소녀

    새해가 밝았다. 2019년 서서히 항해를 시작한다. 짙은 안개 속에 감취어진 미지의 세계를 향해 인생의 노를 젓는다. 돌아보면 그 노를 저어 온지도 꽤나 오랜 세월이 지나간 것 같다. 어리디 어린 시절에는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만큼 어른들은 할 수 ...
    Views45494
    Read More
  6. 슬프고 안타까운 병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
    Views45396
    Read More
  7. 야학 선생

    20대 초반 그러니까 신학대학 2학년 때였다. 같은 교회에서 사역하는 김건영 전도사께서 주일 낮 예배 후 “할 말이 있다.”며 다가왔다. 우리는 비어 있는 유년주일학교 예배 실 뒤편 탁자에 마주 앉았다. 용건은 나에게 “야학 선생을 해 달...
    Views44952
    Read More
  8. 낙도전도의 추억

    대학 동기가 병역을 필하고 복학을 하더니 적극적인 총학생회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그사이 나는 이미 대학원 과정에 있었기에 친구와는 학년차이가 꽤나 나있었다. 어느 날 만나자고 하더니 “총신 <제 2기 낙도전도단>에 총무로 일해 달라.&rdquo...
    Views44450
    Read More
  9. No Image

    행복은 어디에?

    사람은 누구나 행복을 목말라 하며 살고 있다. 저만큼 나아가면 행복할 것 같다. 하지만 그곳에 가도 그냥 그렇다. 과연 행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과거에는 주로 경제적인 면에서의 결핍이 사람의 행복을 가로채 갔다. 맛있는 ...
    Views43866
    Read More
  10. 씨가 살아있는 가정

    가정은 영어로 Family이다. 어원을 살펴보니 Father and Mother I Love You이다. 절묘하다. 실로 부부의 사랑을 먹고 아이들이 구김살 없이 꿈을 펼쳐야 하는 곳이 가정이어야 한다. 젊은이들은 가정을 꾸미면 저절로 행복해 질줄 알지만 그렇지 않다는데 심...
    Views43775
    Read More
  11. 미안하고 부끄럽고

    매일 새벽마다 이런 고백을 하며 기도를 시작한다. “한번도 살아보지 않은 새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다. 어제 잠자리에 들며 죽었다면 오늘 아침 다시 부활한 것이다. 지난밤에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다시 깨어났으니 이것...
    Views43694
    Read More
  12. 소박한 행복 기억하기

    “엄마, 오늘은 제발 보리밥 싸지 마세요.” 학교에 가서 도시락을 열면 널브러져 나를 바라보는 보리밥이 너무 미웠다. 거기다가 단골 반찬은 무말랭이와 콩장이었다. 내 짝꿍 근웅이는 약국집 아들이라 그런지 항상 밥 위에는 노오란 계란이 덮여...
    Views43539
    Read More
  13. No Image

    쇼윈도우 부부를 만나다

    지난 봄 한국 방문 길에 지인의 결혼식에 참석하게 되었다. 지하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가득히 사람들이 타고 결혼식장인 10층으로 올라가기 시작하였다. 안쪽에 서있던 한 여인이 소리쳤다. “친한 척 하지 마요. 조금 떨어져 와...
    Views43237
    Read More
  14. No Image

    외로운 사람끼리

    인생은 어차피 외로운 것이라고 들 한다. 그 외로움이 때로는 삶을 어두운 데로 끌고 가지만 외롭기에 거기에서 시가 나오고 심금을 울리는 노래가 나오는 것 같다. 사람들은 외로움을 두려워한다. 외로움이 두렵다기보다 그 상황을 더 무서워하는지도 모른다...
    Views43123
    Read More
  15. No Image

    내 나이가 어때서

    30대 젊은 목사는 항상 자신감이 넘쳤고 사역에 대한 의욕이 충만했다. 건의하는 횟수와 강도는 점점 늘어갔다. 하루는 나에게 담임목사님이 말했다. “이 목사님, 뭘 그렇게 자꾸 하려고 하세요. 조금 천천히 갑시다.” 그때는 그 말의 의미를 몰...
    Views43004
    Read More
  16. No Image

    밀알의 밤을 열며

    사람은 언어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말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사람의 말이 인격이고, 실력이며, 사람됨됨이다. 해서 말 잘하는 사람은 인생성공의 확률이 높아진다. 말을 잘하는 사람을 흔히 ‘언어의 마술사’라고 부른다. &ldq...
    Views42523
    Read More
  17. 밀알 사랑의 캠프

    지난 5월이었다. 밀알선교단 지하교육관에 걸어놓은 달력이 찢겨나가 7월에 와있었다. 다른 방에 걸려있던 달력과 바꿔 걸어놓았는데 나중에 가보니 그것마저 찢겨져 있었다. 누구의 소행인지 수소문해도 범인(?)은 오리무중이었다. ‘누가 저렇게 멀쩡...
    Views42120
    Read More
  18. No Image

    목사님, 세습 잘못된 것 아닌가요?

    요사이 한국을 대표할만한 한 대형교회에서 담임 목사가 아들에게 교회를 물려준 일을 놓고 설왕설래 말들이 많다. 이미 모든 상황이 종료되었음에도 그 교회가 속한 교단과 신학대학의 반발이 예사롭지 않다. 정당한 절차를 밟아 교회신자들의 압도적인 지지...
    Views42014
    Read More
  19. No Image

    “오빠”라는 이름의 남편

    처음 L.A.에 이민을 와서 유학생 가족과 가까이 지낸 적이 있다. 신랑은 남가주대학(U.S.C.)공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고, 세 살 된 아들이 하나 있었다. 아이 엄마는 연신 남편을 향해 “오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금과 달라서 그때...
    Views41773
    Read More
  20. 누구나 가슴에는 자(尺)가 들어있다

    사람들은 다 자신이 공평하다고 생각한다. 누구보다 의롭고 정직하게 산다고 자부한다. 사건과 사람을 만나며 아주 예리하고 현란한 말로 결론을 내린다. 왜 그럴까? 성정과정부터 생겨난 자신도 모르는 자(尺) 때문이다. ‘왜 저 사람은 매사에 저렇게 ...
    Views4129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