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7:12

어디요? 1/20/2014

조회 수 716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통하다.jpg

 

 

한 신사가 시골길을 달리는 버스에 타고 있었다. 옆에 앉아있던 할머니가 핸드폰을 꺼내 든다. 그러더니 어디론가 전화를 건다. 신호 가는 소리가 들리고 이내 상대방이 전화를 받자마자 묻는다. “어디요?” 요사이는 워낙 전화기 성능이 좋아서 소리가 다 들린다. 상대방이 대답한다. “밖” 다짜고짜 전화를 끊는다. 신사의 입가에 절로 웃음이 나왔다. “와! 정말 단순하다. 간단명료하네.” 전화상대는 남편 할아버지인 것 같다. “어디요?” “밖” 단 두 마디가 오갔지만 짧디 짧은 통화에서 오랜 세월 함께 해 온 노부부의 정이 느껴졌다. 신사는 혼자 중얼거린다. “인생이 저리 단순한 것을 우리는 너무 복잡하고 힘들게 살아가는 것 같다.”고.

그렇다. 통해야 인생이 재미가 있다. 전라도 분들은 “거시기, 거시기”하면 다 통한다. 우리 같은 사람은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지 감이 안 잡힌다. 그런데 다 알아차린다. 할머니들의 친목모임이 있었다. 회장을 맡은 할머니가 모임장소를 잘못 말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다음날 가보니 회장이 말한 장소가 아니라 항상 모이는 그 장소에 모두 와있더란다. 그것도 전원이 말이다. 그렇게 함께 하다보면 통하게 되어있나 보다. 갓난아기는 말을 하지 못한다. 하지만 엄마는 다 알아차리며 아가를 돌본다. 아기가 알아듣든지 말든지 엄마는 혼잣말을 해가며 모든 것을 처리해 준다. “어구, 어구. 우리 애기 배고팠구나. 서러워서 우는 거야. 하이고 시원하게 볼일을 보셨네.”하면서 말이다. 그래서 엄마는 바쁘다. 바빠도 무지 바쁘다.

부부도, 가족 간에도, 이웃끼리도 통해야 한다. 꼭 말을 많이 해야만 통하는 것이 아니다. 통하는 사람과 함께하면 행복하다. 자, 이 대화는 어떨까? 할머니들이 주고받는 말이다. “예수가 죽었디야” “워쩌다가 죽었디야?” “아, 글씨 못에 박혀 죽었다는구먼” “글게 우짜야쓰까잉 쓰잘데기업시 누더기를 걸치고 다니더만” “근디 예수가 누기여?” 친구 할머니의 대답이 걸작이다. “나두 잘 모르겠는디. 우리 며늘아가 ‘아부지 아부지’하는거 보먼 우리 사돈인가벼!!!” 두 분이 워낙 진지한 표정으로 이야기를 나누니 끼어들 수도 없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사람들이 다 그러면서 산다.

나는 부목사 생활을 천호동에서 했다. 버스종점이 자리하고 있는 눈을 감으면 잡힐 듯 그림 같은 곳이었다. 외출을 하려면 줄을 서서 버스를 기다리거나 막 출발하려는 버스에 올라타야만 하였다. 그러다보면 꼭 안면이 있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 같은 교회 성도든지 아니면 같은 동에 사는 사람이든지. 반갑게 인사를 나누며 묻는다. “어디가세요?” “예, 어디 좀 갑니다.” “아, 예” 대화가 이상하다. 행선지를 물으면 가는 곳을 말해야 하는데 물음도 대답도 애매하다. 그런데 그 대화에서 안부와 서로 간에 정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말 중에 가장 희한하고 탁월한 말이 “아이고!”이다. 가장 많이 쓰는 말이지만 그 말의 의미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매우 힘들다. “아이고!”는 정말 다양하게 쓰여 지기 때문이다. 어려운 일을 만나도 “아이고!” 좋은 일을 만나도 “아이고!” 한다. 우리나라 초대“이승만” 대통령의 영부인은 “프란체스카”여사였다. 유창한 한국말을 하며 한국 사람과 흡사하게 살았던 분이다. 그런데 오랜 세월 이승만 대통령과 살면서 평생 이해하지 못했던 말이 “아이고!”였다 한다. 영어로 하면 “I Go!”인데 맨 날 어디를 간다고 하는지 정도로 밖에는 이해를 못한 것이다. 우리는 안다. “아이고!”라는 한마디 속에 한국인의 정서가 가득 담겨있다는 것을.

통해야 산다. 그런데 어느 날 통하는 때가 온다. 그게 신기하다. 통하면 행복하다. 통하면 흔히 하는 말로 눈빛만 보아도 안다. 우리는 알아야 한다.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것도 용기이지만 하고 싶은 말을 안 하는 것은 더 큰 용기라.”는 것을. “어디요?” “밖” 멋있다.


  1. 어디요? 1/20/2014

    한 신사가 시골길을 달리는 버스에 타고 있었다. 옆에 앉아있던 할머니가 핸드폰을 꺼내 든다. 그러더니 어디론가 전화를 건다. 신호 가는 소리가 들리고 이내 상대방이 전화를 받자마자 묻는다. “어디요?” 요사이는 워낙 전화기 성능이 좋아서 ...
    Views71690
    Read More
  2. 송정미 & 차인홍

    가을이다. 낮에는 햇살이 제법 따갑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친다. 새해를 맞이하며 꿈에 부풀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세월은 가을바람처럼 너무도 빠르게 지나가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가을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은 어디를 가나...
    Views71681
    Read More
  3. 화가 올라올 때 8/23/2014

    지금은 모르겠지만 내 생을 가만히 돌아보면 화를 자주 내며 산 것으로 기억이 된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걸음은 부실하고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몸은 따라주지 못하는 장애가 화를 유발하는 원인이었던 같다. 화를 자주 내는 사람들은 이미 매사에 화 기운...
    Views71654
    Read More
  4. 2013년 첫 칼럼 새롭게 하소서! 1/10/2013

    새해가 밝았다. 그동안 친근하게 지내오던 2012년을 떠나보내니 신선한 새해가 목덜미를 내어민다. 새로운 것을 접촉하는 것은 행복한 경험이다. 어린 시절 설빔을 입고 온 동네를 뽐내며 걸어 다니던 경험들을 모두가 가지고 있다. 엄마가 장에서 사 오신 새...
    Views71603
    Read More
  5. 알아차리기  8/4/2011

    사람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일들을 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신문을 보거나 인터넷을 시작한다. “아니!” 감탄사를 연발하며 새로운 소식에 반응을 한다. 남성들은 선천적으로 뉴스를 너무도 좋아한다. 모임에 갔을때에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Views71600
    Read More
  6.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71514
    Read More
  7. 눈을 감고도 볼수 있단다 4/9/2013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이는 무엇일까? “당연” “평범”이라는 단어가 장애인들에게는 기적이 된다. 사람이면 누구나 듣는 것, 말하는 것, 거동하는 것은 당연하고 평범한 일이다. 그런데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이 누리는 모든 것이 기...
    Views71448
    Read More
  8. 가을 미소를 만나다 11/22/2012

    오랜 날 기도하며 준비하던 밀알의 밤이 가까워오는 지난 수요일(7일) 나는 뉴욕을 향해 차를 몰고 있었다. 밀알의 밤에 출연하는 두 자매가 JFK 공항에 도착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전날 뉴욕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박 목사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뉴...
    Views71352
    Read More
  9. 장애인 오해하지 마세요! 4/3/15

    사람들은 건강이 얼마나 소중한줄 모르며 살아간다. 아침에 눈을 뜨면 찬란한 햇살을 응시할 수 있고, 요란하게 노래하는 새소리에 심취하며 화장실, 주방을 두루두루 마음껏 걸어 다닐 수 있는 것은 당연이라 여기며 생을 이어간다. 아니다. 그것은 대단한 ...
    Views71248
    Read More
  10. 소금인형

    인도의 엔소니 드 멜로 신부가 쓴 ‘소금 인형’이야기가 있다. 소금으로 만들어진 인형이 하나 있었다. 인형은 어느 날 자신이 누구인지 궁금해졌다. ‘자신이 태어나고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곳’을 향해 소금 인형은 무작정 길...
    Views71211
    Read More
  11. 눈 속에서 피워낸 찬양의 향기  2/11/2011

    <대학합창단 초청 음악회>를 준비하면서 밀알 가족들의 마음은 몹시 설레었다. 대학합창단의 청아한 찬양을 들을 수 있다는 기대감과 멀리서 필라델피아를 찾아오는 손님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비행기 운항비를 절감하기 위해서였는지 ...
    Views71207
    Read More
  12. 후진을 더 조심해야 한다 8/26/2013

    3년 전 여름, 비가 몹시 쏟아지는 날이었다. 한아름 마트에 들렀다가 차를 후진하면서 승용차 문을 ‘살짝’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뒤에 아무것도 없는 줄 알고 후진 기어를 넣었는데 뭔가 닿는 느낌이 들어 차를 세워보니 그곳에 까만색 승용차가...
    Views71174
    Read More
  13. 그때는 그때의 아름다움을 모른다 5/17/2013

    지난 2월 명지대학교 합창단을 초청하여 음악회를 열었다. 공연을 마치고 우리 집 거실에 둘러앉아 공연 후감을 나누며 밤이 깊어가고 있었다. 밖에는 얄궂은 함박눈이 대지를 덮어가고 있었다. 진지하게 혹은 스스럼없이 토론하는 그들의 모습 속에서 젊은 ...
    Views71173
    Read More
  14. 우리도 짝을 만나고 싶다 6/11/2013

    장애인이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고 평범하게 살아가는 일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장애인들의 결혼을 위해 “미주 밀알 결혼상담소”를 개설한지 어언 6년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다. “상담을 공부했다.”는 이유로 내가 소장을 맡아 ...
    Views71073
    Read More
  15. 웃으면 행복 해 져요! 9/22/2010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웃음은 “만국공통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듯싶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
    Views70890
    Read More
  16. 아내는 팝콘이다 2/13/15

    부부가 만나 한 평생을 살아가는 것은 신비롭고 신기한 일이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있다. 행운 중에 행운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부는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살아간다. 남들 보기에는 잉꼬부부이지만 들어가 보면 ‘속 터지는’(?) 가정이...
    Views70866
    Read More
  17. 행복하십니까? 5/16/2012

    사람들은 오늘도 행복에 목말라 하고 있다. 행복은 무엇일까? 과연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필자가 어린 시절에는 행복이란 간단했다. “괴깃국(고깃국의 사투리)에 이밥(하얀 쌀밥)을 말아 먹는 것”이었다. 그것은 명절이라야 가능한 일이었...
    Views70843
    Read More
  18. 어머니의 아린 마음 9/7/2010

    이 땅에는 어머니가 있다. “어머니!” 그 한마디에 사람들은 지그시 눈을 감는다. 가난, 외로움, 버려짐에 사각지대에서 오직 자식만을 바라보며 살던 여인들이 우리시대에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맛있는 것을 자식들 앞에 갖다놓으며 항상 하시는 ...
    Views70839
    Read More
  19.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0728
    Read More
  20. 내가 3일간 눈을 뜰 수 있다면 2/7/2015

    장애를 가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하나님은 공평하셔서 그 장애를 다른 방법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다. 하지만 그런 경우가 해당이 안 되는 사람이 있다. 두 눈을 볼 수도 없고, 듣지도 못하며, 언어구사도 안 되는 삼중고(三重苦)의 고통을 안...
    Views707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